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FMC가 ‘코로나바이러스-19’로 인해 두려움에 쌓여 있을 FMC 중국 직원들에게 전세계 모든 직원들의 염원을 동영상에 담은 응원메시지를 전달하는 등 마음 따뜻한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FMC는 이에 앞서 중국의 ‘코로나19’ 최초 발생 직후부터 FMC 중국 직원들의 안전을 위해 현지상황에 맞춰 날짜별로 사태의 심각성을 빠르게 경고하는 한편 예방법과 행동지침 등을 공유했다. FMC코리아 김명기 부장은 “현재 중국에는 700여 명의 FMC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으나 다행히도 아직 ‘코로나19’에 감염된 직원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평소 직원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FMC 본사의 정책과 관심에서 비롯된 결과라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FMC는 특히 이번 코로나 사태에 대비해 여러 종류의 ‘인포그래픽’(Infographic-정보를 표현하는 그래픽)을 만들어 전세계 6500여 명의 직원들에게 발송했으며, 인쇄물을 사무실에 비치하도록 조치했다. FMC가 자체 제작한 ‘인포그래픽’에는 중국 우한 코로나바이러스 발생상황에 대비해 △중국 본토 여행을 삼갈 것 △해외여행 중에 하지 말아야 할 것과 반드시 해야 할 것 등의 코로나19 예방법과 행동지침을 자세히
윤재동 한국작물보호협회장이 연임됐다. 한국작물보호협회는 지난 18일 정기이사회·총회를 통해 제21대 회장에 윤재동(성보화학 회장) 현 회장을 만장일치로 재추대 했다. 윤 회장은 지난 2017년 제20대 회장에 추대된 이래 우리 농업과 농약산업 발전을 위해 헌신해 왔다. 또 협회 회원 간 친목 및 복리증진에도 남다른 열정을 쏟아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윤 회장은 1948년생으로 한국외국어대 독일어과를 졸업한 뒤 미국 롱아일랜드대에서 MBA를 취득했으며, 그동안 성보화학 부사장과 부회장 등을 거쳐 지난 2016년부터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한편 작물보호협회는 이번 정기이사회·총회에서 협회 업무기능 제고를 위한 조직변경 및 인사발령(안)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작물보호협회는 오는 3월1일부로 기존 3개부서 가운데 ‘기획관리부’를 제외한 ‘교육홍보부’의 명칭을 ‘기술홍보부’로, ‘기술개발부’는 ‘시험연구부’로 변경한다. 이러한 조직변경에 따른 인사발령도 단행해 △기획관리부에 이종섭 부장 △기술홍보부에 이재학 이사 △ 시험연구부에 박학순 이사를 각각 임명했다. ◇조직변경 및 인사발령(2020년 3월 1일자) 부서명 직위 성명 비고 기획관리부 부장 이종섭 차장 곽지영
고추 담배나방 저항성 발생사례 ‘전무’ 복숭아순나방 등 과수 나방류도 ‘무관’ 배추좀나방·파밤나방은 발현 빠르지만 약제별·지역계통별 저항성 차이 ‘뚜렷’ 신규약제 연용하면 저항성 발현 ‘순간’ 작용기작 다른 약제 교호살포가 ‘해답’ “살충제 저항성이라는 소문만 듣고 기존 약제를 고가의 약제로 바꿔 살포했지만 효과를 보지는 못했다.” 경기도 이천지역의 한 농협은 지난해 과수 병해충 발생 민원에 몸살을 앓았다. 상당수의 과수농가들이 살충제 저항성 문제로 농협을 찾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지역 과수농가들이 해충 방제에 실패한 원인은 살충제 저항성 때문이 아니라, 이상고온으로 인해 병해충 발생 패턴이 달라진 점을 감안하지 않고 기존과 동일한 시기에 약제를 처리했기 때문으로 파악됐다. 결국 과수에는 살충제 저항성이 발현하지 않았는데도 확실치 않은 소문만 듣고 값비싼 약제로 바꿔 사용했다가 경제적 손실만 가중시킨 때늦은 후회로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살충제 저항성은 ‘진실’아닌 ‘오해’가 문제 이처럼 살충제 저항성 문제는 사실과 다른 오해로 인해 많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살충제 저항성은 재배작물과 재배지역에 따라 해충종별, 약제계통별, 작용기
