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리포세이트 가격이 계속 치솟고 있다. 더불어 공급부족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다. AgPages에 의하면 지난 2020년 8월 톤당 미화 3423.5 달러(2만2000 위안)이던 글리포세이트 가격은 현재 톤당 5680 달러(3만6500 위안)로 10개월여 만에 66% 상승했다. 글리포세이트의 가격 상승과 공급 부족 현상은 언제까지 이어질까? 크리스티나시에(Christina Xie) AgPages 수석 편집장이 말하는 향후 글리포세이트 가격 추세와 공급 및 수요 상황에 대해 판단해 본다. 원자재 가격이 글리포세이트 생산비 부채질 중국 대부분의 제조업체들은 글리신(Glycine) 경로를 이용해 글리포세이트를 생산하고 있다. 중국 제조업체들에 의하면 현재 글리신 가격은 계속 상승해 톤당 약 1만5000 위안(2334 달러)을 기록하고 있으며, 다른 원료인 황린(Yellow Phosphorus)의 가격도 톤당 약 1만7800 위안(2770 달러)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글리포세이트의 생산 비용은 부산물을 제외하고 톤당 약 3만 위안(4668 달러)이며, 부산물을 계산하면 톤당 약 2만7000 위안(4201.6 달러)에 이르고 있다. 글리포세이트 생산을 위한
글로벌 농화학기업인 FMC Corporation은 최근 인도 UPL Limited와 살충제 ‘Rynaxypyr®(레낙사필™)’의 생산·공급 확대를 위한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협력관계를 체결했다. AgNews 등에 따르면 FMC는 이번 UPL과의 전략적 협업을 통해 ‘Rynaxypyr®’ 제품의 글로벌 시장 확대에 필요한 생산량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FMC의 최대 수요처 중의 하나인 인도 시장에서 ‘레낙사필™’ 제품의 공급 확대도 점쳐지고 있다. 마크 더글러스(Mark Douglas) FMC 사장 겸 CEO는 “UPL과 전략적 관계를 맺고 새로운 글로벌 파트너로 성장 전략을 수립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FMC가 차별화된 제형으로 다양한 지역과 농작물에 대한 선도적 기술 확장을 위한 중요한 협업”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자이 슈로프(Jai Shroff) UPL 글로벌 CEO는 “FMC와 상호 이익이 되는 계약을 체결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이번 협업은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원하는 농업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개방농업(OpenAg™) 목적에 대한 우리의 의지를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FMC는
글로벌 화학 기업 바스프가 2021년 매출 전망치를 최대 640억 유로로 설정했다. 또 순이익은 최대 50억 유로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20년 한해 순이익도 당초(2020년 10월 발표) 예상치를 뛰어 넘었다. 바스프는 이달 2일 이같은 ‘2021년 경영전망’과 ‘2020년 실적’을 발표했다. 바스프에 따르면 2020년 한해 특별항목 제외 순이익(EBIT)이 지난 10월에 발표한 예상치를 뛰어넘고 분석가들의 컨센서스(평균 전망치)를 웃도는 결과를 달성했다. 이에 지난 1월 20일 예상 수치를 미리 발표한 바 있다. 바스프 그룹 이사회 마틴 브루더뮐러(Martin Brudermüller) 의장은 2020년도 실적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2020년은 힘든 시기였으나 바스프는 강한 모습을 보이며 한 해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며 “2020년 4분기에는 모든 지역의 총액이 증가했으며, 특히 중국에서 두 자릿수 성장을 지속하는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판매액이 늘었다”고 밝혔다. 브루더뮐러 의장은 특히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같은 일부 원재료 생산 라인에서 마진을 상당히 높일 수 있었으며, 고정비용 감소 역시 2020년 4분기 긍정적 결과에 주요 요인
Bayer, Syngenta, BASF, Corteva, FMC와 같은 다국적 농화학기업과 일본의 농약 혁신기업들의 매출은 글로벌 농약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제품 연구와 개발을 위해 끊임없이 투자하면서 항상 신제품 출시를 촉진하는 한편 기존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늘려 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래서 이들 기업의 베스트셀러(가장 잘 팔리는) 제품과 신제품, 그리고 현재 개발 중인 제품들은 관련업계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해 보인다. AgPages는 최근 이들 농화학기업들이 내놓은 농약 한품목당 연간 매출이 미화 5억불(한화 약 5550억원)을 훌쩍 뛰어넘는 최신 제품들을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 제품의 일부는 이미 전세계 농약시장에서 ‘블록버스터 제품’으로 자리를 굳혔고, 또 일부는 블록버스터 제품이 될 잠재력을 장착하고 곧 글로벌 시장에 출시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농약 ‘5억불 클럽’으로 분류되는 이들 최신 제품들을 들여다본다. [편집자 주] 2018년 호주에 ‘인스칼리스’(제품명) 최초등록 저항성 진딧물 약제…연간매출 5억 달러 예상 성보화학 2021년 신제품 살충제 ‘세피나’ 출시 ‘아피도피로펜(Afidopyropen
