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농업 뉴스

감귤 상자 속 부패과 줄인다

농진청, 비열플라즈마 기술 개발

비열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해 수확한 감귤의 부패균 생성을 억제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감귤은 수확 뒤 저장과 유통 과정에서 상처나 내·외부 충격 등으로 약해진 조직에 부패균의 오염으로 썩은 과일이 발생된다. 노지 온주밀감이 본격 출하되는 시기인 11월∼12월에는 저장 공간의 부족과 기상 상태에 따라 부패율이 늘어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감귤 부패율을 줄이기 위해 사용한 비열플라즈마(DBD 방식, 유전체장벽방전) 발생장치는 공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체인 산소(O2)와 질소(N2)를 오존(O3)과 질소산화물(NOx) 형태의 이온화된 기체로 바꾼다.


공기청정기처럼 이 비열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감귤 저장고에 두면 감귤 부패균에 항균 활성을 지니는 플라즈마 형태의 기체가 발생한다. 


이 플라즈마 기체들이 감귤 주요 부패균인 페니실리움(Penicillium)균을 억제해 저장 시 감귤 부패율이 감소된다. 비열플라즈마를 주요 발생 기체인 오존(O3) 기준, 1ppm 이하, 10℃의 처리 조건에서 적용했다.


그 결과, 온주밀감을 49일 저장하는 동안 부패율이 무처리군(13.2%)보다 비열플라즈마 처리군(5.8%)이 7.4%p 감소했다. 만감류인 부지화와 세토카에서도 56일 동안 각각 3.7%p 정도 부패율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온주밀감은 49일 저장 동안 무처리군의 무게가 10% 줄어든 반면 비열플라즈마 처리군은 6.6% 줄어 상품 가치가 유지됐다. 56일 저장한 부지화와 세토카는 무게가 각각 2%p, 3.9%p 적게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비열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높은 농도의 오존과 질소산화물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감귤의 품질 저하와 인체에 유해성을 일으킬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작업 시에는 반드시 저장고를 충분히 환기한 다음 작업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