농협중앙회를 이끌어 갈 제24대 회장에 수도권(경기도) 출신의 이성희(71세) 후보가 당선됐다. 이성희 당선자(전 낙생농협 조합장)는 재수 끝에 농협중앙회장 자리에 올랐다. 이성희 당선인은 31일 오전 농협중앙회 대강당에서 전국 대의원 조합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임시 대의원회에서 2차 투표까지 가는 접전 끝에 전체 유효 투표수 293표 중 60.4%인 177표를 얻어 116표(39.6%)를 얻은 유남영 후보를 따돌렸다. 이성희 당선자인은 지난 1998년 3월부터 2008년 6월까지 낙생농협 조합장(3선)을 지냈으며, 농협중앙회 이사를 거쳐 농협중앙회 감사위원장으로 7년간 활동해 왔다. 그는 지난 2016년 1월 선거 당시 1차 투표에서 가장 많은 득표를 하고도 결선 투표에서 김병원 전 회장에 뒤져 낙선했다. 이번 선거에는 이성희, 강호동, 천호진, 임명택, 문병완, 김병국, 유남영, 여원구, 이주선, 최덕규 등 10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1차 투표에서는 이성희 당선자인이 82표(28%), 유남영 후보가 69표(23.5%)를 얻었다. 이어 강호동(경남 합천 율곡농협 조합장)후보가 56표를 얻어 3위를 했으며, 최덕규(전 합천 가야농협 조합장) 후보는 47
올해 농협 계통농약 신청금액은 6452억원으로 최종 집계됐다. 지난해 신청금액 6421억 원과 비교해 31억원(0.5%)이 증가했다. 통상적으로 계통농약의 연중 추가발주 등을 고려하면 올해 말 계통농약 사업실적은 이보다 훨씬 웃돌 것으로 예측된다. 농협의 계통농약사업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 왔다. 신청금액 기준으로 지난 2013년 5388억원에서 2014년 5854억원, 2015년 5857억원, 2016년 6146억원, 2017년 6204억원에 이어 2018년에도 6559억원으로 급신장 했다. 다만 지난해에는 계통농약 가격의 대폭 인하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138억 원이 줄어든 6421억 원을 기록했다. 2020년 농협 계통농약 정기신청 마감일인 이달 30일 현재 참여업체별 신청금액[표]은 △농협케미컬이 2300억원으로 전체의 35.7%를 점유한데 이어 △팜한농은 1519억원으로 23.5%의 점유비를 기록했다. 이어 △경농 755억원(11.7%) △동방아그로 609억원(9.4%) △한국삼공 465억원(7.2%) △바이엘 244억 원(3.8%) △신젠타 249억원(3.9%) △아다마 62억원(1.0%) △인바이오 50억원(0.8%) △한얼싸이언스 30억원(
2020년 농협 계통농약사업은 ‘가격인하’보다 ‘물량확대’에 역량이 집중되고 있다. 농협은 올해 계통구매 농약가격을 지난해 대비 평균 0.1% 가량 인하하는 선에서 마무리 했다. 종전의 가격인하폭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사실상 동결에 가깝다. 대신 농협은 지난 16일부터 설 연휴 직전까지 진행된 계통농약 정기 신청기간 동안 사업물량 확대를 위해 강한 드라이브를 걸었다. 특히 이번 정기신청 이외에도 ‘추가약정’을 통해 계통물량 확대에 주력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농협은 이에 따라 올해 팜한농·농협케미컬·경농·동방아그로·한국삼공·바이엘크롭사이언스·신젠타코리아 등 13개사와 계통공급계약을 체결했다. 기존 15개사 중에서 고려바이오와 아리스타는 공급계약을 체결하지 않았다. 대상품목은 지난해 1224개 품목보다 118개 품목이 늘어난 1342개 품목으로 확정됐다. 신규 약제도 225개가 추가 등록됐다.[표1] 올해 계통농약사업 세부추진계획으로 △농약 용도별·작물별 가격안정화 추진 △아리농약 저변확대로 농약가격 인하 주도 △‘가격차손 선배정제’ 실시로 가격민원 선제적 대응 △판매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제도 지속 운영 △현장방제 처방 육성 및 지원으로 농가서비스 강화
2020년 농협 계통농약 신청 8일차(1월 23일) 중간집계 결과 4161억원을 기록했다. 농협은 설명절 연휴 등을 감안해 신청기간을 이달 30일까지 연장한 만큼 지난해 신청금액 6421억원은 웃돌 것으로 보인다. 또 농협 계통농약은 통상적으로 연중 추가발주가 이뤄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 말 계통농약 사업실적은 대폭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농협 계통농약 신청 8일차인 23일 현재 업체별 신청금액[표]은 △농협케미컬이 1419억원으로 전체의 35.8%를 점유한데 이어 △팜한농은 958억원으로 23.0%의 점유비를 기록하고 있다. 이어 △경농 461억원(11.1%) △동방아그로 422억원(10.1%) △한국삼공 294억원(7.1%) △바이엘 159억 원(3.8%) △신젠타 182억원(4.4%) △아다마 45억원(1.1%) △인바이오 28억원(0.7%) △한얼싸이언스 20억원(0.5%) △대유 1억원(0.0%) △새한농 1억원(0.0%) △KC생명과학 1억원(0.0%) △순수아리 101억원(2.4%) 순으로 집계됐다. [표] 2020년 계통농약 정기신청 현황 (단위:억원,%) 구분 업체명 2019년 전체 2020년 8일차 신청(A) 공급(B)
