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농약(원제) 가격과 신규 화합물·바이오 솔루션 동향 등 중국의 작물보호제 산업 전반을 조망해 볼 수 있는 ‘2024년 중국 농약 수출 워크숍(CPEW 2024)’이 7월 18~19일 이틀간 항저우(JUNSUN luxury hotel)에서 열린다. ‘CPEW 2024’는 △중국의 농약(원제) 가격 및 수급 동향 △농약(원제) 공급업체의 새로운 솔루션 △신규 화합물, 혁신적 제형 및 바이오 솔루션 등의 최신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CPEW 2024’에서는 ▶세계 농약시장 발전 동향 및 전망 ▶중국의 농약 공급망 역학 ▶중국의 농약산업 관측(용량·가격·특허만료 및 특허제품 개발) ▶비선택적 제초제의 효율적인 소싱 플랫폼 구축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의 세계 시장 개발 ▶중국 플랜트 보호 솔루션의 혁신과 고도화 ▶중국의 새로운 활성화합물의 시장화 경로 ▶중국의 바이오 혁신제품 개발 동향과 시장모형 ▶통합 생물학적 솔루션 개발과 해외에서의 활용 시나리오 ▶종자·농기계·농약·비료의 농산물 원스톱 공급모델 등을 주제로 다양하고 심도 있는 논의의 장이 마련된다. ‘CPEW 2024’ 관계자는 “이번 워크숍에는 50여개국에서 500여개 농약 제조
중국 농업농촌부 산하 ICAMA는 이달 10일 중국 농화학 기업이 새로 개발·등록한 12종의 신규 농약을 공개했다. 올해 중국에 새로 등록된 신규 농약은 ‘피라퀴네이트(Pyraquinate)’, ‘플루페녹시마실(Flufenoximacil)’ 및 ‘플루설피남(Flusulfinam)’ 등 3가지 제초제 활성 성분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들 3가지 활성 성분의 제형과 함량을 각각 달리한 9가지 제품이 새로 등록됐다. ‘피라퀴네이트(Pyraquinate)’ 성분의 경우 산동신다농약유한공사(Liaoning Cynda AgroScience)가 △피라퀴네이트 95% TC와 △피라퀴네이트 5% OD 제품으로 등록했다. 또 ‘플루페녹시마실(Flufenoximacil)’ 성분은 △Flufenoximacil 95% TC △Flufenoximacil 40g/L EC △Glufosinate.Flufenoximacil 18.79% ME 및 △Flufenoximacil.L-Glufosinate 10.01% ME 제품으로 산둥킹아그루트(Shandong KingAgroot)가 등록했다. Shandong KingAgroot는 또 ‘플루설피남(Flusulfinam)’ 활성 성분을 기
새로운 농약 개발·등록 비용이 3억 달러(한화 약 4068억원)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그바이오인베스터(AgbioInvestor)가 최근 발표한 ‘농화학 신제품 개발·등록 비용’ 보고서에 따르면, 신규 농약 개발·등록 비용은 2010~2014년에 비해 2014~2019년 기간에 5.7% 증가한 3억 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신규 농약 개발·등록 기간도 12.3년으로 예년보다 1년이 더 늘어났다.[그래프] 신제품 농약 1개 품목이 상용화되기까지의 전체 프로세스 중 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부분인 개발 단계는 1억 3310만 달러로 전체 과정의 51.0%를 차지했으며, 이전 기간보다는 8.5% 감소했다. 그러나 개발 단계의 이러한 비용은 연구 및 등록 단계의 더 많은 비용으로 상쇄됐다. 연구비는 18.9% 증가한 1억 2660만 달러로 전체 과정의 42.1%를 차지했다. 등록비도 이전 기간보다 25.9% 증가한 4180만 달러에 이를 만큼 가장 큰 비율로 증가했으며, 전체 프로세스의 13.9%를 차지했다. AgbioInvestor는 이 프로세스의 상대적 비용과 기간을 결정하기 위해 BASF Agricultural Solutions, Bayer Cro
중국의 일부 중·소 농약 수출기업들이 ‘자국산(Made in China)’ 상표 대신 ‘한국산(Made in Korea)’ 상표를 붙인 수출용 농약 생산을 위해 우리나라 제조회사와 긴밀히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영농자재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중국의 N사와 SIPCAM China 등이 ‘한국산’ 상표를 부착한 수출용 농약 생산을 위해 우리나라의 몇몇 제조회사를 방문했다. 특히 N사는 국내 O사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한국법인 설립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보다 앞서 SIPCAM China는 국내 H사에서 상당량의 수출용 농약을 생산해 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외에도 중국 내 몇몇 농약 수출기업들이 ‘한국산’ 상표가 붙은 수출용 농약 제품 확보를 위해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얼마 전 한국을 방문한 중국 농약 수출기업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의 중·소 농약 수출기업들은 중동·남미·아프리카 등지에서 소위 ‘China Risk’로 여겨지는 ‘Made in China’ 제품의 저평가 이미지를 탈피할 수단으로 ‘한국산(Made in Korea)’ 브랜드를 위시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국의 스탠다드(St
