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 농식품 분야 4차산업혁명에 대응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농진청은 지난달 27일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에서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과 농업의 융복합을 통한 농식품 산업의 혁신과 성장을 견인할 ‘4차산업혁명대응단(이하 대응단)’의 현판식을 가졌다.
농진청은 이로써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능동적으로 농업 연구개발(R&D)에 특화된 임무를 수행하고 대응방향을 수립하는 업무의 제반 준비를 마쳤다.
향후 대응단은 4차산업혁명과 관련한 기술과 제도 등을 분석해 전파하고 농업 전반에 주는 영향과 이종기술간 융합을 저해하는 요인을 집중 분석해 대응하게 된다. 또한 분야별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과 함께 R&D의 근간이 될 다중기술 융합형 플랫폼 개발을 집중 추진하는 등 4차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농업R&D 전략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다.
농업과 4차산업혁명기술간 융복합을 위한 기본적 전략은 ICBM(사물지능통신(IoT), 클라우드(Cloud), 빅데이터(BigData), 모바일(Mobile))을 중심으로 4차 산업기술을 모델화한 시스템기술을 농업에 적용하는 것이다.
생산 분야에 있어서는 현재 시설원예·축산·노지 분야로 구분해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팜 2세대 모델’의 체계적 분석검증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유통소비 분야와 농촌 및 농업인 복지 분야도 새롭게 모델화해 나갈 계획이다.
정황근 농진청장은 “융합형 기술혁신인 제4차산업혁명은 우리 농업의 대전환과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시발점이므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대응단을 통해 고품질의 농업 데이터의 지속생산을 위한 제반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분야별 로드맵과 유망작목별로 기술·산업간 융합모델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