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젠타 그룹이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립했다. 2020년 6월 18일 신젠타그룹이 결성되면서 농업기술과 혁신의 새로운 리더로 거듭났다. 신젠타 그룹은 신젠타 작물보호, 신젠타 종자, ADAMA, 신젠타그룹 중국 등 4개 사업부의 장점을 하나의 우산 아래 통합했다. 전 세계적으로 표명한 신젠타 그룹의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그룹을 대표하는 커뮤니케이션과 그룹 내부 커뮤니케이션에도 활용된다. 그러나 신젠타 작물보호, 신젠타 종자, ADAMA의 독특한 고객 대면 브랜딩은 변함이 없다. 신젠타 그룹의 새로운 로고와 시각적 정체성은 농업을 가능하게 하는 4대 요소인 물, 흙, 식물, 햇빛 등 경이로움과 풍요로움 등을 나타낸다. 또 신젠타 그룹 로고의 네 잎은 전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농업을 형성하는 사계절과 강한 연결고리를 형상화 했으며, 신선하고 새로운 색상은 그룹의 혁신력, 개척정신, 디지털 역량을 담아냈다. 신젠타 그룹은 250년 이상을 거슬러 올라가는 세계 유수의 농업기술과 혁신기업이다. 100여 개국에 걸친 4만9000명의 종사자들은 식량체인(먹이사슬)이 세계를 먹여 살릴 수 있도록 안전하고 지속가능하며 지구를 존중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혁신적인
농업은 오랫동안 아프리카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농업생산액은 GDP 비중의 23%를 차지하고 있다. 동아프리카 지역은 풍부한 농업 자원과 생산 환경이 좋고 산업화가 더딘 반면 생산 효율성 및 농업개발에 대한 지원이 제한적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다. AgPages가 발표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곡물 생산량은 2~3배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원예작물과 축산업의 성장 추세가 비슷한 수준이다. 이는 농약, 종자, 비료, 농기계 등 다양한 농산업 분야의 직접적인 투자 욕구를 불러 일으키는 요소로 해석되고 있다. 따라서 아프리카는 많은 농업 투자자들에게 도전과 기회가 가득 찬 시장으로 평가 받는다. 특히 동아프리카 지역 중에서도 에티오피아, 케냐, 탄자니아 등은 고원으로 이뤄져 주로 사바나 기후, 적절한 온도, 낮은 농업자원 활용률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AgPages의 편집자인 Drake Liu가 △Getachew Worku(라이온스 국제무역 PLC CEO) △Sami Getachew(라이온스 국제무역 PLC 사업부 이사) △Wubishet Alemu(라이온스 국제무역 PLC의 농화학 부서 관리자) 등 3인의 동아프리
네덜란드 종자회사인 Ad Terram은 기술연구 및 혁신을 바탕으로 자체 개발한 유기농 종자처리 및 생물자극제(Biostimulant) 제품 생산에 주력하는 회사이다. Ad Terram은 2014년 “종자, 식물 및 토양에 적용되는 화학제품과 첨가물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유기농 제품을 만든다”는 목표를 가지고 설립됐다. AgPages가 Ad Terram의 글로벌 마케팅·영업 관리자인 Carla Meijles와의 인터뷰를 통해 유기농 종자코팅 제품의 시장과 파트너에게 제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소개했다. 주요 내용을 발췌한다. Q> 다양한 시장예측 데이터에서 종자처리산업은 전망이 매우 밝다. 이 부문의 성장을 이끄는 주요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A> 종자 강화 및 보호 제품에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적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종자처리는 점점 더 중요 해지고 있다. 그러나 환경과 건강에 대한 위험요소인 폴리머(마이크로/나노플라스틱)를 제거해야 하는 문제가 중요해지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Ad Terram의 제품은 모두 마이크로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칼라 메이 즐스(Carla Meijles) <Ad Ter
