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농업 뉴스

4월까지 신선농산물 수출증가율 역대 최고

對中 농식품 수출 회복세 뚜렷
베트남 배 수출, 태국도 증가세

올해 4월까지 농식품 수출이 22억4300만불로 전년 동기 대비 2.7%(6000만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 수출액(1~4월 누적)은 수출실적 집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4월 당월 수출액도 5만9000만불로 사상 최대치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4월 당월 농식품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8.7% 증가해 국가전체 당월실적(500억6000만불)이 1.5% 감소한 것을 감안하면 타 산업 대비 농식품 분야의 수출증가폭이 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 수출증가 원인을 △신선농산물 역대 최대수출(4월 9500만불, 전년 동기 대비 29%↑) △아세안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수요층 확대 △중국시장의 회복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신선농산물 수출액은 4억2100만불(29%↑)로 인삼류(39%) 및 과실류(25%)가 수출을 견인했다. 

인삼류는 중화권 뿌리삼 수요증가, 미국 대형마트(Costco) 등에 음료제품 입점 확대, 아세안 및 일본의 건강기능식품 관심 증대 등이 호재로 작용했다. 과실류는 ‘신선농산물 전용 판매망 구축 확대’ 등 정책적 노력의 결과 베트남 시장에서 배와 중국시장에서 유자차가 큰 폭 증가했다.

특히, 신선농산물 최대 시장인 일본에서는 인삼음료·파프리카·김치·토마토 등 신선농산물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6% 증가했다.

아세안 시장은 금년 1월 이후 제1의 농식품 수출시장을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4억7400만불(18.6%↑)로 가파른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한류스타(이승기 등) 팬 사인회 및 박항서 감독과 함께한 농식품 홍보행사 등으로 한국 농식품의 안전·건강 이미지가 확산됐다. 

동남아 권역 대표 온라인 몰인 Qoo10 등 주요 온·오프라인 집중 판촉 등으로 베트남(1억5200만불, 19.3%↑), 태국(8800만불, 43.1%↑) 등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특히 아세안 권역 최대 수출국인 베트남은 배(700만불, 144.6%↑), 음료(800만불, 32.5%) 등과 조제분유(300만불, 12.4%) 수출이 증가했다.

중국은 2017년 4월 사드사태 이후 지속적으로 두 자릿 수 감소세(전년 동기 대비 누계기준)였으나, 올해 4월 당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0% 증가(2017년 4월 6600만불 → 2018.4, 8500만불)하면서, 4월 누계기준으로 대중 농식품 수출 감소폭이 한 자릿수(△5.5%)로 줄었다. 

유커들의 내한 허용 등 한·중 긴장 완화 국면에 따른 한국 상품 소비심리 회복과 조제분유·유자차·생우유·음료 등 주요품목 실적 반등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농식품부는 수출증가 요인으로 ‘평창올림픽 및 남북정상회담 등으로 인한 국격제고, 한·중 긴장관계 완화’ 등 시장 상황 개선과 함께, 신남방 정책추진에 따라 동남아 등으로 신속한 시장다변화 추진, 민·관 협력 신규 판매망 구축, 국가별 맞춤형 홍보 등 수출지원사업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김민욱 수출진흥과장은 “앞으로도 신선농산물 수출 증가추세가 유지되도록 시장개척활동 지원, 현지 물류시스템 개선 등 수출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