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고

‘면적 2배 확대’ 친환경 유기농업의 필승 전략

[기고] 이상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장

정부의 ‘친환경 유기농업 면적 2배 확대’라는 국정 과제는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매우 고무적인 목표다. 이는 양적 성장을 넘어 농업의 본질을 회복하고 미래 세대에 건강한 땅을 물려주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담고 있다. 하지만 이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려면 민관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필승 전략’을 찾아야 한다.


친환경 유기농업 확대의 가장 중요한 동력은 현장에서 땀 흘리는 농업인들의 자발적인 참여다. 기존 농업에서 친환경 농업으로의 전환은 생산량 감소, 노동력 증가 등과 같은 어려움을 수반한다. 그래서 단순히 인증 면적 확대라는 양적 목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오스트리아와 스위스가 높은 유기농 비율(각각 27.3%, 18.2%)을 달성해 유기농 선진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비결은 농업인들에게 실질적인 혜택과 교육을 제공하는 다양한 지원제도에 있었다. 즉,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지원과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뒷받침되었기에 가능했다는 것이다. 인도의 안드라프라데시 주(州) 또한 ‘무비용 자연농업(ZBNF, Zero Budget Natural Farming)’ 정책으로 농업인 교육을 전폭적으로 지원하면서 친환경 농업으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앞두고 있다.

 

우리도 친환경 농업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생기는 농가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전환 보조금을 현실화하고 기술 교육과 컨설팅 지원을 강화해 농업인이 변화의 주체가 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농산물을 많이 생산해도 소비가 받쳐주지 않으면 안 된다. 생산 확대와 함께 안정적인 소비 시장을 확보하는 것이 친환경 농업 활성화에 필수다. 덴마크 유기농업의 성공은 공공 부문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다. 코펜하겐시의 공공 급식 90%를 유기농 식자재로 공급하는 방안은 전체 유기농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동시에 유기농업의 가치를 사회 전반에 확산하는 효과를 낳았다. 우리도 학교급식과 공공기관 식자재에 친환경 농산물 비중을 높여 농가에 안정적인 판로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복잡한 유통 구조를 개선해 소비자의 가격 부담을 줄이고 친환경 농업이 가진 환경보전, 생물다양성 증진 등과 같은 다원적 가치를 알리는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

 

기후스마트농업으로 친환경농업 지속가능 높여야


우리 친환경 농업의 미래는 농약과 화학 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넘어 ‘재생유기농업’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상기후와 생물다양성 감소라는 시대적 위기 속에서 농업은 문제 해결의 중요한 주체가 될 수 있다. 재생유기농업은 토양 유기물 함량을 늘려 탄소 흡수력을 높이고, 토양 생태계를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인류 공통의 과제에 부응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기도 하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식량 안보를 강화하는 기후스마트농업기술을 친환경 농업에 접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가뭄, 홍수 등 기후위기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고, 돌려짓기(윤작)와 무경운, 피복작물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친환경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친환경 유기농업 면적 2배 확대’라는 목표는 수치적 달성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이는 생산자와 소비자, 그리고 정부가 함께하는 총체적인 시스템 전환이다. 농업인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소비 시장을 구축하며, 재생유기농업과 기후스마트농업으로 지속가능성을 확보한다면 이 목표는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이 대한민국 농업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담보하고 우리 사회 전체의 건강을 지키는 소중한 자산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