2020년 국내 농약시장도 그리 밝아 보이지만은 않다. 특히 지난해의 악재가 고스란히 대물림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연초부터 농작물(마늘, 양파, 고추, 사과, 감귤 등) 가격이 폭락하면서 농업인들의 영농의지가 꺾인 데다 여름철 지속적인 강우로 병해충 발생이 급감해 농약 소비가 매우 저조한 시장상황이 이어졌다. PLS제도 전면시행도 농약매출 감소에 한몫을 했다. 이로 인해 농약 추가 구매가 이뤄지지 않은데다 농약 재고도 소진되지 않아 농약회사들은 시즌에도 매출을 늘리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농약회사들은 목표달성을 위해 하반기 판매 확대에 매달릴 수밖에 없었고, 이는 시판채널의 재고가 쌓이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농약회사들은 현재 시판 대상 조기판매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농약회사들은 현재의 상황을 헤쳐 나가기 위한 대응방안으로 농협채널에 집중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농약업계 관계자들이 전망하는 올해 농약시장은 그나마 살충제 시장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평년에 비해 따뜻한 겨울날씨가 이어지면서 시설 해충과 총채벌레 밀도가 높아지고 있는데다 특히 저항성 발현이 심한 담배가루이 방제에 어려움을
‘농약관리법’이 소관업무 담당공무원이나 농약등록회사에 따라 차별적용 되는 사례가 빈번하다는 지적이 심심찮게 제기되고 있다. 또 현행법과 시행령·시행규칙·고시 등이 얼마나 수요자의 편에서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지도 불만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현재 우리 농약산업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면서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지만 PLS(농약허용기준강화제도) 전면시행, 안전관리 판매기록제(거래이력제) 도입 등의 제도 변화에다 차별적 법적용 등으로 인해 농약업계가 부담해야할 추가비용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지는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이 농약관리법과 시행령·시행규칙 등을 어떻게 운용하고 있는지, 또 농약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 정도인지 등에 대해 법 차제의 해석보다는 현실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례 중심으로 ‘기획&연재’를 시작한다. ‘기획&연재’의 첫 번째는 PLS제도 전면시행에 따른 소면적작물 적용확대를 둘러싼 문제를 들췄다. 농약 공통품목의 경우 소면적작물 직권등록 약효·약해시험성적서와 농약제조회사의 일반등록 약효·약해시험성적서가 적용변경등록 과정에서 차별적용 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농진청 농자재산업과와 농업과학원 평가과는 ‘직권등록 약효·약해
농협은 새해에도 저성장시대 포용적 성장(Inclusive Growth) 모델을 바탕으로 농축협의 동반성장을 통해 그 혜택이 전체 농업인에게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범농협 차원의 역량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농협중앙회(회장직무대행 허식 부회장)는 9일 본관에서 허식 부회장 주재로 농축협 조합장, 정부·학계·농업인단체 등 외부전문가와 중앙회 집행간부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0년 제1차 ‘농축협 균형발전위원회’를 개최했다. 농축협 균형발전위원들은 이날 저성장시대 포용적 성장(Inclusive Growth) 모델을 바탕으로 농축협의 동반성장 혜택이 전체 농업인에게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경영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아울러 이날 회의에서는 농축협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농가소득 5000만원을 달성하기 위한 농축협 종합컨설팅 추진계획, 농업과 지역사회의 미래를 여는 초일류 협동조합 금융으로 나아가기 위한 상호금융 사업추진방향, 경제사업 활성화 지도·지원 확대를 위한 원예농산물 수급안정 및 산지유통활성화 추진계획 등에 관한 의견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허식 부회장은 이날 “새해를 맞아 WTO 개도국 지위 포기선언, 농촌 고령화 문제 등 농