일본 구보다가 자율비행 과일수확 기술의 세계적인 리더인 이스라엘 기업 테벨(Tevel)에 2000만달러를 투자했다. 구보다는 농산업을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신제품 및 서비스 창출을 위한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Covid-19로 인한 세계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구보다 그룹은 비즈니스의 모든 부문에서 통합 및 협업 솔루션, 기술 발전 및 고유한 고객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커뮤니티 중심의 비즈니스 운영을 확장할 계획이다. 매년 전 세계 7000만 헥타르의 면적에서 8억 톤 이상의 과일이 생산되며, 이는 연간 시장 가치 1조 달러에 해당한다. 농부들은 과일 따기에 매년 1000억 달러를 지출하고 단기간 동안 1000만 명 이상의 임시 근로자를 고용해 과일을 수확한다. 이런 가운데 인력 부족 문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수확 시즌 동안 현장 작업자를 채용해 운영하는 것은 투자 및 수익성의 마이너스 요인이며 짧은 시간 내에 경쟁적으로 모든 과일을 수확해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또한 Covid-19 위기는 이주 노동자의 가용성을 제한함으로써 노동력 부족을 더욱 악화시키고 과일 생산의 위험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테벨의 솔루션은 사용 가능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제
켐차이나(ChemChina) 산하신젠타 그룹은 중국 난징시에 2억3000만 달러(한화 약 2585억원) 규모의연구개발센터를 건설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AgNews에 따르면신젠타 그룹의 이번 R&D센터는 생물, 디지털화, 농업 빅데이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신젠타는 지난 2018년중국 농약시장의 약 7%를 점유하는 등 선두주자를 자처하고 있다. 중국은심각한 토양오염으로 인해 화학물질 사용을 줄이기 위해 수년간 노력해 왔다. 신젠타는 최근 난징시에 위치한이탈리아 회사를 인수하면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자연적 해결책인 바이오 솔루션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지난 2017년 430억 달러에 신젠타를 인수한 켐차이나는 지난해 스위스 기업을 이스라엘의ADAMA 및 중국 국영화학기업 중 하나인 시노켐(Sinochem)의 비료 및 종자 사업과합병했다. 켐차이나는 신젠타그룹을 2022년 상반기 이전에중국 기술주 중심의 스타마켓에 기업공개(IPO)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농업과학 선도기업인 FMC Corporation은 최근 생물학적 효소 기반농작물 보호 솔루션을 연구, 공동개발, 사업화하기 위해 세계적인효소 생산기업인 Novozymes(노보자임스)와 전략적 협업에들어갔다. AgPages에 따르면 두 회사 간의 협업은 전 세계 살균제와 살충제 시장을 위한효소 기반 바이오 방제기술에 집중된다. 이번 파트너십은 FMC의대표적인 주요 병충해 방제용 디아마이드(Diamide) 살충제 기술과의 결합 제품 외에도 아시아 대두녹스(ASR)와 같은 주요 대두 곰팡이 질병 방제를 위한 솔루션 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다. FMC와 Novozymes는 앞으로 각사의연구개발(R&D) 역량을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로 했다. FMC는 이번 협업을 통한 Novozymes의 기술을 활용해 여러종류의 효소를 평가함으로써 혁신적인 생물학적 작물보호제품을 식별하는 성공률을 촉진하고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Mark Douglas(마크 더글러스) FMC 사장은“작물보호 시장에 효소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Novozymes와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FMC는 농작물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수확량을 보호하며, 저항성에