신젠타 그룹이 바이오농자재 분야 선도 회사인 발아그로(Valagro)를 인수했다. 이로써 신젠타 작물보호제 사업부는 향후 5년내 2배 성장이 예상되는 바이오농자재 시장 선점을 위한 유리한 고지에 섰다는 평가다. 발아그로는 신젠타 작물보호제 사업부 내 조직으로 시장에서는 독립 브랜드로 계속 운영된다. 발아그로는 시장을 선도하는 혁신적인 바이오농자재 개발 회사로서 지난 10년간 최대 10%의 연평균성장률(CAGR)을 보이며 2019년 약 1억 75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발아그로는 자연의 힘을 활용해 혁신적이고 효과적인 식물 영양 및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우수성과 40년 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바이오 작물활성제 및 작물영양제 분야 시장 선도 업체로서 고객에게 종합적인 바이오농자재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이탈리아 아테사에 본사를 둔 발아그로는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강력한 입지를 보유하고 남미 및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도 입지를 넓혀가며 전세계 고객들에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신젠타 작물보호제 사업부는 세계적인 선도 바이오농자재 사업을 구축하게 됐다. 발아그로는 업계 선도적인 기술과 연구 역량뿐만 아니라 강력한 커머셜 및
BASF 그룹의 2020년 3분기 매출(잠정치)은 138억1200만 유로()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환율변동 등의 영향을 받아 지난해 같은 기간의 145억5600만 와 비교해서는 5% 감소했다. BASF 그룹은 그러나 올해 3분기에 당초 예상보다는 좋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했다. 특별항목 이전의 EBIT(이자와 과세전 소득)는 분석가들이 예상했던 5억8100만 보다는 높지만 지난해 3분기 10억5600만)보다는 낮았다. 또 2020년 2분기(2억2600만)와 비교해서는 2020년 3분기에 3억5500만 증가했다. AgPages에 따르면 BASF 그룹은 표면기술, 재료, 산업 솔루션 및 화학 부문의 경우 2020년 3분기 특수항목 이전의 EBIT에 대한 평균 분석가 추정치를 초과했다. 특수항목 이전의 EBIT는 농업솔루션 부문의 분석가 추정치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작물영양 및 관리 부문에서 분석가 추정치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외의 특수항목 이전 EBIT는 분석가가 예상보다 더 부정적이었다. 특별항목 이전에 BASF 그룹의 EBIT가 전년 대비 감소한 이유는 주로 수익성에 대한 지속적인 압박으로 인해 업스트림(Upstream) 화학 및 재료 부문의 지속적
Corteva Agriscience는 2021년 시즌에 대두 전용 제초제 ‘카이버(Kyber)’를 미국에서 출시한다고 지난 8일 발표했다. AgNews에 따르면 Corteva가 출시할 예정인 ‘Kyber’는 ‘Pyroxasulfone’+‘Metribuzin’+‘Flumioxazin’의 세가지 성분을 함유한 발아 전 대두 전용 제초제로서 저항성 광엽잡초 등에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다. 또한 ‘Kyber’ 제초제는 ‘Group 15’ 작용기작 외에도 ‘Group 14 및 5’의 활성 성분도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초종에 대해 강력한 제초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저항성 잡초를 개별적으로 방제하며, 살포 후 4~6주에 이르는 약효 지속성을 갖고 있다. Corteva Agriscience의 미국 제품 관리자인 Aaron Smith는 “대두 재배지의 효과적인 잡초방제를 위한 ‘카이버’ 클린 제품을 출시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솔루션의 오래 지속되는 잔류 활성은 대두의 초기 성장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발아 후 잡초방제에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여러 제초제 그룹을 사용하면 잡초의 저항성을 현격히 억제할 수 있다”고 전제한 뒤 “대두 발아 전후에 사
세계 농약시장을 주도하는 20대 농화학기업 중에 무려 11개 중국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또 2019 회계연도(FY)를 기준으로 전년대비 바이엘(1위)과 신젠타(2위)의 순위가 바뀌고, UPL(6위)과 ADAMA(7위)도 서로 한 계단씩 자리를 바꿔 앉았다. 최근 AgPage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19년 세계 20대 농화학기업 순위’를 발표했다. 이들 상위 20대 농화학기업의 2019 회계연도(FY) 총매출은 590억3000만 달러로 2018 회계연도의 563억9600만 달러에 비해 31억3000만 달러(5.6%)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2019년 상위 20대 농화학기업의 순위표도 재구성 됐다.[표] 우선 Bayer CropScience, Syngenta, BASF, Corteva가 상위 4대 농화학기업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FMC와 UPL, ADAMA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상위 4개 기업의 2019년 매출총액은 20개 기업 전체매출의 57%를 차지하고, 상위 10개 기업까지 범위를 넓히면 거의 90%를 차지했다. 또 UPL은 성장률 측면에서 무려 66%의 비율로 1위를 차지했다. 무엇보다 상위 20대 농화학기업 안에 중국의 11개 기업이 명단을 올린
