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해충·잡초가 농작물 생산에 미치는 위협은 실로 엄청나다. FAO(세계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농약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병해충으로 인한 농작물 수확량 감소율은 최대 53.4%에 달하고, 잡초로 인한 수확량 감소율도 최대 21.3%에 달할 수 있다. 그러나 화학농약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생물농약 개발 및 사용 필요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생물농약 개발 및 등록은 아직 묘연한 상황이다. 이에 반해 중국은 생물농약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며 개발 및 등록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중국 농업농촌부(MARA) 발표에 의하면, 2024년 7월 기준 152개 품목의 생물농약 원제(활성 성분)가 등록되어 있다. 그중에 생화학 농약(biochemical pesticides)이 36%, 미생물 농약(microbial pesticides)이 45%, 식물성 농약(botanical pesticides)이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1] 중국에 등록된 생물농약은 곤충생장조절제(insect growth regulators), 신호화학물질(semiochemicals), 식물생장조절제(plant growth regula
산동 루바켐(Shandong Luba Chemical Co., Ltd.)은 최근 글루포시네이트 2세대 제품인 ‘Glufosinate-P K⁺’(글푸포시네이트-피 포타슘 염) 형태의 제품을 중국 최초로 출시했다고 밝혔다. 중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Glufosinate-P 포타슘 염’ 형태의 제품은 중국 내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약효·약해 시험을 진행한 결과, 흡수율 면에서 단연코 경쟁제품보다 뛰어나며, 비슷한 제품이나 Glufosinate-P 제품에 비해 비농경지, 밭작물, 과수원 등에서 잡초 방제 효과와 속도 면에서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산동 루바켐은 Glufosinate-P 분야에서 중국 내 효소 전달 및 호르몬 기초 대량생산을 하는 유일한 회사이다. 중국에서 최초로 자체생산 원제를 기반으로 복제품 제품들이 따라오지 못할 정도의 기술격차를 바탕으로 한 ‘Glufosinate-P K⁺’ 형태의 제품 등록권자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