최근 중국 농약가격이 지속적인 상승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중국 현지 농약원제 딜러에 따르면 올해 1월말 기준 △글리포세이트 1.95% △아세토클로르 4.92% △부타클로르 5.92% △에마멕틴벤조에이트 9.70% △아바멕틴 분말 8.95% 등 12 종의 농약 가격이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농약가격이 기존의 높은 가격 수준에 이어 또다시 오름세를 보이는 것은 주로 원자재 가격 상승이 지속 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한 최근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일부 농약회사들의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시장 공급도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안후이 성의 한 농약 제조회사 관계자는 최근 농약가격 상승의 주요인은 원자재 가격 인상과 오는 3월말까지 생산을 유지할 수 있는 구매 주문량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가격 상승은 한동안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원자재 가격 인상 압력=2020년 중국의 제초제, 살충제, 살균제 가격 은 두 차례나 올랐다. 글리포세이트의 경우 첫 번째 가격 상승은 2020년 초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글리포세이트는 2019년 하반기 급격한 감소세에서 반등했다. 당시 가격 상승은 코로나19로 인한 원자재
바스프가 환경친화적 신규 살충제 ‘악살리온(Axalion™)’의 글로벌 등록에 나섰다. AgPages에 따르면 BASF는 한국과 호주를 시작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유럽연합에 환경친화적 신규 진딧물약제인 ‘Axalion™’ 살충제의 등록 자료를 제출하면서 등록 신청 절차를 시작했다. ‘Axalion™’은 BASF가 새로 개발한 진딧물약제의 원제 상표로 일반명은 ‘딤프로피리다즈(Dimpropyridaz)’이며, 우리나라에는 2020년 12월에 원제 등록신청을 마쳤다. 국내 농약업계에 의하면 ‘Dimpropyridaz(BAS-550I)’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딧물과 깍지벌레(2000배), 가루이( 1000배) 방제약제로 2년차 시험을 진행 중에 있다. 한국삼공은 ‘Dimpropyridaz 10% 분산성액제, 농협케미컬은 10% 액제, 경농은 1.5% 입제 제품을 빠르면 2023년 하반기 또는 2024년에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롤드 바스티안스(Harold Bastiaans) BASF 농업솔루션사업부 살충제 연구부사장은 “새로운 Axalion 활성성분의 발견과 개발은 농업인들이 농업 생산성과 환경보호 및 사회적 필요성의 균형을 유지하는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개
바이엘 AG는 오는 2월 1일자로 사례나 린(Sarena Lin, 50세)을 경영담당 이사로 임명했다. AgNews에 의하면 Sarena Lin은 앞으로 Bayer의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한 인사, 전략 및 비즈니스 컨설팅을 담당하는 최고 혁신&인재책임자로 일하게 된다. 노무담당 이사도 함께 맡게 될 Lin은 그동안 맥킨지(McKinsey)와 카길(Cargill) 등에서 고위직으로 일해 왔다. Lin은 현재 미국과 대만의 시민권자이며, 영어와 만다린 중국어 그리고 기본적인 독일어를 구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버트 윈켈존(Norbert Winkeljohann) Bayer AG 감독위원회 회장은 “Sarena Lin이 글로벌 경험, 전략적 전문성, 리더십 기술 및 대규모 혁신을 주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Bayer 이사회를 강화하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노버트 회장은 또 “Bayer는 이제 시작된 혁신을 결정적으로 가속화해야 한다”며 “바이엘만큼 지속적인 바이오 혁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업은 거의 없다. 매력적인 생명과학 분야에서 Bayer의 선도적인 위치를 빠른 성장과 가치 창출로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리버 쿨케(Oliver Zü
Agdia가 토마토 갈색 루고스 과일 바이러스(ToBRFV) 검출을 위한 새로운 ELISA 시약 세트의 완전한 상용화를 발표했다. Agdia에 따르면 ELISA는 2021년 상반기에 출시될 세 가지 ToBRFV 진단 분석 제품군의 첫 번째이다. 표준 시약 세트는 즉시 주문이 가능하며, 사전 포장된 ‘Pathoscreen®(파토스크린)’ 키트도 곧이어 출시할 예정이다. Agdia는 또 현장 배포가 가능한 등온분자 테스트도 이달 중에 상용화할 예정이며, 이후 2021년 1분기 또는 2분기에 면역 스트립 측면 흐름장치인 ‘ImmunoStrip®’도 선보일 예정이다. Agdia는 ToBRFV 진단용 ELISA의 토마토와 고추 씨앗에 대한 테스트를 마쳤다. 테스트 결과에 의하면, Agdia의 ToBRFV 진단용 ELISA는 현재 시판 중인 모든 ELISA 제품과 비교해 표적 병원체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제한된 수의 고역가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TMV)와 토마토모자이크바이러스(ToMV) 샘플에서 매우 낮은 교차 반응성이 관찰됐다. 또한 오이녹색모자이크바이러스(CMMV), 규리녹색모자이크바이러스(KGMMV), 페퍼밀드모자이크바이러스(PMMoV),
