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벼 농작물재해보험 상품을 판매한 결과(판매기간 4.4~6.24), 총 10만6382 농가가 24만6825ha에 이르는 면적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가입면적은 전년 13만7759ha 대비 10만9066ha(79%증가) 늘어났고, 농가수는 전년 5만4423호 대비 5만1959(95%증가)호 늘어난 수치이다.
보장금액도 전년 1조3000억 대비 1조1000억이 증가한 2조4000억 규모로 농가의 자연재해 위험관리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지역별로는 충북이 3.8배, 경기충남경북경남이 2배 이상 가입면적이 증가했고 기존에 가장 많이 가입이 이뤄졌던 전북과 전남도 50~60%수준으로 증가했다. 충남 부여군은 28배가 증가하고, 전남 고흥군은 가입률이 85%에 달하는 등 82개 시군에서 2배 이상의 증가를 기록했다.
농식품부는 농가의 눈 높이에 맞는 보험상품을 개선해 가입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또 이앙준비기 중 발생하는 가뭄 등의 피해로 이앙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보장하는 미이앙 보장제도 도입했고 농지원부 제출의무 폐지 등 신청절차를 간소화한 것도 가입면적 증가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봤다. 지자체 공무원 대상 교육 및 홍보 등도 가입 증가에 한몫했다.
이와 함께 올해에 재해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농가들이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보험에 가입했다. 금년 1월 한파, 4월과 5월 강풍피해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농식품부는 “벼 보험가입 급증에 따른 손해평가체계를 점검하고 재해발생시 신속한 손해평가를 거쳐 보험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히면서 “앞으로 농업인들의 현장수요에 맞는 상품 및 제도개선으로 농업인의 만족도를 높여 농가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경영안전장치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