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농업의 모습으로 그려지는 스마트농업의 출발 바탕은 재배업이다. 우리 농업의 발전은 재배업의 발전이라고 볼 수도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재배업이 중시되어 왔다. 대부분의 주곡 농산물을 땅을 이용해서 얻어왔기 때문이다. 수많은 농업관련 정책들도 여기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재배업의 생산 규모, 성장이 감소추세이다. 대응한 전략과 정책 마련을 고심해야 하는 이유이다. 재배업의 중심인 수도작에 관련된 정부의 정책들은 다수확·고품질 종자의 개발, 농기계와 비료, 농약 등 대규격과 고성능 농기자재의 개발과 공급확대에 있었다. 생산성 증대를 위한 기술개발과 이를 통한 생산량 극대화를 추구하여 왔다. 그 결과 우리의 재배업 생산성은 세계적인 수준이다. 이 과정에서 환경과의 갈등으로 친환경농업이 힘을 받았고 지금은 관행농업과 병존하고 있다. 밭작물 생산지원에 대한 강력한 정책적 지원은 1990년대 다수 국가들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시기를 같이 한다. 작은 경영 규모, 미흡한 기반조성 등으로 해당농가들의 피해가 우려되었기 때문이다. 생산지원 과정에서 밭작물의 모습이 크게 두 가지 길로 분화된다. 노지와 시설농업인데, 시설농업도 저기술과 고기술, 비닐
농업의 성장, 발전은 쉽지 않다고 주장한 바 있다.≪영농자재신문 2023.6.16일자 ‘우리 농업은 성장할 것인가? 어렵다’ 칼럼 참조≫ 농업총생산액이 약 50조원에서, 부가가치액이 약 27조원 수준에서 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다. 발전의 지표로 보는 농업소득은 급기야 1000만원 이하로 하락했다. 자본집약도는 증가했지만 생산성은 하락하였고, 노동집약도 역시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들어서 미래의 농업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피력하였다. 농업은 크게 재배업과 축산업으로 양분되는데, 재배업의 생산액은 2012년 약 34조원에서 2020년 약 30조원으로 감소했다. 축산업은 같은 기간 약 16조원에서 20조원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축산은 2000년대 들어서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인다. 최근 농업은 재배업 생산규모의 감소(농경지 면적 감소도 중요한 요소임)와 축산업의 성장으로 특징 지워질 수 있다. 축산업은 육류와 계란류, 우유류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육류는 2000년대 들어서도 꾸준한 공급량 증가를 보인다. 반면 우유류는 줄고 있고 2010년대 중반 이후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축산업을 성장으로 이끌고 있는 육류의 국내 생산량은 2021년 현재 약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