다국적 농화학 기업들은 오랜 세월에 걸쳐 특허받은 농약 성분(품목)으로 전 세계 주요 농약 시장을 장악해 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새로운 농약(성분)의 출시가 둔화되면서 특허 만료된 제네릭 제품의 시장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 그동안 특허 만료 농약 성분은 수많은 제네릭 농약 제조업체에게 광범위한 개발 의지를 제공했다. 그러다 보니 제네릭 농약 제조업체들은 농약 성분의 특허가 만료되면 그 즉시 해당 시장 선점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욱이 대부분의 오리지널 제조업체와 연구기관들은 선점적 지위를 활용해 화합물 특허를 제외하고는 생산 공정, 핵심 중간체, 제형, 혼합물 및 응용 분야에 대한 한발 앞선 보호막을 쳐놓았다. 이에 따라 특허가 없는 농약 제조업체들은 모든 특허가 만료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제네릭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독자적인 지적재산권을 가진 새로운 공정 경로를 개발해야 했다. 그 정점에 중국 농화학 산업이 자리하고 있다. 중국 농화학 산업은 다국적 기업이 남긴 마지막 생산 능력 이전과 맞춤형 제조를 통해 특허권이 만료된 농약 생산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뤄냈다. 이로 인해 중국 농화학 산업의 선도기업이 대규모로 발전하
ADAMA가 유럽 전역의 곡물 재배자를 위한 새로운 광범위 스펙트럼 T2 살균제인 ‘Avastel®(아바스텔®)’을 출시했다. 선도적 작물보호 회사인 ADAMA Ltd.(SZSE 000553)가 이번에 출시한 ‘Avastel®’은 ‘카복사미드(SDHI)’와 ‘트리아졸(DMI)’의 두 가지 활성 성분을 결합해 갈색무늬병, 녹병, 황반병 등 다양한 곡물의 여러 질병을 탁월하게 방제할 수 있는 살균제이다. 잎 조직 내에서 더 잘 흡수되고 더 빠른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ADAMA의 고유한 ‘아소비탈®(Asorbital®)’ 제형 기술을 접목해 세척에 대한 내성을 높이고 살포 시간대의 날씨 불확실성을 완화하는 뛰어난 유지력을 지니고 있다. ADAMA의 살균제 글로벌 책임자인 알렉스 밀스(Alex Mills)는 “아바스텔®을 사용하면 갈색무늬병, 녹병 등을 비롯한 기타 주요 질병과 맞서 싸워야 하는 유럽 농업인들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아바스텔®은 질병에 대한 강력한 치료 효과와 장기 예방 효과를 발현하기 때문에 수확량을 극대화하는데 중요한 더 강력한 잎을 생성한다”고 설명했다. ADAMA의 현장 실증시험 결과, 아바스텔®은 경쟁 제품에 비
BASF가 이달 16~18일 브라질 상파울루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Fruit Attraction Brasil 2024’에서 작물보호에 초점을 맞춘 두 가지 주요 글로벌 제품을 공개했다. 그중에 하나는 감자, 토마토와 같은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 방제제 ‘Inscalis(인스칼리스)’이고, 또 다른 하나는 감자, 사과, 토마토, 포도, 감귤류 등의 질병 치료제 ‘Revysol(레비솔, Mefentrifluconazole)’이다. 우선, ‘아피도피로펜(Afidopyropen)’은 살충제인 ‘Inscalis’의 핵심 성분으로 곰팡이인 페니실리움 코프로비움( Penicillium coprobium)과 함께 자연적으로 생성된다. BASF 과학자들은 “Inscalis는 진딧물, 가루이, 나무이(psyllids), 비늘 곤충, 멸구와 같은 노린재류 등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정확한 솔루션을 만들기 위해 활용된 백색 생명공학과 같은 혁신적이고 협력적인 과학적 방법의 결과로 ‘시장의 새로운 표준’을 설정했다”며 “성장 조건과 화학적 합성을 최적화함으로써 수확량을 크게 높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BASF에 따르면, 자연 발효 과정에서 파생된 ‘Inscalis’는 유익한
