다국적 농화학기업인 ADAMA가 불법 농약을 손쉽게 가려낼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포장추적 시스템 개발·출시를 눈앞에 두고 있다. ADAMA가 최근 AgPades에 직접 공개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약 포장 추적 시스템은 제품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QR코드가 인쇄돼 있다. 브라질 시장에서 첫 선을 보일 이 패키지에는 공유기록 네트워크인 블록체인에 인코딩된 고유하고 변경할 수 없는 QR코드가 있어서 인터넷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전문 애플리케이션에서 손쉽게 제품의 지위 여부와 원산지를 확인할 수 있다. ADAMA의 혁신 관리자인 Roberson Marczak는 “제품의 원산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농업인들은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시스템에 등록하기만 하면 된다”며 “휴대전화를 통해 측정한 모든 판독값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ADAMA는 현재 애플리케이션과 웹 인터페이스의 코딩 및 개발 단계에 있으며, 2023년 1분기내에 출시를 목표로 구현 준비에 나서고 있다. 이 시스템이 완료되면 2개 또는 3개의 주요 ADAMA 제품의 패키징 프로세스에 사용될 예정이다. 특히 ADAMA는 세 번째 단계로 오는 2025년까지 전체 제품 라
적은 약량으로도 뛰어난 토양살충 효과를 발현시키는 Syngenta의 ‘TYMIRIUMⓇ’ 기술이 관심을 끌고 있다. Syngenta는 최근 새로운 선살충·살균제 기술인 TYMIRIUMⓇ의 아르헨티나 등록을 시작으로 전세계 시장 공략에 나섰다. TYMIRIUMⓇ 기술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매우 파괴적인 선충 및 토양 매개 질병, 특히 Fusarium종(곰팡이균의 일종)의 방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제프 로우(Jeff Rowe) Syngenta 북미·중국 글로벌 종자 회장은 “식물 기생 선충과 토양 매개 질병은 작물을 황폐화시키고 전 세계적으로 연간 최대 12%의 수확량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보이지 않는 위협”이라며 “농업인들에게 연간 1500억 달러의 손실을 끼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TYMIRIUMⓇ 기술의 개발은 발견에서 시장 출시에 이르기까지 10년 이상의 투자가 필요했다”며 “이는 전세계 농업분야의 요구 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Syngenta의 약속”이라고 덧붙였다. Syngenta에 따르면 TYMIRIUMⓇ 기술을 사용하는 농업인들은 토양의 생물다양성과 토양 건강을 보존할 수 있다. TYMIRIUMⓇ 기술은 또한 토양
중국이 글루포시네이트(Glufosinate) 생산량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를 위해 글리포시네이트 핵심 중간체인 ‘메틸디에톡시포스핀(methyldiethoxyphosphine)’의 신규 생산 시설 투자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림] 중국 글루포시네이트 관련 생산기지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중국은 최근 2년 동안 13개 이상의 글루포시네이트 제조업체가 생산 공장을 확충했거나 진행(계획)하고 있으며, 총생산량은 16만2000톤 이상에 이르고 있다. 현재 ‘내몽골 링성(Inner Mongolia Lingsheng, Liben’s의 자회사)’을 비롯해 ‘광안 리에 화학(Guang’an Lier Chemical)’, ‘안후이궈싱(Anhui Guoxing, Red Sun의 자회사)’, ‘산둥 위성(Shandong Yisheng)’, ‘푸하 통다(Fuhua Tongda)’ 등의 글루포시네이트 제조업체가 신규 공장을 건설 또는 계획하고 있다.[표1] 중국은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글리포시네이트 핵심 중간체인 ‘메틸디에톡시포스핀’의 신규 생산 시설 확충에도 가속도를 붙이고 있다. 최근 2년 동안 17만8000톤에 이르는 메틸디에톡시포스핀 생산 시설이
중국 농약회사 가운데 매출액 기준 TOP1은 아다마가 차지했으며, 장쑤 양농과 산둥 웨이팡 레인보우가 뒤를 이었다. 중국 저장성 사오싱시 중국작물보호산업협회(CCPIA)가 지난달 발표한 ‘2022년 중국 농약 100대 기업’ 목록에 따르면, 아다마(ADAMA)는 280억4700만 위안(약 5조4964억원)의 매출로 1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장쑤 양농(Jiangsu Yangnong)이 117억1000만 위안(약 2조2949억원)으로 2위를 차지했으며, 산둥 웨이팡 레인보우(Shandong Weifang Rainbow)가 96억8100만 위안(약 1조8972억원)으로 3위를 마크했다. 올해 TOP100 기업의 전체 매출은 2544억1400만 위안(약 49조857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38% 증가했다. 상위 10개 기업의 총매출액은 1007억8800만 위안(약 19조751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03% 증가했다. 또한 지난해 10억 위안(약 1959억7000만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농약회사는 68개사, 매출 50억 위안 이상 11개사에 이어 100억 위안 이상 기업도 2개사에 달했다.
