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동방아그로 (9.1일자) 상무이사 김원
여름 돌발해충 ‘응애’…적기방제 급선무 방제 소홀하면 내년 수확량에도 큰 영향 국내에 등록된 응애약은 134품목, 58주성분에 시장규모는 500억원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그 중에서 적용대상이 응애만 있는 전용약제는 36품목, 260억원의 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나머지 100여 품목의 시장규모는 통상적으로 250억원 가량에 달한다. 국내 전체 시장규모에 비해서는 그리 크다고 할 수 없겠지만, 응애는 꼭 방제해야 하는 대상해충이기 때문에 농업인들의 관심대상 해충 중의 하나로 꼽힌다. 살충제의 방제대상인 곤충 혹은 벌레들은 해충분류학상 각각의 위치를 가지고 있다. 주요 방제대상 해충으로 분류하는 진딧물, 나비목해충, 딱정벌레목 등 대부분의 곤충들은 ‘곤충강(Insecta)’에 해당하며, 응애의 경우 곤충강과는 분류상 다른 ‘거미강(Arachnida)’, ‘응애목(Acari)’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분류 자체가 기존 해충들과 다른 종류이기 때문에 응애약의 경우 전용약제가 많은 이유이기도 하다. 기존 약제들 중에서도 진딧물에 효과가 있는 것은 나무이, 가루깍지벌레, 깍지벌레, 멸구류 등 기타 분류학상 같은 매미목 해충에 효과를 발현하기 마련이다. 또 다른
2020년도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예산 및 기금안 총지출 규모가 15조 2,990억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금년대비 6,394억원(4.4%↑) 증액된 규모다. 예산 일반지출 규모가 9조 9976억원으로 올해 대비 5.5% 증가, 기금 일반지출 규모는 5조 3014억원으로 2.3% 증가했다는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분야별로는 농업‧농촌 분야 14조 8538억원(4.4%↑), 식품분야에 7453억원(7.6%↑)이 투자된다. 농식품부는 내년도 예산편성 방향에 대해 ‘산업 중심’에서 ‘사람을 함께 배려’하는 재정운용으로 농업·농촌의 사회적가치를 제고하고, 농식품산업의 혁신성장을 견인한다고 밝혔다. 농업의 패러다임을 ‘사람 중심 농정개혁’으로 전환하기 위해 공익형 직불제로 개편 및 농업인 소득·경영안정 지원을 강화한다. 소득·경영 및 가격 안정=쌀에 편중된 현행 직불제를 품목·지목 구분없이 지급하고 중소농을 배려하는 공익형 직불제로 개편해 2.2조원을 반영한다.(‘14~’18 연평균 1.7조원 지급) 쌀 고정‧변동, 밭농업, 조건불리, 친환경, 경영이양, 경관보전 등 총 7개 직불제(1.14조원)와 공익형직불제제도 개편 신규사업(1.06조원)을 편성한다. 이에 대해 연말까
친환경(유기)농자재업계는 요즘 “너무 힘들다.” 국내 친환경농업 기반이 붕괴일로로 치닫는 데다 행정기관의 지나친 규제와 단속 등으로 인해 숨고를 틈조차 없는 최악의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친환경인증농가들은 친환경농산물 가격이 ‘친환경’답지 못하다보니 재배규모(면적·작물)를 축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친환경농자재 수요처가 줄어들면서 친환경농자재업체들은 심각한 경영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여기에 행정기관의 각종 규제와 단속 강화는 친환경농자재업계의 비용증가와 매출감소를 야기하면서 친환경농자재산업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다보니 친환경(유기)농자재업체들은 이미 한계점에 도달한 내수시장의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출혈·과당경쟁도 마다하지 않는다. 수출로 내수부진을 돌파해 보려고 하지만 더더욱 녹록치 않다. 친환경(유기)농자재업체들이 하나같이 “앞이 캄캄하다”는 반응을 보이는 이유다. 돌파구는 없을까. 《영농자재신문》이 지난 14일 대전 (주)비아이지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친환경농자재업계 CEO 간담회’ 참석자들은 정부정책(규제) 개선방안과 내수(유통) 및 수출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요즘 어떠세요
