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확산 중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대한 경각심이 날로 커지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그간 아프리카와 유럽 지역에서 주로 발생했으나 지난 8월 3일 중국 요녕성 선양시에서 첫 발생이 보고됐다. 이후 현재까지 9건이 지속 발생해 인접 국가인 우리나라도 질병 확산 추이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물론 AI와 구제역 등 악성 가축질병 발생에 대응한 비상대처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9월 4일 토론과 9월 7일 현장훈련으로 진행됐다. 토론에는 농식품부와 행안부, 국방부, 환경부, 질병관리본부 등 17개 기관이 참여해 AI·구제역 상황별 상황판단 및 기관별 조치사항에 대해 논의를 집중했다.
충남 당진시 송악읍 줄다리기 축제장에서 실시한 현장훈련에는 농식품부와 관계부처, 전국 17개 시‧도, 농협, 방역본부, 생산자단체 등 30여개 관련 단체에서 약 400명의 인원이 참여했다.
이번 방역훈련은 AI와 구제역이 동시 발생한 상황을 가정해 실시됐다. 특히 AI의 경우 신속하고 강력한 대응을 위해 간이키트 양성 확인시 초동 대응부터 지자체·유관기관이 동시적·순차적으로 취해야 하는 방역 태세를 종합적으로 점검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해서도 국내 발생 시 위기경보 발령과 상황별 대응요령을 집중 점검하는 자리가 됐다.
농식품부는 12월에 가상방역훈련 평가대회를 개최해 그간 지자체별로 추진된 훈련결과를 평가하고 우수사례를 공유해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가상 방역훈련을 통해 지자체 등 일선 방역기관의 방역의식, 초동대응 역량, 기관간 방역 협력 체계가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국가 재난성 가축질병 방역을 위해 농가와 축산 관계자들이 책임 방역에 적극 동참해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