중국작물보호산업협회(CCPIA)는 최근 ‘2021년 중국 농약 수출 상위 50위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이 중에서 산둥 웨이팡 레인보우화학(Shandong Weifang Rainbow Chemical Co., Ltd.,)과 장수 양농화학(Jiangsu Yangnong Chemical. Co., Ltd.,), 저장 윈카화학 그룹(Zhejiang Wynca Chemical Group Co., Ltd.)이 TOP3 안에 들었다. 중국의 2021년 농약 수출은 기대치를 웃돌 정도로 수출액이 계속 증가했으며, 코로나19 이전보다 훨씬 높았다. 중국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중국 농약 수출기업들은 대외 수요 회복이 수출량 증가를 견인했으며 수급 요인이 가격 상승효과를 발휘했다. 특히 중국은 수년간의 노력 끝에 농약 공급망이 최적화 됐으며, 글로벌 농약 공급망에서 가장 중요한 연결고리를 만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농약 사용량 감축만이 능사일까? 최근 글로벌 식량 위기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유럽연합(EU)의 농업부 장관들이 농약 사용량 감축의 부적절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EU 농업부 장관들은 최근 브뤼셀에서 열린 ‘농수산위원회(Agrifish)’에서 오는 2030년까지 농약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EU 집행위원회의 제안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AgPages 등에 의하면, EU 회원국의 상당수 농업부 장관들은 이날 “EU에서 농약 사용을 크게 줄이면 요즘 같은 불확실한 시기에 작물 수확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의무적 감축 목표를 설정하기 전에 농약에 대한 실행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EU 회원국 농업부 장관들은 특히 “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에서 식량 안보나 EU 농업의 경쟁력을 희생하면서까지 농약 사용량 감축에만 매달려서는 안 된다”며 “화학농약 없이 병해충을 통제하는 것은 어렵다”고 주장했다. 27개 EU 회원국 농업부 장관의 거의 절반이 EU 집행위원회의 농약 사용량 규제에 반기를 들고 나섬에 따라 앞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EU 집행위, ‘국가별 농약 감축 목
겨울 꿀벌은 여름 꿀벌보다 농약 저항성이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농무부(USDA)와 농업연구서비스(ARS) 꿀벌 연구소가 최근 아피돌로지(Apidologie)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겨울 꿀벌은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를 섭취해도 일정 기간 생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미다클로프리드’는 꿀벌에 독성이 매우 강한 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로 주목받고 있다. 이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이미다클로프리드’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ARS 꿀벌 연구소의 미구엘 코로나(Miguel Corona)와 모하메드 알부라키(Mohamed Alburaki) 연구원은 “꿀벌에 대한 ‘이미다클로프리드’의 독성은 양봉가들에게 매우 중요한 관심사”라며 “우리 연구에 따르면 겨울 꿀벌은 살충제에 대항하는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ARS 꿀벌 연구소는 이번 연구에서 통제된 실험실 환경을 만들어 여름과 겨울에 각각 꿀벌의 식습관 차이를 평가했다. 연구원들은 필요에 따라 꿀벌에게 이미다클로프리드가 첨가된 시럽의 치사량을 제공했다. 그 결과, 겨울 꿀벌은 설탕 시럽보다 이미다클로프리드를 처리한 시럽의 섭취를 선호하는 반면 여름 꿀벌은
금속 나노물질(EM)은 생화학적 특성과 적용 및 농도로 인해 식물의 성장과 발육에 부정적 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전 연구에서는 산화철(Fe3O4) 나노입자가 크기와 용량에 따라 담배(Nicotiana tabacum)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금속에 대한 EM 매개 담배 반응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중국과학원의 산시농업대학(Shanxi Agricultural University) 시솽반나(Xishuangbanna) 열대식물원(XTBG) 연구원들은 식물의 나노입자 매개 카드뮴(Cd) 내성의 메커니즘을 조사했다. 연구원들은 이번 연구에서 중국 윈난성에서 재배되는 담배 품종인 ‘Yunyan 87(N. tabacum)’을 사용해 산화철 또는 산화아연(ZnO) 나노입자(NPs)가 담배 묘목의 성장과 매개 카드뮴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했다.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Journal of Nanobiotechnology)’에 실린 이번 연구 결과에 의하면, 먼저 담배 묘목 성장에 대한 매개 카드뮴의 영향을 결정하고 매개 카드뮴 처리가 식물의 높이, 새싹 무게, 뿌리 길이, 그리고 새싹 무게에서 성장 억제를 현저하게