식도암에 걸린 사람과 설암에 시달리는 사람이 만났다. 식도암이 말했다. “입맛이 당긴다는 말을 이제야 알겠다. (배 쪽을 가리키며) 목구멍에서 음식을 당겨주지 않으니까 (음식이) 내려가질 않아. 입으로 열심히 씹어 삼켜 넣어도 밑에서 당겨주질 않으니 목구멍에 얹히기도 하고, 가끔은 코로 나오기까지 하네.” 설암이 답했다. “나는 뱃속에서 자꾸 맛을 당기는데 당최 입이 받질 않아. 혀가 맛을 느껴야 하는데, 그게 안 되니 식욕도 안 생긴단 말이지. 입도 불쌍하고 배도 불쌍하고…” 다행히 두 사람 모두 병세가 호전되는 중이다. ‘요즘 암은 불치병이 아니다’라고 위로하다가 문득, 누가 누굴 위로할 수 있는가 회의가 들었다. 낌새를 알아챘는지 (원래 육체적 환자들은 정신이 예민해져 정신병 환자들을 금세 알아챈다) 두 암이 앞뒤 안 맞는 말을 했다. “그래도 다행이지 뭐냐. 살날이 많이 남지 않았다는 게… 요즘 같은 시대에는 늙기 전에 가는 게 낫지.” “너무 오래 살까 무서운 것은 그나마 괜찮은데, 입맛 잃는 건 싫어. 맛있는 거 못 먹는 거야말로 고통 중 상고통이지.” 세상에, 이처럼 관조적인 사람을 만난 지 얼마 만인가 싶었다. 하루빨리 그들에게 입맛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오경태)은 현장 체감도가 높은 농식품 분야 연구개발 성과를 발굴해 10대 기술로 선정하고, 그 성과를 확산할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농기평이 주관하는 이번 공모는 기존의 학술적, 기술적 우수성을 중요시 하는 연구개발 우수성과 선정 기준에서 탈피해 ▲영농 및 농산업 현장문제 해소 ▲농업인 생산성·소득향상 기여 ▲농산업 현장의 경제적 파급효과(매출·수출·수입대체 효과)등을 기준으로 10대 기술을 선정할 계획이다. 최종 선정된 10개 성과는 ▲기술소유인에게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 시상 ▲현장 우수 R&D 현판 제작‧배포 ▲박람회 전시와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홍보의 혜택이 주어진다. 농식품 분야 현장 중심 우수 연구개발 추진 일정은 9월 27일까지 공고 및 접수, 10월 중 심사 및 국민 의견 수렴을 통한 우수성과 선정, 11월 중 그 성과를 공유 및 확산할 계획이다. 성과 접수는 8월 12일 월요일부터 9월 27일 금요일까지 농림식품연구개발사업 통합정보서비스(http://www.fris.go.kr)를 통해 진행 중이며, 개인·농업분야 단체·농업 관련 지자체 기관 등에서 접수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이병호)는 최근 발표된 ‘2019 국제공인분석능력 숙련도평가(FAPAS)’ 결과를 통해 잔류농약 및 중금속 분석능력이 국제적 수준임을 인정받았다. ‘FAPAS(Food Analysis Performance Assessment Scheme)는 영국 식품환경연구청(FERA)이 운영하는 농식품 화학분석 분야의 대표적인 국제 숙련도평가 프로그램으로서, 국제적 인지도가 높아 세계 각국의 정부기관, 연구소, 민간 분석기관 등이 참가해 분석능력을 검증받고 있다. 중금속은 지난 5월 29일부터 7월 11일까지, 잔류농약은 6월 13일부터 7월 25일까지 평가가 진행됐으며, 전 세계 약 70여 개 분석기관이 참가했다. aT는 올해 처음으로 알드린 등 잔류농약 8개 성분과 납·카드뮴 등 총 10개 성분에 대한 분석능력 평가에 참가했으며, 10개 모두 ‘우수’ 등급을 받았다. 특히, aT는 중금속인 납에 대한 ‘Z-score’가 ‘0.0’을 기록하며 참여기관 가운데 최고 수준의 평가를 받았다. ‘Z-score’는 실제 평가결과와 제출값의 차이를 전체 참여기관의 표준편차로 나누어 산정하는 것으로, 0.0에 가까울수록 우수함을 나타낸다. 이번
농협중앙회(회장 김병원)는 지난 22일 고양시 킨텍스에서 ‘2020년 농가소득 5천만원 달성’ 결의 및 ‘범농협 농가소득 증대 사업’ 추진 동력 확산을 위해 ‘2019 하반기 농축협 사업추진 설명회’를 개최했다.<사진> 2019년 하반기 중점 추진 소득 증대 5대 사업으로는 생산 과잉 전망 농산물에 대한 재배면적 감축 등을 통한 ‘농산물 수급 안정을 통한 제값 받기’, 로컬푸드 출하회 구성, 로컬푸드 직매장 신설 제비용 지원 등을 통해 다품종 소량 생산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한 ‘로컬푸드 직매장 확대’, 농업인 소득증대를 위한 비료·농약·농기계·필름 등 가격 인하로 ‘농업경영비 절감’, 한우번식기반 확충, 한우농가 자동·기계화 지원(사료급이시설) 등과 한우 개량 등을 통한 ‘한우사업 경쟁력 강화, 과수농가 냉해 피해 예방을 위한 방상휀 지원 등 지역별 소득격차 해소를 위한 ‘농가소득 취약요인 개선사업’ 등이 선정·발표됐다. 이 날 행사에는 농협중앙회장을 비롯한 지역농축협 경제상무, 중앙회 임직원 등 1500여명이 참여했으며, 참석자들은 ‘농가소득 현황 및 하반기 추진 전략’, ‘農-up↑ 토크’,김병원 회장특강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20
