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4.1℃
  • 맑음강릉 17.3℃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4.6℃
  • 맑음대구 17.1℃
  • 맑음울산 16.9℃
  • 맑음광주 14.3℃
  • 맑음부산 15.0℃
  • 맑음고창 12.4℃
  • 맑음제주 14.9℃
  • 맑음강화 12.6℃
  • 맑음보은 13.4℃
  • 맑음금산 13.8℃
  • 맑음강진군 15.3℃
  • 맑음경주시 17.4℃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농기계

전체기사 보기

농진청, 농업로봇 ‘통합 관리 프로그램’ 개발

이승돈 국립농원과학원장 농식품부 브리핑서 밝혀 “통합관리-현장보급-산업표준 3박자로 로봇 확산” 영농 디지털화 농가결정 지원…고령화‧인력난 해소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이 농작업 단계(과정)별 로봇과 연계 가능한 기술이 적용된 ‘통합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아울러, 농업로봇의 농가 보급과 산업표준 개발로 관련 산업 지원에 나선다. 이승돈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 원장은 23일 오전 11시 농림축산식품부 브리핑에서 "농업로봇의 통합 관리, 신속한 보급, 산업표준 개발과 제정 3박자를 통해 농업로봇 확산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7월 ‘스마트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아울러 올 1월에 스마트농업 육성 계획을 마련하고, 농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 중 하나로 스마트농업 기술 도입을 촉진하여 2029년까지 스마트농업 기술과 장비 도입 온실 면적을 35%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한편 농진청은 온실에 스마트농업 기술 활용을 위한 방제 로봇(2022년), 운반 로봇(2023년), 점검(모니터링) 로봇(2024년) 3종을 개발한 바 있다. 그리고 이들 로봇을 연계해 작업 효율을 높이고 작업 정보를 디지털화 해 관리‧제어하는 ‘통합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통합 관리 프로그램은 농업인이 개인용 컴퓨터나 휴대전화로 여러 대의 로봇을 연결해 동시에 관리하고 로봇 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