중국의 글리포세이트 중간체(PMIDA) 가격이 중상위 수준을 유지하며 하락 조짐을 보이고 있다. 주로 중국 쓰촨성에서 공급되는 PMIDA는 지난 2년 동안 다운스트림(Downstream) 글리포세이트의 높은 가격에 힘입어 상당한 구매 수요가 있었다. 그러나 중국 농약 시장은 현재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수요가 감소하고 수출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중국의 지난 4월 PMIDA 수출량은 하향곡선을 그린 데다 5월에도 코로나19로 인한 상하이의 엄격한 봉쇄로 인해 수출량이 계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6월 들어서야 수출량이 다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Oilchem에 공개된 수출통계를 보면, 올해 4월 PMIDA 수출량은 1000톤으로 1월부터 4월까지 4개월간 5200톤을 수출했다. 올해 4월 PMIDA의 평균 수출가격은 톤당 약 6050 달러(USD)에 머무는 등 거래 가격은 높은 편이었다.[그림1] [그림1] 2021-2022년 중국의 월간 PMIDA 수출 통계 올해 1~4월 중국의 PMIDA 주요 수출 대상국은 인도(2510톤), 아르헨티나(2450톤), 미국(108톤), 멕시코(72톤) 등이었다.[그림2] [그림2] 2022년 4월 중국 PM
글로벌 신젠타가 새로운 생물(바이오)살충제 8종과 생물(바이오)살균제 7종의 출시를 위해 포르투갈에 많은 투자를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AgNews의 최근 보도에 의하면, 글로벌 신젠타는 원예용 바이오살충제(8개 품목)와 바이오살균제(7개 품목)의 중기적 출시를 위해 이미 포르투갈에서 포트폴리오 강화에 나섰다. 신젠타는 이에 따라 식물에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와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역할을 하는 생물살충제 3종과 새로운 작물활성제(Biostimulants)를 출시할 예정이다. 신젠타는 최근 유통체인 기술자들의 모임 행사인 ‘신젠타 바이오로직스 아카데미(Syngenta Biological Academy)’의 첫 번째 세션에서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 세션 자연에서 영감을 받고 과학에서 검증한 식물 보호를 위한 생물학적 기술과 솔루션을 기반으로 견고하고 지속적인 지식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유럽·아프리카·중동 지역의 생물통제(Biocontrols) 제품 관리자인 Maria do Carmo Pereira(마리아 도 카르모 페레이라)는 “유럽 그린딜은 규제와 식품 가치사슬 요건과 같은 이미 알려진 다른 요인들과 함께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의 더욱 강화된 침투이행성 발현을 위한 프리미엄 보조제 ‘STEPGROWⓇ GL 104 XTRA’가 중국 농약 시장을 누비고 있다. AgNews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STEPGROWⓇ GL 104 XTRA’는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 액제(SL) 제형의 표면활성제로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독점 계면활성제이다. 이 제품은 활성 성분의 향상된 침투이행성, 잡초 재성장 억제 개선, 우수한 작물 안전성 및 제형 안정성을 촉진하며, 거위풀(Eleusine indica)과 난초풀(Echinochloa crus-galli) 등의 잡초에 강력한 효능을 나타낸다. 중국 농업부 산하 농약통제연구소(ICAMA)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으로 중국에서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제제를 등록한 회사는 거의 400개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제품의 효능은 제각각 크게 다른 데다 최근 ‘L-글루포시네이트’의 상용화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제이슨 첸(Jason Chen) 스테판 농업솔루션(Stepan Agricultural Solutions) 아·태지역 시장 관리자는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의 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3가지 요인으로 △활성 성분의 잡초