늦더위를 잊게 해 줄 여름 배로 수확 시기가 빠르고 육즙이 풍부한 국산 배 ‘한아름’ 품종이 주목받고 있다. 8월 중순에 생산하는 ‘한아름’은 농촌진흥청에서 2001년 개발한 품종이다. 열매는 어른 주먹만한 중간 크기(480g)로 혼자 먹기에도 부담이 없다. 과즙이 많고 당도도 13브릭스로 높아 달콤하다. 껍질이 얇아 깎지 않고 바로 먹을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햇배 ‘한아름’은 ‘제2회 대한민국 우수품종대상(2006)’에서 농림축산식품부장관상을 받아 우수 품종으로도 인정받았다. 품종 출원과 동시에 농가에도 보급했으며, 현재 약 50헥타르에서 재배하고 있다. 농진청은 ‘한아름’ 품종을 알리기 위해 지난 23일 강원도 양양에서 농가, 중도매인, 산업 관계자들과 현장 평가회를, 지난 24일에는 강원도 양양 낙산 해수욕장에서 소비자 대상 시식회를 마련했다. 시식 행사에는 ‘배 소비자 서포터즈(지원단)’도 참여했다. 서포터즈는 새 품종의 맛과 특성에 매료된 소비자들이 2008년 결성한 모임으로, 현재 277명이 국산 배 홍보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강삼석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장은 “배는 성질이 차며, 갈증 해소와 해독 효과도 입증된 과일이다
맛이 좋고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는 작은 사과 ‘루비에스’ 품종 70톤가량이 이달 말께 유통된다. 루비에스를 개발한 농촌진흥청은 28일 대전 선샤인호텔에서 품질 좋은 사과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세미나(발표회)를 열고 올바른 재배정보를 공유한다. 8월 하순에 익는 ‘루비에스’는 한 개에 60∼80g(보통 사과 270∼300g) 정도로, 탁구공보다 약간 크다. 1인 가구가 늘면서 도시락이나 컵 과일용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본 품종인 ‘알프스오토메’에 ‘산사’ 품종을 교배해 2014년 최종 선발한 ‘루비에스’는 낙과가 거의 없다. 저장성이 좋아 상온에서 50일 이상 유통할 수 있으며 탄저병에도 강하다. 당도가 높고 산도는 낮아(당도 13.9브릭스, 산도 0.49%) 맛이 좋다. 현재 71개 묘목 업체에 품종 관련 기술이 이전됐으며, 올해 70톤가량이 생산돼 유통을 시작할 전망이다. 경북 봉화와 영천은 ‘루비에스’ 집단 재배 단지를 조성했으며, 경기도 광주·양평·이천, 충남 청양 등도 단지를 만들었다. 28일 ‘루비에스’ 고품질 안정 생산 세미나는 대목에 따른 자람새와 알맞은 대목 선택 방법, 결실(열매 맺음) 관리 방법을 발표한다. 또한 과일을 직접
농업회사법인아시아종묘(주)(대표 류경오)가 8월말 개점하는 도시농업백화점 ‘채가원’의 BI(Brand Identity)<사진>를 공개했다. 채가원의 BI는 어떻게 하면 도시민이 가정에서 손쉽게 농작물에 대한 접근성을 늘릴 수 있을까 하는 고민에서 탄생했다. 류경오 아시아종묘 대표이사는 “도시농업이 활성화돼야 내가 먹는 식품이 어떠한 효능이 있는지 알게 되고, 기능성 씨앗을 직접 길러 먹으면서 건강을 챙길 수 있다”고 전했다. 이에 채가원의 BI는 가정에서 길러먹는 건강한 먹거리를 의미하고 있다. 로고에는 가정을 의미하는 집의 형상과 채소를 상징하는 새싹의 이미지, 신선함과 건강함을 뜻하는 녹색 계통의 색상으로 구성돼 있다.
농촌진흥청은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유기농업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유기농기술지’ 18권을 발간하고, 농업기술포털 농사로(www.nongsaro.com)에 게재했다. <사진> 유기농기술지는 농진청에서 연구한 다양한 유기농업 기술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 전문기술지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에는 5만7000여 유기재배 농가가 있으나, 많은 농가에서 관련 기술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을 호소해 유기농업 관련 정보의 확산이 필요한 실정이다. 유기농기술지는 주요 작목의 유기농업 기술을 종합해 소개하고 있으며, 토양 관리 등 관련 내용은 농사로에서 볼 수 있다. 이 책자는 2017년 7월부터 발간되고 있으며, 농사로에 접속한 후 영농기술-친환경유기농업-유기농기술지 순서로 선택하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고병구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과장은 “앞으로도 유기재배 농가에서 다양한 기술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유기농기술지를 발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