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이 유사 이래 처음으로 계통농약 ‘1조원 시대’를 예고했다. 농협경제지주는 2024년도 계통농약 매출 ‘1조 1400억원 달성’을 목표로 농협조직의 계통 이용률을 90%까지 끌어 올리고, 국내 농약 전체시장의 65%를 계통농약으로 채운다는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농협경제지주는 이를 위해 △원예용 농약의 계통 활성화를 추진하고 △소규모 농협의 물량결집을 통한 통합구매 및 비축구매 할인공급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구매제도를 개선하는 한편 △계통 미참여 업체의 신규계약 추진 및 시판 전용상품의 계통전환으로 상품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전략을 세웠다. 또한 △방제력표 매뉴얼화로 표준화된 방제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아리·제주농약 활성화 및 계통이용 지원제도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처럼 농협경제지주의 올해 계통농약사업은 농협의 시장점유율 확대를 통한 국내 농약시장 안정화에 초점을 맞췄다. 농협은 올해에도 농협케미컬·팜한농·경농·동방아그로·한국삼공·바이엘·신젠타·아다마·한얼싸이언스 등 14개사와 계통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연간 1조 1400억원의 계통농약 구매·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9706억원보다 1694억원(17.5%
문수현 FMC Korea 대표가 이달 7일 사직했다. 이에 따라 FMC 동북아 사장 겸 중국 대표인 Tracy Wu가 당분간 FMC Korea도 함께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Tracy Wu는 다음주 중 한국을 방문해 문 대표 사직 이후 FMC Korea 상황에 대한 입장을 정리할 것으로 전해졌다. FMC Korea 신임 대표가 누가 될지에 농약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농협경제지주는 이달 16일 2024년 농협 계통농약 시담에서 가격을 1% 인상하는 대신 농약회사로부터 받고 있는 중앙회 수수료도 1% 추가 부담하도록 최종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2024년에 농약회사들이 중앙회에 지급해야 하는 수수료는 기존 2.7%에 1%를 더한 총 3.7%이다. 농협경제지주의 연간 계통구매 실적을 8000억원으로 예상할 때, 농약회사들이 올해 중앙회에 지급해야 하는 수수료는 대략 296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식약처에서 식품첨가물로 사용해도 안전성이 보장된다고 판단한 ‘옥신(IAA)’ 등의 천연성분을 사실상 비료(식물생리활성제) 원료로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비료공정규격(고시)」은 시급히 개정되어야 한다.” 친환경농자재업계가 식물생리활성제(Biostimulants)의 대표적 원료로 사용되는 해조추출물(Seaweedextracts)에 자연적으로 함유된 천연성분 ‘IAA(Auxin, Indole Acetic Acid)’ 등에 대한 규제(행정처분)의 근거가 되고 있는 「비료공정규격」의 고시 개정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고 나섰다. 최근 친환경농자재업계는 그동안 비료 관련 전문가들의 중지를 모아 ‘해조류 등에서 비의도적(자연발생적)으로 검출된 농약 성분과 관련한 「비료공정규격」 개정건의안’[표1]을 마련했다. 이 개정건의안에 따르면, 해조추출물, 천연광물 등 자연계에 존재하는 성분이 친환경농자재(제4종 복합비료, 미량요소 복합비료 등)의 사용원료로 포함되어 있으나 식약처장이 안전하다고 판단하여 고시한 ‘농산물의 잔류허용기준’ 중 ‘농약잔류허용기준 면제 성분 및 그 보조성분’에 대하여는 자연계에서 존재할 수 있는 최대치(10ppm 이하)까지 허용해야 한다는 내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새(조류) 퇴치용 ‘레이저 허수아비’의 효과 실험이 미국에서 진행되고 있다.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과 로드아일랜드 대학교의 연구자들은 빛을 이용해 새를 퇴치하는 첨단 기술 솔루션인 ‘레이저 허수아비’의 효과 시험 결과를 토대로 단옥수수의 수확 직전 조류 피해를 20% 이상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근 Pest Management Science(해충 관리 과학) 저널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서 이들 연구진은 “유럽 찌르레기 떼에게 신선한 옥수수 이삭을 뿌려준 뒤 ‘레이저 허수아비’를 통해 움직이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실험에서 레이저 장치로부터 최대 20m까지 작물에 대한 피해를 크게 완화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특히 기존의 청각적 조류 퇴치용 장치(시끄러운 소음 발생 장치)나 치명적인 억제제를 사용하는 장치와 달리 ‘레이저 허수아비’는 야생동물 등에 피해를 입히지 않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플로리다 대학교의 야생동물 생태 및 보존학 교수이자 이 연구의 교신저자인 캐서린 시빙(Kathryn Sieving)은 “조류로 인한 농작물 피해는 매년 수백만 달러에 달한다”며 “점점 더 많은 농업인들이 저렴하고 휴대가 간편한 레이저 장치를 찾