글로벌 FMC가 영국에서 오는 2024년 출시를 목표로 새로운 제초제 ‘Isoflex(이소플렉스)’의 등록을 추진하고 있다. AgPages에 의하면, 농화학 그룹 FMC는 현재 영국에서 블랙그라스와 라이그라스 방제 효과가 좋은 제초제 ‘Isoflex’의 등록을 추진 중이며, 등록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오는 2024년 가을부터 겨울 작물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FMC의 ‘Isoflex’ 제초제는 주로 블랙그라스와 라이그라스 방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존 제품과 비슷한 효능을 갖고 있지만 작용 방식이 달라 다양한 다른 제초제와 혼합 사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블랙그라스는 영국에서 방제가 가장 어려운 잡초로 꼽히고 있으며, 연간 약 4억 파운드(약 6306억원)의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한 블랙그라스의 제초제 저항성은 1982년에 처음 확인된 이래 특정 제초제에 대한 광범위한 저항성을 보이고 있다. FMC의 기술 리더인 개러스 존스(Gareth Jones)는 “영국에서 ‘Isoflex’ 제초제가 등록되면 블랙그라스와 라이그라스 등의 방제에 매우 유용할 것”이라며 “특히 블랙그라스 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전세계 미량원소 비료 시장은 연평균 8.4%의 성장률을 보이며 오는 2028년 68억7000만 달러(8조6800여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Reports and Dat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미량원소 비료 시장 규모는 2020년 3억9000만 달러였으나 오는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8.4%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따라서 미량원소 비료 시장 규모는 2020년 대비 8년 만에 18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세계 미량원소 비료 시장의 이러한 성장세는 미량원소가 농작물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증가와 식량 안보의 중요성 증가, 농경지의 제한된 가용성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유형에 따라 세계 미량원소 시장은 아연, 붕소, 망간, 몰리브덴 등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 중 아연 부문은 토양의 아연 결핍 증가로 인한 농업 부문의 아연 수요 증가로 인해 예측기간(2020~2028년) 내에 수익성 있는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아연은 신진대사, 식물에서 인산염과 질소의 적절한 흡수, 그리고 농작물의 중요한 성장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아연은 암을 예방하고 호르
유럽 식품안전청(EFSA)과 화학물질청(ECHA)이 ‘글리포세이트’ 재평가를 위한 전례 없는 추가 정보(데이터)와 의견 수렴에 나섰다. 아울러 EFSA와 ECHA는 ‘글리포세이트’ 재평가 과정의 나머지 단계에 대한 일정을 수정했다. AgNews에 따르면 최근 EFSA는 글리포세이트 갱신그룹의 요청에 따라 재평가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많은 양의 과학적 데이터를 추가로 업데이트했다. 이러한 추가 정보는 현재 초기 갱신 평가보고서(dRAR) 초안을 업데이트 중인 EU 4개 회원국(프랑스, 헝가리, 네덜란드, 스웨덴)으로 구성된 ‘글리포세이트 평가그룹(AGG)’에서 철저히 검토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EFSA와 ECHA는 이러한 배경에서 ‘글리포세이트’ 재평가 과정의 추후 일정을 수정했다. ◇ECHA의 분류=ECHA의 위험평가위원회(RAC)는 이달 30~31일 이틀간의 전체회의에서 글리포세이드의 환경 분류뿐만 아니라 발암성, 유전독성, 생식 및 발달독성 등을 고려한 위험 분류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RAC의 이러한 의견은 EFSA에 제공되며, 이후 8~10주(2022년 7월 말~8월 중순) 이내에 ECHA 웹사이트에 게시된다. EFSA는 ‘dRAR’의 동료검토
스미토모화학(Sumitomo Chemical)은 지난달 말 미국과 캐나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정부에 새로운 제초제 ‘RapidicilⓇ(라피디실)’의 등록을 신청했다. AgNews에 의하면 ‘에피리페나실(Eepyrifenacil)’의 상표명인 ‘라피디실(RapidicilⓇ)’은 스미토모화학이 개발한 신규 제초제 활성 성분으로 향후 3년 이내에 주요 글로벌 시장 등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미토모화학은 ‘RapidicilⓇ’의 현장연구를 통해 옥수수와 대두를 포함한 다양한 작물의 잡초방제에 사용할 수 있는 속효성 제초제로 입증받았다. 또한 ‘RapidicilⓇ’은 환경친화적이며 기존 경운 방식에 비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억제할 수 있는 무경운·축소경운 시스템에서 작물을 심기 전에 다양한 잡초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RapidicilⓇ’은 기존 제초제보다 적은 약량으로도 더 빠르게 효과가 나타나 지속 가능한 농업에 대한 세계적인 요구 속에서 환경 부담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작물보호 솔루션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미토모화학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농업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혁신적인 작물보호 제품의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