Syngenta UK Limited는 2024년 시즌을 위한 새로운 마름병 살균제로 ‘Evagio Forte(에바지오 포르테)’를 출시했다. 신젠타에 따르면, ‘Evagio Forte’는 가장 효과적인 CAA(카르복실산 아미드) 잎 마름병 활성 성분인 ‘만디프로파미드(Mandipropamid)’와 ‘아미설브롬(Amisulbrom)’을 혼합한 사용하기 쉽고 최적화된 제형의 살균제이다. 신젠타 기술 매니저인 Andy Cunningham(앤디 커닝햄)은 “Evagio Forte 제제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살균제 그룹에서 나온 강력한 활성제를 혼합해 귀중한 내성 관리 전략을 추가하고 마름병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효능을 유지시켰다”고 설명했다. Andy가 강조한 등록 시험에서는 Evagio Forte 제제가 두 가지 개별 구성 요소에 권장되는 비율과 비교해 만디프로파미드와 아미설브롬 조합의 전체 활성 부하를 감소시키면서 효과적인 역병 제어를 제공한다는 것이 입증됐다. Andy는 “마름병 프로그램에서 전반적인 살균제 활성 적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저항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독 제품의 혼합을 사용할 때 더욱 그렇다”며 “이러한 특정 효능 실험의 증거가 없
올해 1분기(3월말 기준) 농약시장 매출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8개 농약회사(팜한농·농협케미컬·경농·동방아그로·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바이엘크롭사이언스·성보화학)의 2024년 1/4분기 매출 총액은 918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9403억원보다 2.4%p(223억원) 줄어든 것으로 추산됐다. 농약업계는 최근 몇 년간 일정 수준의 성장세를 유지해왔던 국내 농약시장이 올해 들어 매출 역조로 출발하면서 당혹감에 휩싸였다. 더구나 매년 1분기 매출실적은 당해 연도 전체 농약시장을 예측할 수 있는 ‘바로미터’라는 점에서 올 한해 농약시장 전망도 불투명해지고 있다. 올해 1분기 농약시장의 이러한 매출 역조는 유통업계의 재고 누적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농약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응애를 포함한 병해충 발생 저조와 사과·배·자두 등의 냉해 피해로 인한 과수 약제 소비가 감소한 데다 농약회사들이 연말 목표달성을 위해 무리한 조기판매에 나선 것도 재고 누적의 결과를 낳았다. 올해 영농철을 앞둔 시점에 저온현상이 지속되면서 당초 예상과 달리 개화 시기가 늦어지고 모종, 하우스 작물 생육 상태가 좋지 않아 농약 사용량이 줄어든 것도 올해
앞으로 제4종·미량요소 복합비료 등의 친환경농자재에 비의도적으로 함유된 옥신(IAA) 성분은 1.0ppm 정도까지 허용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다. 아울러 친환경농자재 생산업체가 IAA의 확실한 천연 함유 근거를 제시할 때는 10ppm 정도까지도 설정 고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영농자재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식물생리활성제(Biostimulants)의 대표적 천연물질인 해조추출물(Seaweedextracts)을 제4종·미량요소 복합비료 등의 친환경농자재 원료로 사용할 때 자연발생적으로 함유되는 천연성분 ‘IAA(Auxin Indole 아세트산)’ 등을 1.0ppm 정도까지 허용하는 「비료공정규격」 고시 개정이 추진되고 있다. 그럴 경우 ‘IAA’ 등의 천연생장조정제에 대해 그동안 ‘농약 성분’이라는 범주(Category)에 가둬 제4종·미량요소 복합비료 등에서 검출허용한계 0.05ppm을 초과하거나 극미량이라도 검출되면 행정처분을 당해야 했던 친환경농자재 생산업계의 오랜 숙원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IAA의 ‘합성성분’과 ‘천연성분’을 구분할 수 있는 뚜렷한 분석법이 아직은 제시되지 않고 있지만, 향후 상당한 분석 시