카프릴산·카프르산 함유 비선택 제초제 유기농 잡초방제 단일 솔루션으로 신뢰 과수원 헛골 유기제초…방제 초종 다양 “우리나라도 유기농 제초제 등록 필요” 미국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최근 유기농 제초제인 Certis의 ‘Homeplate®’의 등록을 승인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유기농 제초제의 등록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유기농재배 농업인들은 우리도 미국과 같이 유기농 제초제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법적·제도적 개선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Certis USA 관계자는 캘리포니아 농약규제국(CDPR)의 비선택성 제초제 Homeplate® 등록 승인에 따라 올해 하반기부터 모든 작물에 유기농 제초제 Homeplate®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AgNews를 통해 발표했다. Certis 북미지역 부사장인 Mike Allan은 이와 관련해 “이제 캘리포니아에서 Homeplate를 사용해 농업인과 과수원에서 문제가 되는 잡초를 유기농 방식으로 방제할 수 있게 됐다”며 “캘리포니아 농업인들은 포도원을 비롯한 모든 과수원에서 시간과 인건비를 효과적으로 절약하면서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제초방법이 생겼다”고 평가했다. Cert
Nihon Nohyaku는 최근 ‘벤즈피리목삼(Benzpyrimoxan)’을 활성 성분으로 하는 새로운 살충제 ‘Orchestra’ 액상수화제와 분제 제품을 일본과 인도에 등록했다고 밝혔다. AgPages에 따르면 Nihon Nohyaku가 최초 개발한 ‘오케스트라(Orchestra)’ 제품은 지난 2019년 2월 일본 내 등록신청을 거쳐 2020년 9월 14일에 수도용 살충제로 등록을 마쳤으며, 오는 2021년 5월경에 일본에서 첫 출시될 예정이다. 특히 ‘오케스트라’ 액상수화제의 주성분인 ‘벤즈피리목삼’은 기존 제품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키고 살충효과가 매우 뛰어난 새로운 작용기작의 살충제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로 ‘오케스트라’는 지난 2015년부터 일본 식물보호협회가 실시한 약효시험 결과에서 탁월한 효능을 인정받았다. ‘Orchestra®’은 또 인간과 동물, 수생 생물은 물론 천적과 유익한 곤충에 해가 없으며 벼에 대한 약해 위험도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Nihon Nohyaku 관계자는 “오케스트라는 우수한 살충효과로 안정적인 작물 생산에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농업인들의 요구 충족을 위해 기술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생물농약은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으며 환경 친화적인 특성으로 인해 높은 평가를 받으면서 전 세계적으로 농약 개발의 새로운 트렌드가 됐다. 유럽의 생물농약은 지난 몇 년 동안 빠르게 발전했지만, 불행히도 EU의 각종 규제 정책으로 인해 생물농약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생물농약 시장으로 성장했다. Markets and Markets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7년 세계 생물농약 매출은 33억 달러를 초과했다. 오는 2025년에는 9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13.9%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세계 최대 생물농약 판매 국가인 미국의 경우 지난 2017년 생물농약 판매량은 세계 생물농약 총판매량의 1/3을 차지했으며, 그중 미생물 농약이 미국 전체 생물농약 시장의 67%를 차지했다. 미국에서 생물농약의 급속한 발전은 주로 유기농 제품 시장의 수요와 미국 환경보호국(EPA)의 강력한 지원에 기인하고 있다. AgNews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EPA는 지난 2019년 말까지 약 400개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1401개의 생물농약 등록을 승인했다. 이중 생화학 농약은 57.5%, 미생물 농약은 36.0
