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F는 올해 말까지 독일의 Knapsack와 Frankfurt 공장에서 주성분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GA)’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다. 또 Frankfurt 공장에서 생산해오던 GA 제품은 오는 2025년에 종료되며, 그 이후 두 생산 시설 모두 폐쇄하기로 했다. BASF 농업솔루션은 최근 글로벌 GA 시장 상황을 고려해 이같이 결정하고, 지난 7월 이후 생산라인을 멈춰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전문가들에 따르면, BASF의 GA 생산은 제네릭 제조업체, 대체 기술, 높은 에너지 및 원자재 비용의 경쟁 증가로 인해 점점 더 큰 영향을 받아 왔다. 특히, 독일의 두 생산 시설 모두 비용 절감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BASF의 양과 수익성 개발은 충분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BASF는 생산 네트워크를 재구성하고 앞으로 제3자 공급업체로부터 주성분을 공급받을 예정이며, BASF는 이를 통해 GA 시장에서 장기적인 경쟁력과 수익성을 확보해 나가기로 했다.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은 여전히 BASF의 글로벌 제초제 포트폴리오의 핵심 구성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한편, BASF의 독일 공장 2곳이 가동 중단하더라도 모든 일자리(약 300개)는 2025
세계 최대 농약 시장으로 꼽히는 브라질 농무부(MAPA)는 지난해 177건의 농약 등록을 취소했다. 이 중에는 원제 등록 48건과 제품 등록 129건이 포함됐다. 이 가운데 89건은 등록 보유회사가 자진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업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인 알리에브라질(AllierBrasil)의 농약 등록 전문가인 플라비오 히라타(Flavio Hirata)에 따르면, 2023년 브라질에서 등록된 농약은 모두 555개 제품에 이르지만 등록 취소된 제품도 등록 건수 대비 31.89%에 이르고 있다. 브라질은 최근 5년(2023년 기준) 동안 총 2737건의 등록을 승인했다. 이는 농약 가격 경쟁이 심화하고 수입업체의 결제(지불) 기간이 연장되는 등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히라타는 이와 관련해 “농약 제품 등록은 시장 접근의 관문”이라고 전제한 뒤 “브라질에서 원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완제품을 등록하는 데는 10년 이상이 걸릴 수 있고, 비용은 10만 달러를 초과하며 연간 유지 관리 비용도 추가된다”고 등록의 어려움을 설명했다. 지난해 브라질에서 등록 취소된 제품 중에는 △카벤다짐 22개 제품 △피라클로스트로빈 15개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