글로벌 FMC가 파라과이 기업인 H3 Agrochemicals와 공동 개발한 살균제 ‘Fidresa(피드레사)’를 Agrodinamica 2023 박람회에서 전격 공개했다. AgroPages에 따르면, FMC가 지적재산권을 보유한 최초의 카르복사미드(Carboxamide)인 플루인다피르(Fluindapyr)와 트리아졸(Triazole)의 혼합제인 ‘Fidresa’는 혁신적인 광범위 살균제이다. 라틴 아메리카 남부 지역 FMC의 농업 공학자이자 살충제 및 살균제 제품 관리자인 마티아스 모레노(Matias Moreno)는 “살균제 ‘Fidresa’는 콩 작물의 말기 질병과 녹병 방제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저항성 관리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제품”이라며 “최근 아르헨티나와 파라과이에서 진행한 다양한 시험을 통해 콩 질병 방제 효과를 입증받았다”고 말했다. H3 Agrochemicals 부사장이자 엔지니어인 로베르토 마이어(Roberto Maier)는 “이번에 출시한 ‘Fidresa’는 최고 수준의 살균제로서 농업 현장에서 콩 녹병 및 기타 질병을 관리하는데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면서 “특히 엘니뇨 기후 현상으로 인해 병해충이 다발생하는
2024년도분 농협 계통농약 가격 시담(示談)이 한창 진행 중이다. 농협 계통참여 농약회사들은 ‘평균 3~5% 인상’의 불가피성을 강조하는 반면, 농협경제지주는 ‘가격안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협 계통참여 주요 7개 농약회사(경농·농협케미컬·동방아그로·바이엘크롭사이언스·신젠타코리아·팜한농·한국삼공)는 2024년도 사업분 농약 원가요소별 가격 인상 요인으로 오리지널 원제 가격과 환율 변동성, 제제와 관련된 에너지 비용의 증가 등을 꼽고 있다. 여기에 생산·포장 등과 관련한 각종 부자재 가격 변동도 한 몫을 더하고 있다. 특히 2024년도 사업분 농약의 원가요소별 가격 인상 요인은 2022년과 2023년에 비해 다소 완화됐다지만, 여전히 농약회사 자체적으로 가격 인상 요인을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은 벗어나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에 따라 농협 계통참여 주요 7개 농약회사들은 각각의 상황에 따라 최소 3%에서 5%까지의 인상안을 농협경제지주에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농협경제지주도 이를 토대로 농약 원가요소별 가격 변동률을 감안해 본격적인 가격 시담에 나서고 있다. <영농자재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2024년도 사업분 농약(제품)
2023년 한해 농약 시장은 지난해보다 평균 7%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올해 농약 가격(농협 계통납품가 기준) 인상률이 평균 12.5%에 달했던 점을 감안하면, 주요 8개 농약회사의 매출 성장률은 가격 인상분도 따라잡지 못했다. 농약 원제회사와 제조회사를 통해 자체 집계(구두 조사)한 2023년 11월말 기준 주요 8개 메이저 농약회사(팜한농·농협케미컬·경농·동방아그로·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바이엘크롭사이언스·성보화학)의 매출총액은 1조667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조5603억원에 비해 6.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가격 인상분(평균 12.5%)을 제외하면 사실상 마이너스 성장에 그쳤다. 특히 마이너 회사들은 올해 중·후반기에 접어들면서 극심한 가격경쟁과 판매 부진에 시달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월 이후 중국산 원제 가격 변동 폭이 확대되면서 국내 제네릭 제품 출하 가격에 큰 영향을 미쳤고, 이로 인한 가격경쟁의 심화로 심각한 판매 부진을 겪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농약 유통 채널의 한 축을 담당하는 농협 계통농약의 사업실적을 보면, 메이저 7개 회사의 경우 올해 7501억원 수준(이월+신규=계통+자체)으로