영농철 농업인에게 최저 연 2%대 금리로 1인당 최대 5000만원까지 2년 이내로 지원하는 농협 대출상품이 나왔다. 농협(회장 강호동) 상호금융은 ‘변화와 혁신을 통한 새로운 대한민국 농협’ 구현의 일환으로 농협중앙회가 2%p의 이자를 지원하는 ‘새출발 행복농촌 상생대출’을 출시한다고 이달 27일 밝혔다. ‘새출발 행복농촌 상생대출’은 ▲청년 창업농, 귀농인 및 농·축협 조합원을 포함한 농업인이면 누구나 가까운 농·축협에서 ▲1인당 최대 5천만원까지 2년 이내로 ▲영농자금 용도의 신규대출 및 기존 대출 대환 신청이 가능하며, 총 한도는 1조원으로 최소 2만여 명의 농업인에게 400억원 규모의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기대된다. 출시 첫날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경기 서안성농협(조합장 윤국한)을 방문해 25년 동안 농협과 함께해 온 유찬상(80세) 조합원을 만나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새출발 행복농촌 상생대출’ 가입행사를 가졌다. 이날 유찬상 조합원은 “많은 자금이 소요되는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농업인에게 꼭 필요한 ‘새출발 행복농촌 상생대출’ 1호 가입자가 되어 매우 뜻깊다”고 말했다. 강호동 회장은 “고금리로 힘들어하고 계신 농업인들의 부담을 덜어드리고자 혁
지속 가능한 농업의 증가와 엄격한 환경 준수 규정으로 농업의 생물학적 제제는 다국적 거대 농업기업과 생물 산업의 선도기업, 혁신적인 스타트업, 심지어 유통기업에 의해 생산 레이아웃이 확립될 정도로 인기 있는 산업 부문이 되고 있다. 지난 10년간 외신 등 여러 경로로 발표된 자료를 종합하면, 글로벌 거대 농업기업들은 전략적 투자, 인수합병(M&A), 다차원적 협력을 통해 생물학적 제제 생산을 늘리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최근 몇 년간 대규모 인수합병과 대규모 협력 거래가 농업 분야 생물학적 제제 산업의 발전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2023년 농업 분야 생물학적 제제의 전 세계 매출은 미화 146억 달러에 달했다. 이는 향후 몇 년 동안 약 13.8%의 연평균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오는 2028년에는 매출 279억 달러에 이를 정도로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주축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분야의 발전은 대·중·소규모 농업 회사가 인수합병에 참여하고 전략적 파트너와 협력해 구축한 ‘생물학적 생태계’의 발전·촉진을 장려하면서 잠재력이 발휘되고 있다. 이들은 인수합병과 협력 계약을 통해 당사자들끼리 통합하고
전 세계 농업인들에게 혁신적인 농업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특히 작물 보호 제품 개발에 반영되는 과학 기술 혁신을 통해 글로벌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 다국적 농화학 기업들의 공통 목표가 됐다. 그레이스 위안(Grace Yuan), AgPages 글로벌 마케팅 이사가 최근 발표한 ‘2023년 글로벌 등록·출시 농약과 고부가가치 제품(품목) 분석’에 의하면, 지난해에도 여전히 새로운 제품(품목)의 등록·출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다국적 농화학 기업들은 주로 기존 제품의 혁신과 업그레이드를 촉진하기 위해 새로운 제형, 공식 및 응용 시나리오 개발에 주력한 것으로 파악됐다. 약제별로 보면, SDHI(Succinate dehydrogenase inhibitors, 석식산탈수소효소 억제제) 살균제는 빠르게 발전했으며, 여전히 다국적 기업의 개발 우선순위에 있다. 살충제의 경우는 최근 몇 년 동안 ‘리아노딘 수용체(Ryanodine receptor)’ 기반 살충제인 클로란트라닐리프롤(Chlorantraniliprole)이 급부상하면서 ‘피레스로이드(Pyrethroids)’, ‘네오니코티노이드(Neonicotinoid)’, ‘리아노딘 수용체’ 기반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는 자회사인 농협케미컬 대표이사에 하명곤 전 농협경제 회원경제지원본부 상무를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협중앙회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하명곤 농협케미컬 대표이사 내정자는 오는 4월 1일자로 부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명곤 신임 농협케미컬 대표이사 내정자는 1963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진주고와 서울대를 졸업한 뒤 1990년 농협중앙회에 입사해 농협중앙회 산지활성화팀장, 회원사업지원단장, 자재사업단장, 모바일쇼핑사업부장 등을 거쳐 경남농협지역본부장, 농협홍삼 대표이사, 농협경제 상무를 역임했다. 지난해 4월부터 현재까지 (주)경남무역 대표이사로 재직해 오던 중에 다시 농협중앙회의 부름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농협케미컬은 농협경제지주가 100% 출자하여 농업인이 주인인 회사로서, 안정적인 농산물 생산을 위한 필수 자재인 작물보호제를 생산·공급하며 농업인 실익 증대를 위해 힘쓰고 있다.
