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F 그룹의 2020년 3분기 매출(잠정치)은 138억1200만 유로()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환율변동 등의 영향을 받아 지난해 같은 기간의 145억5600만 와 비교해서는 5% 감소했다. BASF 그룹은 그러나 올해 3분기에 당초 예상보다는 좋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했다. 특별항목 이전의 EBIT(이자와 과세전 소득)는 분석가들이 예상했던 5억8100만 보다는 높지만 지난해 3분기 10억5600만)보다는 낮았다. 또 2020년 2분기(2억2600만)와 비교해서는 2020년 3분기에 3억5500만 증가했다. AgPages에 따르면 BASF 그룹은 표면기술, 재료, 산업 솔루션 및 화학 부문의 경우 2020년 3분기 특수항목 이전의 EBIT에 대한 평균 분석가 추정치를 초과했다. 특수항목 이전의 EBIT는 농업솔루션 부문의 분석가 추정치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작물영양 및 관리 부문에서 분석가 추정치에는 미치지 못했다. 이외의 특수항목 이전 EBIT는 분석가가 예상보다 더 부정적이었다. 특별항목 이전에 BASF 그룹의 EBIT가 전년 대비 감소한 이유는 주로 수익성에 대한 지속적인 압박으로 인해 업스트림(Upstream) 화학 및 재료 부문의 지속적
Corteva Agriscience는 2021년 시즌에 대두 전용 제초제 ‘카이버(Kyber)’를 미국에서 출시한다고 지난 8일 발표했다. AgNews에 따르면 Corteva가 출시할 예정인 ‘Kyber’는 ‘Pyroxasulfone’+‘Metribuzin’+‘Flumioxazin’의 세가지 성분을 함유한 발아 전 대두 전용 제초제로서 저항성 광엽잡초 등에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다. 또한 ‘Kyber’ 제초제는 ‘Group 15’ 작용기작 외에도 ‘Group 14 및 5’의 활성 성분도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초종에 대해 강력한 제초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저항성 잡초를 개별적으로 방제하며, 살포 후 4~6주에 이르는 약효 지속성을 갖고 있다. Corteva Agriscience의 미국 제품 관리자인 Aaron Smith는 “대두 재배지의 효과적인 잡초방제를 위한 ‘카이버’ 클린 제품을 출시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솔루션의 오래 지속되는 잔류 활성은 대두의 초기 성장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발아 후 잡초방제에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여러 제초제 그룹을 사용하면 잡초의 저항성을 현격히 억제할 수 있다”고 전제한 뒤 “대두 발아 전후에 사
세계 농약시장을 주도하는 20대 농화학기업 중에 무려 11개 중국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또 2019 회계연도(FY)를 기준으로 전년대비 바이엘(1위)과 신젠타(2위)의 순위가 바뀌고, UPL(6위)과 ADAMA(7위)도 서로 한 계단씩 자리를 바꿔 앉았다. 최근 AgPage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19년 세계 20대 농화학기업 순위’를 발표했다. 이들 상위 20대 농화학기업의 2019 회계연도(FY) 총매출은 590억3000만 달러로 2018 회계연도의 563억9600만 달러에 비해 31억3000만 달러(5.6%)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2019년 상위 20대 농화학기업의 순위표도 재구성 됐다.[표] 우선 Bayer CropScience, Syngenta, BASF, Corteva가 상위 4대 농화학기업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FMC와 UPL, ADAMA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상위 4개 기업의 2019년 매출총액은 20개 기업 전체매출의 57%를 차지하고, 상위 10개 기업까지 범위를 넓히면 거의 90%를 차지했다. 또 UPL은 성장률 측면에서 무려 66%의 비율로 1위를 차지했다. 무엇보다 상위 20대 농화학기업 안에 중국의 11개 기업이 명단을 올린