BASF, Syngenta, FMC, Bayer Crop Science, Corteva Agriscience, Nufarm 등 유럽의 글로벌 농화학그룹들은 오는 2030년까지 신기술과 지속가능한 제품 개발을 위해 140억 유로(한화 18조6864억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합의했다. AgPages에 따르면 유럽의 농작물보호산업(ECPA)의 회원인 이들 그룹은 최근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을 지원하기 위해 이같은 투자계획을 담은 야심찬 ‘2030년 약속’을 채택했다. ECPA는 이러한 투자 외에도 EU의 ‘Farm to Fork’및 생물 다양성 전략의 일환으로 쓰레기 수거를 늘리고 유럽 농업인들의 훈련 수준을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Farm to Fork’는 식자재 생산업자와 식품공급자들이 직접 판매 관계를 맺는 방식으로 중간 유통마진을 줄이고 유기농법을 시행해 생산 환경과 보건의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한 전략이다. 리비오 테데스키(Livio Tedeschi) BASF 농업솔루션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수석 부사장은 “우리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직업인 농업을 위한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고 싶다”며 “BASF는 100년
중국 양농화학의 자회사인 유지아식물보호공사가 피레스로이드와 메소트리온 원제 및 중간체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AgNews에 따르면 중국 난퉁 지방정부는 지난해 25일 강소성 루둥현 연안경제개발구에 설립되는 장쑤양농화학(Jiangsu Yujia Plant Protection Co., Ltd.) 자회사인 유지아식물보호공사의 농약 원제 및 중간체 생산 프로젝트를 승인했다. 양농화학의 이번 프로젝트에는 연간 7310톤의 피트로이드를 비롯한 플루아지남 1000톤, 메소트리오네 6000톤, 디에노아졸 3000톤, 루페누론 2000톤, 이카리딘 200톤, 시너지 500톤의 원제와 4만6121톤의 중간체 생산계획이 담겨 있다. 시노켐 그룹은 지난 2019년 5월 루동해안경제개발구역에 시노켐 현대식물보호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루동군과 전략적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유지아식물보호공사는 같은 해 시노켐 현대식물보호산업단지 1단계 건설에 2022억위안(34조1678억원)을 투자해 연간 1만1225톤의 피레트로이드(중간체 포함)와 메톡사디아존 50톤, 티디아주론 200톤, 프로피코나졸 2000톤, 클로르플루아주론 200톤, 할록시톱-R-미틸 500톤, 디페노코나졸 1000
중국은 올해 3월부터 양쯔강 1km 이내에 화학공장 신축이나 증축을 금지하기로 했다. 제13차 중화인민대표대회 상임위원회는 지난해 12월 26일 24차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양쯔강 보호법’을 제정했다. ‘양쯔강 보호법’에 따르면 양쯔강과 그 지류에서 1km 이내의 화학단지 또는 화학공장의 건설 또는 확장을 금지하고 있으며, 양쯔강을 따라 중앙집중식 인산염 및 인산비료 생산시설이 있는 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보다 엄격하게 규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중국은 또 양쯔강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고독성 화학물질의 선박운송을 금지하고 양쯔강 유역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업시설에 대한 규제도 대폭 강화한다. 아울러 지하수 오염원에 대한 조사·평가를 통해 잠재적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로 했다.
중국산 글루포시네이트와 글리포세이트 가격이 올해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비선택성 제초제의 ‘양대 산맥’으로 통하는 ‘글리포세이트’와 ‘글루포시네이트’ 가격은 지난 6월과 비교해 각각 32.86%, 54.55%가 인상됐다. 이는 대부분의 원제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내년 제초제 시장 가격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중국 현지 원제 딜러 및 외신에 따르면 지난 12월 18일 현재 중국의 평균 글리포세이트 시장가격은 6월1일 톤당 2만700위안(한화 348만4000여원)보다 32% 상승한 2만7300위안(한화 459만5000여원)을 기록했다. 또 글루포시네이트 가격은 지난 6월 톤당 12만7000위안(2137만7000여원)에서 17만5000위안(한화 2945만6000원)으로 인상됐다. 이를 ㎏당 USD로 환산하면 글리포세이트의 경우 ㎏당 3.2$에서 4.2$로 올랐으며, 글루포시네이트는 ㎏당 19.5$에서 29.5$로 가파르게 인상됐다. 이들 중국산 제초제 원제의 급격한 가격 상승은 공급부족과 중간체 가격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중국내 대부분의 원제 생산업체들은 현재 주문을 받을 수 없을 정도의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