2024년 1월 1일부터 농협중앙회와 농협경제지주를 이끌 집행간부(상무·지역본부장) 인사가 단행됐다. 농협중앙회와 농협경제지주는 이번 인사에서 성과와 능력을 중심으로 ‘함께하는 100년 농촌’의 비전을 실현하고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조성할 인재를 대거 임용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를 통해 이성희 회장이 강조하는 일·사람·공간에 초점을 맞춘 핵심과제 추진에 속도감을 더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협중앙회 상무】 <교육지원> △문상철 (前 농협중앙회 상호금융디지털사업본부장) △이동근 (前 농협중앙회 상호금융사업지원본부장) △이종욱 (前 농협중앙회 충남세종본부장) <상호금융> △김문기 (前 농협중앙회 비서실장) △박정균 (前 농협중앙회 상호금융대체투자부장) △장종환 (前 농협은행 금융소비자보호부문장) 【농협중앙회 상무보】 <교육지원> △이윤형 (前 농협중앙회 IT상호금융부장) △조은주 (前 농협은행 서울본부장) <상호금융> △노종배 (前 농협중앙회 인사총무부장) 【농협중앙회 지역본부장】 △경기본부 : 박옥래 (前 농협은행 경기본부장) △강원본부 : 김경록 (前 농협은행 자금세탁방지부장) △충북본부 : 황종연 (前 농협은행
식물생리활성제(Biostimulants)의 대표적 원료로 사용되는 해조추출물에 자연적으로 함유된 천연성분 ‘IAA(Auxin Indole 아세트산)’ 등에 대한 과도한 처벌 규정을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거듭되고 있다. 친환경농자재협회(회장 정명출)는 지난달 26일 ‘식물생리활성제 품질관리제도 모순점과 대안(제4종, 미량요소 복합비료 관련 현안)’을 주제로 기술위원회를 개최하고, ‘식물생리활성제의 비의도적 기준설정’ 등의 시급한 제도개선 필요성을 다시금 제기했다.《관련기사 2023.5.17. ‘식물생리활성제 품질관리제도 모순점 개선해야’》 친환경농자재협회 기술위원들은 이날 “최근 정기 비료 단속검사에서 해조추출물(Seaweedextracts)을 원료로 사용한 제4종 복합비료나 미량요소 복합비료 업체의 상당수 제품에서 옥신(IAA), 사이토키닌(cytokinin), 지베레린(gibberelin), 6BA 등 천연 유래 성장촉진물질이 미량으로 검출돼 가혹한 영업정지 처분을 받아 불만을 호소하고 있다”며 “여타 업종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억울한 독소조항인 만큼, 해조추출물이나 부식산 등을 비료 원료로 사용하는 제품에 대해 비료의 비의도적 기준이 적용될 수
“농약 기업들은 레이싱 드라이버처럼 자신의 임무에 집중하는 동시에 장기적으로 경영, 혁신, 산업 고도화 등의 상업적 성공을 향해 나아가야 합니다.” 두 후이(DU Hui), 치루제약 그룹(Qilu Pharmaceutical Group) 작물보호부문 부사장 겸 화싱 케미컬(Huaxing Chemical) 회장은 최근 AgroPages가 저장성 작물보호산업협회와 함께 주최한 ‘제7차 중국 농약 수출 워크숍(2023 CPEW)에서 “오늘날 농약 산업은 많은 변수와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다우 케미칼(Dow Chemical)에서 15년간의 근무 경력을 가진 풍부한 농화학 산업 전문가인 DU Hui는 “새로운 작물보호 기술이 점점 더 성숙해지는 세계 작물보호 시장은 여전히 유망한 시장”이라며 “농약 산업 종사자들이 유망한 미래를 향한 업계 발전을 계속해 나가자”고 장려했다. DU Hui가 ‘2023 CPEW’에서 발표한 글로벌 농약 산업의 현황을 발췌·정리한다. 2023년 상반기 이후 전반적인 농약 산업 현황 지난 2021~2022년 농약 산업은 호황기가 유지됐고, 선두 기업들은 호황기의 수혜를 누려 매출과 이익 모두에서 성장세를 나타냈다. 그러
내년 진딧물 약제 시장에 새바람이 예견되고 있다. 국내에 처음 선보일 새로운 성분(Dimpropyridaz)의 진딧물 약제인 △경농 ‘두레온’ 입제 △농협케미컬 ‘카드리온’ 액제 △한국삼공 ‘이피콘’ 분산성액제의 출시가 임박했기 때문이다. 특히 ‘딤프로피리다즈(Dimpropyridaz)’ 원제(일반명)는 최근 IRAC(살충제저항성위원회, Insecticide Resistance Action Committee) ‘그룹 36번(작용기작 분류번호)’의 유일한 작용기작으로 분류된 새로운 계통의 살충제로 저항성 진딧물 방제에 탁월한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2024년 신제품으로 출시될 ‘두레온(경농)’·‘카드리온(농협케미컬)’·‘이피콘(한국삼공)’은 BASF가 새로 개발한 진딧물 약제의 원제 상표명인 ‘악살리온(Axalion™)’의 활성 성분(일반명 ‘딤프로피리다즈’)을 각각의 제형(입제·액제·분상성액제)으로 제품화해 첫선을 보인다. 경농·농협케미컬·한국삼공에 의하면, 이들 제품은 해충의 청각, 방향 및 균형감각을 담당하는 현음기관에 작용해 활동성을 저하시켜 작물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흡즙성 해충 방제용 전문 살충제로 진딧물의 신경을 둔화시켜 먹이를 먹거
‘제7회 중국 농약 수출 워크숍(China Pesticide Exporting Workshop)’이 2024년 7월 중국 항저우에서 개최된다. CPEW는 농약 산업의 밸류체인(가치사슬)에 초점을 맞춘 국제 워크숍으로, 매년 전 세계 500개 이상의 기업과 1000명 이상의 방문객이 모여 중국 농약 수출과 세계 농업 및 작물보호 시장의 발전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지식 및 교류 중심 워크숍으로 치러지는 CPEW는 농업 관련 기업의 최신 혁신, 솔루션 및 서비스에 대한 통찰력과 토론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농약 제조업체와의 비즈니스 교류를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제공해 농약 공급업체와 구매자 간의 비즈니스 연결을 촉진하는 장이 되고 있다.
