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기고

전체기사 보기

기후위기시대, ‘기술혁신’이 식량안보 지킨다

윤혜진 농촌진흥청 슈퍼컴퓨팅센터 농업연구사

지난 11월, 첫눈이 쏟아진 날 강릉에서는 철쭉이 만개했다는 이례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철쭉과 같은 식물은 일정 기간의 저온을 거쳐야 꽃눈이 트이는데, 이상기후로 이러한 생리 주기가 교란된 것이다. 이 사례 말고도 요새 정해진 시기를 벗어나 꽃이 폈다는 뉴스를 자주 접하고 있다. 꽃이 일찍 핀다는 것은 작물의 생장과 번식 주기 전반에 영향을 미쳐 종자 생산 차질로까지 이어진다는 것을 뜻한다. 한반도의 생태 시계는 빠르게 변하고 있다. 특히 기후 변화로 인한 고온, 가뭄, 집중호우 등이 잦아지면서 농작물 생산 환경이 악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정적인 수확이 어려워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여름철 전국 평균기온은 25.6℃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매년 쌀, 채소, 과일의 생산량은 3~5%씩 감소하는 추세다. 우리나라 전체 곡물 자급률은 21% 이하로 해외 식량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국제 곡물 시장의 불안정성이 곧바로 국내 식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다. 불안정한 식량 생산 환경은 물 부족과 병충해의 확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감사원이 2023년 발표한 ‘기후 위기 적응 및 대응 실태 보고서’를 보면 2031년 이후 연간 최대 6억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