중국 펑산(豊山, Fengshan)그룹은 최근 쓰촨 광안 경제기술개발구 신차오단지(Sichuan Guang'an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Zone Xinqiao Park)에 농약기술 및 정밀화학 프로젝트 건설을 위한 토지매입 계획을 발표했다. 펑산그룹은 이번 프로젝트에 총 16억3000만 위안을 투자한다. 이 프로젝트가 완료될 경우 연간 10만 톤 이상의 각종 정밀화학제품과 농약 중간체를 생산할 계획이며, 연간 매출액은 30억 위안으로 예상하고 있다. 펑산그룹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 완료 후 ‘5-디니트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5-Dinitrobenzotrifluoride)’와 함께 ‘2-클로로 니코틴산(2-Chloronicotinic acid)’, ‘피리미딘(Pyrimidine)’, ‘디히드록페닐프로피토이드산(DHPPA)’, ‘4-클로로-3(4-Chloro-3)’과 같은 1차 농약 중간체를 대량 생산 할 수 있다고 밝혔다. 펑산그룹은 이에 따라 농약 중간체 수요를 충족시켜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비용 증가 또는 생산 감소를 방지하는 한편 회사의 수익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중간체의 소싱 및 구매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2020년 7월 한달간 중국 농약 생산량은 17만 톤으로 전년대비 12.6% 증가했으나, 올해 1월부터 7월까지의 중국 전체 농약생산량은 1228만 톤으로 전년대비 6.5% 감소했다. <자료출처 : CISource>
‘The Agrievolution Alliance’에 따르면, 전 세계 농업용 트랙터 출하량은 2020년 1분기 12개월 이동평균지수(이전 12개월 각월지수 평균)가 2018년 2분기 정점을 찍은 이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2020년 1분기 지수는 9.4% 하락했다. 농업 장비 산업은 전반적인 경기 사이클 내에서 수요 대체 단계가 끝나면서 정점을 찍었다. 콤바인 분기별 수출지수가 이전 4분기 패턴을 따른다면 2020년 2분기에는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세계적인 전염병 코로나19를 둘러싼 이례적인 상황을 감안할 때 좀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2020년 1분기는 전년 동기대비 11.4% 줄었다. 12개월 이동평균지수는 전년 동기대비 16.6% 하락했다. 네덜란드와 한국은 올해 1분기에 각각 작년에 비해 100% 증가를 나타냈다. 사료작물수확기(Forage Harvester)의 출하량 전 세계 지수는 2020년 1분기에 전년 동기대비 9.1% 증가했다. 12개월 이동평균지수 역시 2020년 1분기에 최저치를 지났지만 기준연도의 96.8%로 전년 동기대비 9.3% 줄었다. 근동 지역은 전년 대비 세 자릿수 증가율인 166.6%로
효모와 박테리아 개발·생산 전문회사인 캐나다 ‘LALLEMAND’는 최근 Cry와 Vip3 단백질을 다량 함유한 바이오 살충제 ‘Crystal insecticide’를 출시했다. AgNews 최근호에 따르면 ‘LALLEMAND’는 Embrapa(브라질 농업연구공사)의 협력을 받아 2021년 수확기 작물을 목표로 살충 효과를 가진 토양미생물인 ‘바실루스 투링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박테리아를 기반으로 하는 생물학적 제품을 새롭게 선보였다. Cry와 Vip3 단백질 함유 ‘Crystal insecticide’ 제품은 해충(애벌레)을 매우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이 제품은 목화, 콩, 수수, 채소, 콩과 식물 및 과일 외에도 여러 작물의 해충방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Fernando Hercos Valicente, Sete Lagoas-MG의 Embrapa Milhoe Sorgo의 연구원은 “이번 출시 제품은 10년의 연구 끝에 개발에 성공한 액상 제제로 취급과 적용이 매우 쉽다”며 “애벌레가 섭취할 때 장을 파열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밝혔다. Valicente는 또 “이번 생물 살충제는 Bacillus thuringiens
중국 농화학기업 신윌(Synwill)의 자회사 ‘신윌 이창화학’이 ‘클로란트라닐리프롤(chlorantraniliprole)’ 등 연간 6800톤 규모의 농약원제 및 중간체 생산능력을 가진 공장설립을 위해 환경영향평가에 들어갔다. AgPage에 따르면 신윌 이창화학은 기존 신축 공장이 위치한 ‘Yaojiagang Chemical Park’ 내에 오염처리시설, 보조작업, 저장 및 운송시설을 추가한다고 지난 8일 공개했다. 신윌 이창화학은 이번 신축공장을 완공하면 클로란트라닐리프롤 1000톤과 아닐린(Aniline) 1000톤을 비롯해 플루펜아세트(Flufenacet)와 메타미포프 각 300톤 등 연간 6800톤의 농약원제 및 중간체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