카프릴산·카프르산 함유 비선택 제초제 유기농 잡초방제 단일 솔루션으로 신뢰 과수원 헛골 유기제초…방제 초종 다양 “우리나라도 유기농 제초제 등록 필요” 미국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최근 유기농 제초제인 Certis의 ‘Homeplate®’의 등록을 승인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유기농 제초제의 등록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유기농재배 농업인들은 우리도 미국과 같이 유기농 제초제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법적·제도적 개선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Certis USA 관계자는 캘리포니아 농약규제국(CDPR)의 비선택성 제초제 Homeplate® 등록 승인에 따라 올해 하반기부터 모든 작물에 유기농 제초제 Homeplate®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AgNews를 통해 발표했다. Certis 북미지역 부사장인 Mike Allan은 이와 관련해 “이제 캘리포니아에서 Homeplate를 사용해 농업인과 과수원에서 문제가 되는 잡초를 유기농 방식으로 방제할 수 있게 됐다”며 “캘리포니아 농업인들은 포도원을 비롯한 모든 과수원에서 시간과 인건비를 효과적으로 절약하면서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제초방법이 생겼다”고 평가했다. Cert
Nihon Nohyaku는 최근 ‘벤즈피리목삼(Benzpyrimoxan)’을 활성 성분으로 하는 새로운 살충제 ‘Orchestra’ 액상수화제와 분제 제품을 일본과 인도에 등록했다고 밝혔다. AgPages에 따르면 Nihon Nohyaku가 최초 개발한 ‘오케스트라(Orchestra)’ 제품은 지난 2019년 2월 일본 내 등록신청을 거쳐 2020년 9월 14일에 수도용 살충제로 등록을 마쳤으며, 오는 2021년 5월경에 일본에서 첫 출시될 예정이다. 특히 ‘오케스트라’ 액상수화제의 주성분인 ‘벤즈피리목삼’은 기존 제품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키고 살충효과가 매우 뛰어난 새로운 작용기작의 살충제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로 ‘오케스트라’는 지난 2015년부터 일본 식물보호협회가 실시한 약효시험 결과에서 탁월한 효능을 인정받았다. ‘Orchestra®’은 또 인간과 동물, 수생 생물은 물론 천적과 유익한 곤충에 해가 없으며 벼에 대한 약해 위험도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Nihon Nohyaku 관계자는 “오케스트라는 우수한 살충효과로 안정적인 작물 생산에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농업인들의 요구 충족을 위해 기술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생물농약은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으며 환경 친화적인 특성으로 인해 높은 평가를 받으면서 전 세계적으로 농약 개발의 새로운 트렌드가 됐다. 유럽의 생물농약은 지난 몇 년 동안 빠르게 발전했지만, 불행히도 EU의 각종 규제 정책으로 인해 생물농약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생물농약 시장으로 성장했다. Markets and Markets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7년 세계 생물농약 매출은 33억 달러를 초과했다. 오는 2025년에는 9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13.9%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세계 최대 생물농약 판매 국가인 미국의 경우 지난 2017년 생물농약 판매량은 세계 생물농약 총판매량의 1/3을 차지했으며, 그중 미생물 농약이 미국 전체 생물농약 시장의 67%를 차지했다. 미국에서 생물농약의 급속한 발전은 주로 유기농 제품 시장의 수요와 미국 환경보호국(EPA)의 강력한 지원에 기인하고 있다. AgNews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EPA는 지난 2019년 말까지 약 400개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1401개의 생물농약 등록을 승인했다. 이중 생화학 농약은 57.5%, 미생물 농약은 36.0
중국 펑산(豊山, Fengshan)그룹은 최근 쓰촨 광안 경제기술개발구 신차오단지(Sichuan Guang'an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Zone Xinqiao Park)에 농약기술 및 정밀화학 프로젝트 건설을 위한 토지매입 계획을 발표했다. 펑산그룹은 이번 프로젝트에 총 16억3000만 위안을 투자한다. 이 프로젝트가 완료될 경우 연간 10만 톤 이상의 각종 정밀화학제품과 농약 중간체를 생산할 계획이며, 연간 매출액은 30억 위안으로 예상하고 있다. 펑산그룹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 완료 후 ‘5-디니트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5-Dinitrobenzotrifluoride)’와 함께 ‘2-클로로 니코틴산(2-Chloronicotinic acid)’, ‘피리미딘(Pyrimidine)’, ‘디히드록페닐프로피토이드산(DHPPA)’, ‘4-클로로-3(4-Chloro-3)’과 같은 1차 농약 중간체를 대량 생산 할 수 있다고 밝혔다. 펑산그룹은 이에 따라 농약 중간체 수요를 충족시켜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비용 증가 또는 생산 감소를 방지하는 한편 회사의 수익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중간체의 소싱 및 구매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2020년 7월 한달간 중국 농약 생산량은 17만 톤으로 전년대비 12.6% 증가했으나, 올해 1월부터 7월까지의 중국 전체 농약생산량은 1228만 톤으로 전년대비 6.5% 감소했다. <자료출처 : CISource>
