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17.5℃
  • 맑음강릉 23.3℃
  • 맑음서울 16.8℃
  • 맑음대전 19.0℃
  • 맑음대구 23.8℃
  • 맑음울산 21.4℃
  • 맑음광주 20.0℃
  • 맑음부산 16.7℃
  • 맑음고창 17.3℃
  • 맑음제주 17.8℃
  • 맑음강화 13.1℃
  • 맑음보은 18.9℃
  • 맑음금산 18.7℃
  • 맑음강진군 19.7℃
  • 맑음경주시 24.4℃
  • 맑음거제 15.8℃
기상청 제공

창간 6주년 기획

전체기사 보기

밭농업 기계화로 한국농업을 구하라

=밭농업기계화율 제고 전략 모색= ① 밭농업 기계화를 둘러싼 농업·농촌 현실

농산물 수입개방에 대응한 경쟁력 제고를 위해 밭농업 기계화는 반드시 이뤄져야 하며, 농업인 개별적인 농기계 구입 부담을 줄이기 위해 농기계임대사업이 도입됐다. 그럼에도 밭농업 기계화율은 아직 62% 정도에 그치고 있는 만큼 현실 분석과 적극적인 대응책이 요구된다. 본지 창간 6주년 기획으로 밭작물 기계화를 둘러싼 농업과 농촌의 현실, 제도와 정책을 조명해 본다. 밭농업 기계화가 잘 안되는 이유부터 꼼꼼히 짚은 ‘더 클라우팜 연구소’의 최근 연구보고 ‘밭농업기계화율 제고를 위한 농기계임대사업 운영 개선 방안’을 참조했다. <편집자 주> 밭농업의 기계화는 궁극적으로 밭농업의 발전을 지향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밭농업이 안고 있는 문제에 비춰 봤을 때 기계화 여건이 상당히 불리하다. 최근 3개년 우리나라 밭의 평균 면적은 약 74만8000ha이다. 경지 면적의 감소추세에도 밭 면적은 논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 농경지 가운데 논 비중이 밭보다 크지만 최근에 올수록 밭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일례로 2000년대 초반 밭의 비중이 38~39% 수준이었는데 지금은 47%를 넘고 있다. 우리의 농경지 면적은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