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Today News

25년산 쌀 예상 초과량 중 10만톤 격리 계획

2025년 쌀 예상 과잉 물량은 약 16만 5000톤 수준
농식품부, 향후 쌀 최종생산량 등 감안 수급대책 추진
깨씨무늬병 농업재해 인정·복구비 지원 10월중 결정키로
소비자 쌀 할인 연장(10월말 잠정) 할인폭도 확대 계획

수확기 쌀 수급 안정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가 2025년 쌀 예상 과잉 물량 약 16만 5000톤 중 10만톤을 우선 격리하기로 했다.

 

국가데이터처에서 발표한(10.2일) 올해산 쌀 예상생산량은 약 357만 4000톤이다.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2만ha 감소(2024년 698천ha→2025년 678천ha)했음에도 10a당 생산량이 527kg으로 전(514kg)·평년(518kg) 대비 증가함에 따라 생산량은 지난해에 비해 약 1만 1000톤 감소하였다. 밥쌀 소비 감소 추세와 가공용 소비 증가 등을 감안한 쌀 예상 수요량은 340만 9000톤으로, 2025년 쌀 예상 과잉 물량은 약 16만 5000톤 수준이다.

 

농식품부는 2025년산 쌀 수급 안정 방안을 협의하기 위해 13일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개최하고 수확기 쌀 수급 안정 대책을 마련했다.

 

양곡수급안정위원회는 2024년산 수급상황을 감안할 때, 올해 민간재고 부족으로 이월되는 구곡 물량이 평년보다 적고, 최근 일조량이 전·평년에 비해 부족하며 깨씨무늬병 등으로 인해 쌀 최종 생산량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에 초과량 중 10만 톤 격리 계획을 수립하고, 향후 쌀 최종생산량(2025.11.13일, 국가데이터처)과 소비량(2026.1월 잠정, 국가데이터처) 등을 감안하여 보다 정교하게 수급을 재전망하고 상황에 맞는 수급대책을 추진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

 

우선 격리하는 10만 톤은 올해 8월말부터 추진한 정부양곡 5만5000톤 대여 반납 물량과 가공용으로 용도 제한하여 밥쌀 시장에서 격리하는 사전격리 4만5000톤 물량이다.

 

한편, 현재 쌀값은 전·평년 대비 높은 수준이나, 2025년산 햅쌀 생산량이 수요량보다 초과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햅쌀이 본격적으로 수확되는 10월 중순 이후에는 산지쌀값이 안정화 되고 소비자 쌀값도 연착륙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소비자 장바구니 부담 완화를 위해 소비자 쌀 할인행사를 연장(기존 9월말→10월말 잠정)하고 할인폭도 확대(5천원/20kg →7)할 계획이다.

 

또한 농식품부는 최근 깨씨무늬병 피해로 인한 농업인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발병원인 분석에 필요한 정밀조사를 실시한 후 조사결과를 종합 검토하여 10월 중 농업재해 인정 및 복구비 지원 여부를 신속히 결정하기로 했다. 지난해 벼멸구 피해의 경우 수확이 완료된 농가도 수량감소 등 증빙을 거쳐 복구비를 지원한 바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깨씨무늬병 등 피해벼에 대해 농가희망물량 전량을 매입하여 농가 소득 안정을 도모하고 시중의 쌀 품위 저하를 방지하기로 하였다.

 

이와 함께 농가의 원활한 벼 판매를 위한 산지유통업체 벼 매입자금 지원과 특별단속 등을 통한 쌀 유통질서 확립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더불어 양곡수급위원회에서 최근 일본 쌀값이 높게 유지됨에 따라 우리나라 쌀 수출을 확대해 나갈 필요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고, 농식품부는 쌀 수출에 대한 정책 지원 또한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강형석 농식품부 차관은 “올해도 쌀 초과생산이 전망되지만, 최종생산량이 일부 변동될 수 있다는 의견 등을 감안하여 초과량 중 10만톤을 우선적으로 격리할 계획”이라며 “올해는 단경기 산지쌀값이 뒷받침됨에 따라 수확기 쌀 수급이 평년에 비해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되고, 수확기 이후에도 쌀 수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시장 전반에 대한 동향 파악을 면밀히 실시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