‘The Agrievolution Alliance’에 따르면, 전 세계 농업용 트랙터 출하량은 2020년 1분기 12개월 이동평균지수(이전 12개월 각월지수 평균)가 2018년 2분기 정점을 찍은 이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2020년 1분기 지수는 9.4% 하락했다. 농업 장비 산업은 전반적인 경기 사이클 내에서 수요 대체 단계가 끝나면서 정점을 찍었다. 콤바인 분기별 수출지수가 이전 4분기 패턴을 따른다면 2020년 2분기에는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세계적인 전염병 코로나19를 둘러싼 이례적인 상황을 감안할 때 좀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2020년 1분기는 전년 동기대비 11.4% 줄었다. 12개월 이동평균지수는 전년 동기대비 16.6% 하락했다. 네덜란드와 한국은 올해 1분기에 각각 작년에 비해 100% 증가를 나타냈다. 사료작물수확기(Forage Harvester)의 출하량 전 세계 지수는 2020년 1분기에 전년 동기대비 9.1% 증가했다. 12개월 이동평균지수 역시 2020년 1분기에 최저치를 지났지만 기준연도의 96.8%로 전년 동기대비 9.3% 줄었다. 근동 지역은 전년 대비 세 자릿수 증가율인 166.6%로
효모와 박테리아 개발·생산 전문회사인 캐나다 ‘LALLEMAND’는 최근 Cry와 Vip3 단백질을 다량 함유한 바이오 살충제 ‘Crystal insecticide’를 출시했다. AgNews 최근호에 따르면 ‘LALLEMAND’는 Embrapa(브라질 농업연구공사)의 협력을 받아 2021년 수확기 작물을 목표로 살충 효과를 가진 토양미생물인 ‘바실루스 투링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박테리아를 기반으로 하는 생물학적 제품을 새롭게 선보였다. Cry와 Vip3 단백질 함유 ‘Crystal insecticide’ 제품은 해충(애벌레)을 매우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이 제품은 목화, 콩, 수수, 채소, 콩과 식물 및 과일 외에도 여러 작물의 해충방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Fernando Hercos Valicente, Sete Lagoas-MG의 Embrapa Milhoe Sorgo의 연구원은 “이번 출시 제품은 10년의 연구 끝에 개발에 성공한 액상 제제로 취급과 적용이 매우 쉽다”며 “애벌레가 섭취할 때 장을 파열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밝혔다. Valicente는 또 “이번 생물 살충제는 Bacillus thuringiens
중국 농화학기업 신윌(Synwill)의 자회사 ‘신윌 이창화학’이 ‘클로란트라닐리프롤(chlorantraniliprole)’ 등 연간 6800톤 규모의 농약원제 및 중간체 생산능력을 가진 공장설립을 위해 환경영향평가에 들어갔다. AgPage에 따르면 신윌 이창화학은 기존 신축 공장이 위치한 ‘Yaojiagang Chemical Park’ 내에 오염처리시설, 보조작업, 저장 및 운송시설을 추가한다고 지난 8일 공개했다. 신윌 이창화학은 이번 신축공장을 완공하면 클로란트라닐리프롤 1000톤과 아닐린(Aniline) 1000톤을 비롯해 플루펜아세트(Flufenacet)와 메타미포프 각 300톤 등 연간 6800톤의 농약원제 및 중간체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AgriMetis의 L-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 독점기술(Glu-L) 획득 ‘Glu-L’ 기술 적용해 개선된 제형의 고농축 제초제 생산 박차 기존 사용량의 최대 50%까지 줄이고 잡초 저항성도 사전 차단 광범위한 특허보호로 새로운 생산 공정…시장경쟁력 강화 기대 BASF는 최근 AgriMetis로부터 L-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에 대한 독점기술을 이전 받았다. AgNews에 따르면 BASF가 이번에 획득한 독점기술 ‘Glu-L’은 개선된 제형의 고농축 제초제로 기존 사용량을 최대 50%까지 줄일 수 있다. 현재 글루포시네이트 제품은 이성질체에 따라 활성 L-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과 비활성 D-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으로 구분되며, ‘Glu-L’ 기술은 비활성 D-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을 활성 L-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으로 전환시키는 새로운 기술로 기존 제품보다 훨씬 더 효율적인 신제품을 만드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 특히 ‘Glu-L’을 적용한 신제품은 현재 시판 중인 글루포시네이트 제품과 비교해 방제효과는 동등한 수준이지만, 기존 사용량보다 최대 50%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BASF가 ‘Glu-L’ 기술을 적용해 새로 출시할 신제품은 경제적 비용
