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뇨의 대표적인 처리와 이용 방법은 퇴비·액비화로 약 87%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향후 농지 감소와 격화되고 있는 악취 민원, 탄소중립 정책 실행으로 가축분뇨 新처리방법이 정책 이슈가 되었다. 농업 외 다양한 이용으로 가축분뇨의 자원화, 에너지화를 모색하는 시도가 전개되고 있다. 바이오차, 고체연료, 정화처리, 바이오가스화 등 가축분뇨의 처리·이용 다각화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중 바이오차는 탄소고정이라는 특징적인 작용으로, 탄소중립 농업의 주요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바이오차(bio-char)는 바이오매스(Biomass)와 숯(Charcoal)의 합성어로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열분해하여 만든 탄소 함량이 높은 고형물을 지칭한다. 2019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이산화탄소 저감 방안으로 승인됐으며 탄소격리, 온실가스 저감, 토양개량 효과 등을 인정받고 있다. 350℃ 이상의 온도와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바이오매스(목재, 가축분뇨 등 유기성물질)를 열분해하여 만들어진 소재로서, 농업 분야 유일의 탄소활용저장(CCUS) 기술로 65~89%의 탄소가 고정되는 것으로 IPCC에서 인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바이오
(사)한국친환경농업협회(회장 강용)는 이달 8~9일 전라남도 해남군 우슬체육공원에서 ‘‘2023 한국친환경농업인 전국대회’를 개최한다. 협회는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실천적 과제가 필요한 시기에, 농업과 환경의 가치를 높이고 지구를 지키는 전국 1만여명의 친환경농업인이 모여 탄소중립의 실천 의지를 다지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8일에는 주제강연 및 레크리에이션(12시) 등의 사전행사에 이어 기념식(17시), 결의문 낭독, 저녁식사와 축하공연 및 문화공연이 이어질 예정이다. 9일에는 폐회식(9시)과 함께 선진지 견학 및 지역문화탐방을 하는 일정이다. 같은 기간 부대행사로 ‘농기자재 전시회’와 ‘친환경농산물 전시홍보’도 마련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