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농업 뉴스

과수 흰날개무늬병 진단키트 개발

농진청, 조기 진단으로 대응 가능
특허 출원, 내년 중반 농가 보급

과수 토양 병해인 흰날개무늬병을 2시간 만에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이르면 내년 중반 농가에 보급될 전망이다.


농촌진흥청은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를 통해 흰날개무늬병 감염균(Rosellinia necatrix)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해독해 감염 여부를 2시간 내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흰날개무늬병은 배, 사과, 복숭아, 포도 등 대부분의 과수 뿌리에 감염되는 토양병해로서 육안으로 병징을 관찰할 시기가 되면 이미 피해가 커 치료가 불가능하다. 심할 경우 폐원에까지 이르게 되는 과수원의 암과 같은 치명적인 병해이다.


이번에 개발한 흰날개무늬병 감염 진단 기술은 1g 미만의 적은 토양 시료로 조기에 감염 여부를 판단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기존에는 흰날개무늬병 진단을 위해 토양 및 식물체를 채취해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또는 고구마, 뽕나무 가지를 감염이 의심되는 토양에 삽입하고 약 30일 뒤 삽입체 상의 병원균 형성 여부를 보고 감염 여부를 판단했다. 이러한 방법은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농진청은 개발한 이 기술을 특허 출원이 했으며 관련 논문도 국내 식물병리학회에 보고했다. 또 현장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진단키트를 만들어 내년 중순부터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


흰날개무늬병은 과수원 토양의 물 빠짐이 좋지 않을 때 주로 발병된다. 최근 논을 과수원으로 전환한 곳, 수원지 주변 평지에 과수원에서 많이 발견된다. 나무뿌리에 하얀 곰팡이가 날개 모양과 같이 분포해 이름 붙인 병해로 감염되면 나무 전체가 시들어 죽게 하며 지속력과 전염성이 커 방제가 어렵다.


뿌리썩음병, 가지마름병, 나무좀과 병징이 비슷해 진단을 잘못하면 초기에 방제시기를 놓치거나 잘못된 치료제 사용으로 병해를 더 키워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