전 세계 농업은 다음 세기 동안 몇 가지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수십 년 동안 화학 비료와 농약에 대한 의존도가 큰 타격을 받기 시작했다. 화학 비료는 지하수 오염 및 부영양화와 관련이 있으며 비료 생산은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이다. 합성 화학농약은 생태계를 손상시키고 인간의 건강을 해칠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농약에 대한 규제가 점점 더 심해지고 매년 금지되는 숫자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많은 종의 잡초, 곤충 및 균류에서 증가하는 농약 저항성 문제와 결합돼 농업인들이 농작물을 보호할 수 있는 도구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농업 생물학(agricultural biologicals)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생물 자극제, 생물 농약 및 생물 비료는 농업인들이 합성 화학 물질의 환경 영향 없이 수확량을 보호·증대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작물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생물 자극제(biostimulants)는 식물이나 토양에 적용해 영양소 흡수 및 스트레스 내성을 개선 할 수 있는 생물학적 유래 물질이다. 즉, 전통적인 비료 및 농약 보다는 식물 자체를 개선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의 신생 기업인 Pivot
세계 농업 보조제 시장은 오는 2027년 47억 달러에 이를 정도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Meticulous Research는 최근 발표한 세계 농업 보조제 시장 조사보고서에서 세계 농업 보조제 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5.7%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2027년 4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규모면에서도 2027년까지 연평균 7.3%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농업 보조제는 일반적으로 농약의 촉매 역할을 하는 2차 제품으로, 농약의 습윤성(고체 표면이 액체와 접촉해 축축하게 배어드는 성질)과 침투력, 호환성 등을 높여 제초제, 살충제, 살균제 및 기타 제제와 같은 농약의 기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농업 보조제의 기능별 시장상황을 보면, 작물활성 보조제 부문의 경우 올해 전체 농업 보조제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며 오는 2027년까지 향후 5년 동안 빠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Meticulous Research는 예상했다. 특히 계면활성제 부문은 병해충 방제 필요성에 따른 정밀화학 분야의 수요증가 등으로 인해 2020년 전체 작물활성 보조제 시장에서 지배적인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농
글루포시네이트(Glufosinate-ammonium)의 전세계 비선택성 제초제 시장점유율이 글로벌 소비증가와 생산능력 향상 등에 힘입어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hillips McDougall과 KLEFFMANN의 데이터에 따르면 Glufosinate-ammonium(총칭 Glufosinate)의 세계시장 규모는 7억5000만 달러로 전세계 비선택성 제초제 시장의 10 %, 전체 제초제 시장의 3.2 %를 차지했다. 글루포시네이트 외에도 시장점유율이 큰 비선택성 제초제인 글리포세이트와 파라콰트 및 다이콰트 등의 매출액을 합하면 전세계 비선택 제초제 시장은 85억 달러에 달하며, 세계 제초제 시장(236억 2200만 달러) 32%를 차지하고 있다. 글루포시네이트 시장은 명백한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대표적인 주요 시장은 아시아와 북미 지역을 꼽을 수 있으며,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브라질 및 캐나다의 시장으로 나뉜다.[표1] 또한 글루포시네이트는 비선택적 잡초에 대한 상호 대체 외에도 비농경지를 비롯해 대두, 옥수수, 목화와 같은 글루포시네이트 내성 GM작물의 상업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라틴아메리카(브라질 및 아르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