김대기 이사장(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의 장남 김민성 씨가 신부 최희주 양과 11월 18일 화촉을 밝힌다. △일시: 11월 18일(토) 오후 12시 10분 △장소: 호텔 인터불고 엑스코(지하 1층 헤라홀) △주소: 대구시 북구 유통단지로 80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스마트 농업·농촌 시대의 공감대 형성을 위한 ‘제2회 국제 Smart 농업 엑스포’가 이달 1일부터 3일까지 사흘간 제주도 서귀포농업기술센터와 인근에서 개최됐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제2회 국제 Smart 농업 엑스포’에서는 스마트농업에 관련된 첨단 기자재와 기술을 보유한 관련 업체들의 제품전시와 함께 관련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제주 농업의 스마트화를 위한 민간인 중심의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또한, 이번 엑스포에는 30여 스마트농업 관련 업체가 각각의 부스에 해당 제품을 전시하고, 또 기술을 소개하는 등 제주 지역은 물론 다른 지역의 많은 전문가와 농업인들이 방문해 성황을 이뤘다. 특히, 국제 Smart 농업엑스포 조직위원회와 제주 Smart-Valley포럼 운영위원회(운영위원장 김종현)가 공동 주최한 ‘제63차 제주 Smart e-Valley포럼’ 특별 콘퍼런스에 많은 관심이 집중됐다. ‘스마트농업의 현재와 미래를 논하다’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콘퍼런스는 제주특별자치도와 협력을 통해 미래 제주, 나아가 한국 스마트농업의 확산과 강화를 위한 관련 전문가들의 상호 소통의 장이 됐다. 또한 전문가와 함께
올해 9월 말 현재 주요 7개 농약 회사의 총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평균 2.0%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이들(팜한농·농협케미컬·경농·동방아그로·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SB성보) 중에서 경농·동방아그로·SB성보의 매출은 순증한 반면, 팜한농(바이엘크롭사이언스 전년 동기 매출 합산)·농협케미컬·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의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농약 제조회사와 몇몇 원제사를 통해 자체 집계한 ‘2025년 9월 말 기준 주요 7개 농약 회사 매출 현황’[표1]을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조 6137억 원보다 327억 원(2.0%) 증가한 1조 6464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 중에 주요 6개 회사(SB성보 제외)의 농협 계통농약 매출총액은 738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560억 원)보다 2.3%(177억 원) 줄었다. 농협 지역본부 자체구매와 제네릭 회사 및 아리품목 등을 포함한 계통농약 전체 매출도 전년 동기(9370억 원)와 비교해 5.4%(508억 원) 줄어든 8862억 원에 그쳤다.[표2] 이에 반해 주요 7개 농약 회사의 시판 매출총액은 9080억 원으로 전년 동기(8594억 원) 대비 5.
최근 작물보호제유통협회와 농협중앙회가 농약 유통질서 문란 행위에 공동 대응하자는데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일선 농가들의 벼 재배 농약 구입처 조사 결과가 발표돼 명암이 교차하고 있다. (사)한국농자재시험연구기관협회(회장 이광하)가 실시한 ‘2023년도 벼 농약사용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농가의 84.3%가 지역농협에서, 15.7%가 시중 농약판매점에서 수도용 농약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용 약제와 달리 특히 수도용 농약은 정부 보조사업과 자체 지원사업 등으로 농협이 행정 편의성과 가격경쟁력에서 월등히 앞선 결과로 봐야 한다는 것이 일선 관계자의 분석이다. 농약사용은 총 7.8회 살포하였으며, 용도별로는 살충제가 2.7회로 가장 많았다. 평균 농약 살포일수는 4.5일로 조사됐고, 단위 면적당 사용량은 ha당 2.6kg으로 나타났다. 107가지 성분의 269종의 농약이 사용됐고, 가장 많이 사용된 농약은 제초제 뷰타클로르 약제로 나타났다. 벼 재배 ‘107성분·269약제’ 사용 한국농자재시험연구기관협회(KARO)는 2023년도 벼 재배기간 동안 농약사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8개도 58개 시군의 주요 생산지에서 380농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