한해 농약시장은 신규품목(신제품)이 판세를 가른다고들 말한다. 지난해엔 출시 첫해 200억원 상당의 매출을 올린 경농의 총채벌레 방제약제 ‘캡틴’(플룩사메타마이드 9%) 유제가 대표적인 품목으로 꼽힌다. 2020년 농약 신제품 중에도 기존 나방약제와 다른 독특한 작용기작을 가진 IRAC(살충제 저항성기작위원회)의 살충제 작용기작 분류코드 30번 ‘브로플라닐라이드(Broflanilide) 5%’ 단제인 동방아그로의 ‘모스킬’ 액상수화제(Suspension concentrate, SC)와 SG한국삼공의 ‘제라진’ 유제(Emulsifiable concentrate, EC)가 전면에 나서 나방약제 시장의 판세를 이끌고 있다. 올해 농약제조회사들은 신규물질을 기반으로 하는 ‘단제’[표1]와 다양한 형태의 ‘합제’[표2]를 신제품으로 출시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나방전용 약제인 ‘모스킬’ SC와 ‘제라진’ EC의 주성분인 IRAC 30번 ‘브로플라닐라이드 5%’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내 원예용 살충제 시장의 골칫거리인 저항성 나방류 방제에 거는 기대가 크기 때문이다. 10년 넘는 ‘IRAC 28’ 연용…저항성 나방 심각 국내 나방약제는 2019년 총채벌레와 나
(주)동방아그로 문창섭 박사가 산림병해충 방제약제 개발을 통한 산림자원 보호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10일 김재현 산림청장으로부터 표창장을 수상했다. 문창섭 박사는 이번에 소나무재선충과 매개충 동시방제용 나무주사약제 개발을 통해 소나무재선충 방제의 노동비, 약제비 저감 및 효율성 제고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문 박사는 또 가압식 나무주사 용기(10㎖) 특허출원을 통해 소나무의 소진이 나오는 시기에 처리가 가능하고 대상목의 천공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도 기여해 왔다. 아울러 드론을 이용한 산림병해충 방제방법과 규정 등의 방제지침 제·개정에도 기여해 왔을 뿐만 아니라 산림공무원들의 산림병해충 예찰방제 전문기술교육(방제약제 취급요령) 등에도 힘써 왔다. 문 박사는 특히 산림조합 세미나 등을 통해 효율적인 밤나무 종합방제체계에 이바지 하는 등 산림조합 담당자 및 임업인(밤재배자)들의 실질적인 업무에 기여해온 공로를 높이 평가 받았다.
우리 농약시장의 ‘2019년 종합성적표’는 대부분의 농약회사들이 ‘과락’을 면치 못하면서 ‘낙제’가 확실해 보인다. 원제회사들이 집계한 2019년 11월말 현재 국내 농약시장 매출규모는 1조403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조4759억원보다 727억원이 줄어든 95.1% 수준에 머물렀다. 국내 농약회사들이 올해 매출목표로 세웠던 1조5253억원과 비교해서는 1221억원이나 미달해 앞으로 보름 남짓한 기간 안에 목표를 채우기란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농약 원제회사와 제조회사 관계자들은 올해 이같은 ‘성적표’는 농협 계통농약 가격인하를 가장 큰 요인으로 꼽고 있다. 특히 2020년 계통공급 ‘시담’이 눈앞이다 보니 농약회사들은 ‘오늘보다는 내일’을 주시해야 하는 상황이라서 ‘낙담보다는 견딤’에 무게를 두고 대농협 전의(戰意)를 지피고 있다. 국내 메이저 8개 회사 중에서 경농(전년 동기대비 103.8%)과 신젠타코리아(103.6%), 동방아그로(100.8%) 등 3개 회사를 제외한 팜한농, 농협케미컬, SG한국삼공, 바이엘, 성보화학 등 5개 회사의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크게 못미치는 실적을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마이너회사들은 전체적으로 전
국내 농약시장은 이미 ‘대세 하락기’에 접어든 것이 아닌지 조심스런 예측이 나오고 있다. [본지 2019.5.25일자 1면, 6.25일자 3면 기사 참조] 그 근거로 제시된 자료(2019년 농약연보)에 의하면 수입원제 대금과 수입완제품 대금이 7000억 원(국내 농약시장의 절반수준)에 이르고 있는데다 지난해 농약시장도 오랫동안 지속된 정체기에서 하락세로 돌아섰으며, 2019년 1/4분기 농약생산 및 출하량 역시 전년 동기대비 크게 감소했었다. 특히 올해 PLS(농약허용기준강화제도) 전면시행에 따라 ‘매출감소가 확연해지고 있다’는 농약판매 현장의 목소리가 그런 예측을 뒷받침했다. 그렇다면 최근 발표된 농업관련 객관적 데이터(Data)와 농약시장과의 연관성은 어떠할까. 우리나라의 전체 가구수와 인구는 증가추세가 확실하지만, 반면 지난 11년간 농가 및 농가인구는 엄청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표1] 농업에 종사하는 농업인구의 감소는 곧 농약산업이 어려울 수밖에 없는 정황 통계로 읽히기에 충분해 보인다. 10년 전보다 국내 경지면적 10% 감소 최근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2018년 경지면적(166만299ha)은 10년 전인 2008년(183만4243ha)
