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자재 정통 전문지인 영농자재신문의 창간 9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러·우 전쟁 등의 영향으로 세계경제가 고물가, 고환율, 고유가, 고원자재 4高의 늪에 빠졌고 우리 경제는 탄핵, 대선 변수 등 국내 요인까지 겹쳐 GDP 성장률이 1%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국내 경기가 자영업은 물론 일부 산업을 제외한 전 산업 분야에 걸쳐 나빠졌습니다. 친환경농자재 산업분야도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국내 농자재산업은 재작년부터 폭등한 비료·농약·유기자재 원료 가격이 떨어지지 않고 있으며, 가격 상승을 농업인한테 전가할 수 없는 많은 농기자재업체들이 영업에 애로를 느끼고 있습니다. 올해도 고환율이 계속되고, 트럼프 당선자가 우리나라 수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경우 더욱 경기가 악화될 수 있다고 봅니다. 만약 러·우전쟁이 종식된다면 우크라이나 재건 특수와 함께 원자재 가격이 안정되면서 경기가 급속히 호전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비료 등 농자재 원료가격이 떨어질 수도 있어 그동안 원료 문제로 고생해온 업계가 바라고 있습니다. 2025년도 무기질비료 지원예산이 삭감되었다가 4월 30일 추경으로 250억원이 복원됨에 따라 상당부분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나
고령화, 이상기후 등으로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농축산업 현장에서 농업기자재의 중요성과 문제점, 나아갈 방향 제시 등 공정한 보도를 통해 올바른 여론 형성에 기여해온 영농자재신문의 창간 9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농업기자재 중 하나인 비료는 작물재배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하고 토지의 생산력을 높이는 필수 농자재입니다. 가축분유기질비료협동조합 조합원이 생산하는 가축분퇴비는 작물재배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농림축산업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재활용과 자원화를 통한 선순환의 산물입니다. 이를 통해 경종농가와 축산농가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고 건강한 토양조성과 안전한 농축산물 생산에 기여해 왔습니다. 민간의 흙 살리기 운동을 모태로 농림축산부산물의 자원화와 재활용 촉진, 유기물 공급으로 토양환경을 보전하여 지속가능한 농업 구현, 환경 친화적인 자연순환 농업의 정착 및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 유도 등을 목적으로 지난 사반기 동안 추진해온 유기질비료 지원사업이 5년간의 전환사업 유예기간을 끝으로 2027년부터 시군사업으로 전환됩니다. 농산촌 형태의 시군 재정자립도가 평균 15% 전후임을 감안하면 1130억원의 국고보조금(현 보전금)과 약 750억원으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