국내 메이저 8개 농약회사들은 2024년도 매출(계산서가) 목표치를 지난해보다 평균 4.5% 가량 높게 잡았다. 또 올해 1월말 기준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3.0%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몇몇 농약 원제사와 제조회사를 통해 집계한 국내 메이저 8개 농약회사의 올해 매출 목표치는 지난해 매출총액 1조 6966억원보다는 평균 7.3%(1236억원) 늘어난 1조 8202억원으로 상향됐다. 2023년 목표(계산서가) 1조7425억원과 비교해서는 4.5%(777억원) 증가한 목표치다. 이는 2024년도분 농협계통 농약가격이 사실상 ‘동결’(농협 계통가격 평균 1% 인상, 농협중앙회 수수료 1% 증액)된 점을 감안하면, 비교적 높은 목표치 설정으로 풀이된다. 또한, 주요 8개 농약회사의 올해 1월말 매출액은 전년동기(2844억원) 대비 3.0%(86억원) 증가한 2930억원으로 집계, 순조로운 첫발을 내디딘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농약회사별 매출 목표를 보면, △팜한농이 지난해 매출총액(4319억원)보다 6.3% 많은 4592억원으로 높였으며 △농협케미컬은 지난해 매출(3245억원) 대비 6.5% 높인 3456억원으로 책정했다. 이어 △경농은 전년매출(2742
올해 9월 말 현재 주요 7개 농약 회사의 총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평균 2.0%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이들(팜한농·농협케미컬·경농·동방아그로·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SB성보) 중에서 경농·동방아그로·SB성보의 매출은 순증한 반면, 팜한농(바이엘크롭사이언스 전년 동기 매출 합산)·농협케미컬·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의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농약 제조회사와 몇몇 원제사를 통해 자체 집계한 ‘2025년 9월 말 기준 주요 7개 농약 회사 매출 현황’[표1]을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조 6137억 원보다 327억 원(2.0%) 증가한 1조 6464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 중에 주요 6개 회사(SB성보 제외)의 농협 계통농약 매출총액은 738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560억 원)보다 2.3%(177억 원) 줄었다. 농협 지역본부 자체구매와 제네릭 회사 및 아리품목 등을 포함한 계통농약 전체 매출도 전년 동기(9370억 원)와 비교해 5.4%(508억 원) 줄어든 8862억 원에 그쳤다.[표2] 이에 반해 주요 7개 농약 회사의 시판 매출총액은 9080억 원으로 전년 동기(8594억 원) 대비 5.
최근 작물보호제유통협회와 농협중앙회가 농약 유통질서 문란 행위에 공동 대응하자는데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일선 농가들의 벼 재배 농약 구입처 조사 결과가 발표돼 명암이 교차하고 있다. (사)한국농자재시험연구기관협회(회장 이광하)가 실시한 ‘2023년도 벼 농약사용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농가의 84.3%가 지역농협에서, 15.7%가 시중 농약판매점에서 수도용 농약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용 약제와 달리 특히 수도용 농약은 정부 보조사업과 자체 지원사업 등으로 농협이 행정 편의성과 가격경쟁력에서 월등히 앞선 결과로 봐야 한다는 것이 일선 관계자의 분석이다. 농약사용은 총 7.8회 살포하였으며, 용도별로는 살충제가 2.7회로 가장 많았다. 평균 농약 살포일수는 4.5일로 조사됐고, 단위 면적당 사용량은 ha당 2.6kg으로 나타났다. 107가지 성분의 269종의 농약이 사용됐고, 가장 많이 사용된 농약은 제초제 뷰타클로르 약제로 나타났다. 벼 재배 ‘107성분·269약제’ 사용 한국농자재시험연구기관협회(KARO)는 2023년도 벼 재배기간 동안 농약사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8개도 58개 시군의 주요 생산지에서 380농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