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잡초가 많고 생산성이 낮은 하급초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풀사료(목초) 종자를 제때 파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우리나라 초지면적 3만5000ha 가운데 하급초지 면적은 1만1000ha로 전체의 약 31%를 차지한다.
이 같은 하급초지에 토양개선과 종자 추가 파종, 초지관리 기술 등 식생개선기술을 적용하면 초지 생산성을 51%(건물기준) 정도 높일 수 있다.
초지는 한번 조성하면 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잡초는 늘고 목초는 줄어 부실하기 쉽다. 이런 경우 목초 종자를 제때 추가 파종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추가 파종 시기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중북부지역은 8월 하순, 중부와 남부지역은 9월 상순까지 파종을 마치는 것이 좋다.
추가 파종 전에는 초지에 가축을 방목해 목초 길이를 짧게 해주면 종자가 더 잘 발아한다. 또 파종한 뒤 가축방목은 그 해에는 하지 말고, 이듬해에 목초가 뿌리내린 뒤 25cm 이상 자랐을 때 풀어놓는 것이 좋다.
목초종자의 파종량은 오차드그라스 16kg/ha, 톨 페스큐 9kg/ha, 페레니얼라이그라스 3kg/ha, 켄터키블루그라스 2kg/ha, 화이트클로버 2kg/ha을 기본으로 하고, 겨울이 추운 중북부지방은 티머시를 3kg/ha~5kg/ha 정도 추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