저온성 해충인 벼물바구미와 벼잎물가파리, 벼줄기굴파리가 전국적으로 급속히 확산되면서 적기방제에 비상이 걸렸다. 농촌진흥청과 농협, 농업기술센터, 농약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까지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크고 기온이 낮아 벼물바구미와 벼잎물가파리, 벼줄기굴파리 등 저온성 해충의 활동이 왕성해지면서 피해농가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현재 이들 저온성 해충으로 인한 피해지역은 경기, 충남, 전북, 전남, 경북 등 전국적인 벼 주산지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약업계 관계자는 이번에 기승을 부리는 저온성 해충과 관련해 “최근 3년 정도 기온이 높아 저온성 해충의 발생 밀도가 낮아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올해 들어 아침, 저녁으로 기온이 크게 내려가면서 벼물바구미와 벼잎물가파리, 벼줄기굴파리 등의 발생이 급격히 늘고 있다”며 “요즘 대부분의 농가들은 육묘상처리제를 사용하고 있는데도 저온성 해충이 기승을 부리는걸 보면 육묘상처리 만으로 방제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 같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따라서 “올해 같은 저온성 해충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육묘상처리를 했더라도 모내기 이후 기온이 떨어지면 반드시 본답처리를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농업기술센터
올해 9월 말 현재 주요 7개 농약 회사의 총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평균 2.0%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이들(팜한농·농협케미컬·경농·동방아그로·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SB성보) 중에서 경농·동방아그로·SB성보의 매출은 순증한 반면, 팜한농(바이엘크롭사이언스 전년 동기 매출 합산)·농협케미컬·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의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농약 제조회사와 몇몇 원제사를 통해 자체 집계한 ‘2025년 9월 말 기준 주요 7개 농약 회사 매출 현황’[표1]을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조 6137억 원보다 327억 원(2.0%) 증가한 1조 6464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 중에 주요 6개 회사(SB성보 제외)의 농협 계통농약 매출총액은 738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560억 원)보다 2.3%(177억 원) 줄었다. 농협 지역본부 자체구매와 제네릭 회사 및 아리품목 등을 포함한 계통농약 전체 매출도 전년 동기(9370억 원)와 비교해 5.4%(508억 원) 줄어든 8862억 원에 그쳤다.[표2] 이에 반해 주요 7개 농약 회사의 시판 매출총액은 9080억 원으로 전년 동기(8594억 원) 대비 5.
최근 작물보호제유통협회와 농협중앙회가 농약 유통질서 문란 행위에 공동 대응하자는데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일선 농가들의 벼 재배 농약 구입처 조사 결과가 발표돼 명암이 교차하고 있다. (사)한국농자재시험연구기관협회(회장 이광하)가 실시한 ‘2023년도 벼 농약사용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농가의 84.3%가 지역농협에서, 15.7%가 시중 농약판매점에서 수도용 농약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용 약제와 달리 특히 수도용 농약은 정부 보조사업과 자체 지원사업 등으로 농협이 행정 편의성과 가격경쟁력에서 월등히 앞선 결과로 봐야 한다는 것이 일선 관계자의 분석이다. 농약사용은 총 7.8회 살포하였으며, 용도별로는 살충제가 2.7회로 가장 많았다. 평균 농약 살포일수는 4.5일로 조사됐고, 단위 면적당 사용량은 ha당 2.6kg으로 나타났다. 107가지 성분의 269종의 농약이 사용됐고, 가장 많이 사용된 농약은 제초제 뷰타클로르 약제로 나타났다. 벼 재배 ‘107성분·269약제’ 사용 한국농자재시험연구기관협회(KARO)는 2023년도 벼 재배기간 동안 농약사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8개도 58개 시군의 주요 생산지에서 380농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