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한국삼공(주)(대표이사 한동우)은 4월 한 달 동안 농업인을 가족이나 친척, 지인으로 둔 모든 대한민국 국민을 대상으로 사연을 공모하는 ‘사랑의 새참을 뿌리다’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번 이벤트는 논과 밭에서 직접 땀을 흘리는 일반 농업인들의 노고를 기리기 위해 사연을 응모 받아 농업인들에게 직접 사랑의 새참을 가져다주고,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기 위해 기획됐다. 4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 동안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농업인을 가족, 친척, 친구로 둔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공모 사연의 주제는 농업인으로 종사해온 가족, 친척, 친구에 대한 사랑, 감사, 추억을 담으면 된다. 이벤트 응모는 SG한국삼공(주) 이벤트 홈페이지(http://www.30event.co.kr)를 통해 가능하다. 직접 작성한 손편지를 우편접수하거나 영상편지·음성편지의 이메일 접수, 컴퓨터로 작성한 워드(한글) 파일 이메일 접수 등으로 하면 된다. 당첨자는 5월 15일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되며, 개별 통보할 예정이다. 이번 ‘사랑의 새참을 뿌리다’ 이벤트 사연당사자에게 주는 사랑의 새참상은 휴테크 안마의자 H9, 감사의 새참상은 삼성 지펠 스탠드 김치냉장고, 추억
한국농약과학회(회장 허장현)는 지난 4~5일 강원 정선 하이원 그랜드호텔에서 ‘2019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을 가졌다.<사진> 4일 심포지엄은 ‘사람과 농산물에 안전한 국내 신농약 개발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진행됐다. 최경자 한국화학연구원 박사는 ‘글로벌 살균제 개발을 위한 천연소재 유래 선도물질 발굴’ 주제의 특별강연을 했다. 황기환 목우연구소 박사는 ‘신규 pyridine계 제초제 후보물질 M-862의 발굴 및 연구현황’ 특강에서 “M-862는 목우연구소와 한국화학연구원의 공동연구를 통해 신규 발굴한 제초제 후보물질로서 제초 효력평가 뿐만 아니라 기초제형, 환경안전성 및 기초독성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기존의 pyridine계 제초제와 같이 광엽잡초를 특이적으로 방제하는 특성을 가지며, 현재 전 세계 곡류 재배지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존 약제에 비해 2배 이상의 높은 제초활성을 보인다”고 밝혔다. 이일영 한국화학연구원 센터장은 ‘HTS기반 신규골격의 살충 물질 연구’ 주제의 특강을 이어갔다. 류충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는 ‘마이크로바이옴기반 신농약 개발’ 특강을 통해 “기존 식물마이크로자이옴 연구의 단점인 단순한 유전자분석 기
미·일·중·호주 등 29개국 특허등록완료 사람과동물 피해 없는 안전성 인정받아 말레이시아 등 4개 해외현지법인 거점 팜한농이 개발한 신물질 비선택성 제초제 ‘테라도(Terrad’or)’가 해외 시장에 첫발을 내디뎠다. 팜한농은 지난 4일 스리랑카 수도 콜롬보에서 현지 파트너사인 랑켐(Lankem)과 함께 ‘테라도’ 미탁제(ME, microemulsion) 출시회를 열었다. 랑켐은 1964년 설립된 스리랑카 내 농자재 선도기업이다. 출시회에는 스리랑카 정부 및 농자재 유통 관계자와 대농가 등 180여 명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테라도’ 미탁제는 지난 1월 스리랑카에서 벼 파종 전 처리(번다운) 및 비농경지 제초제로 등록됐다. ‘테라도’는 피리미딘다이온계 신물질 제초제로 잡초의 엽록소 생성을 억제하고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세포를 파괴함으로써 빠른 제초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사람과 동물에는 피해가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스리랑카에서 벼는 전체 경지면적의 45%를 차지하는 최대 재배 작물이다. 하지만 벼 파종 전 처리 제초제로 쓰이던 ‘파라콰트(Paraquat)’가 사람과 동물에 대한 독성 문제로 2010년 사용이 금지된 이후 스리랑카 벼 재배
화상병은 감염된 식물에서 흘러나오는 세균점액이 비·바람·꿀벌 등에 의해 전파되기도 하고, 전정 등 농작업에 의해 전파되기도 한다. 화상병에 감염되면 우선 과실 수확량에 큰 영향을 줘 심하면 전혀 수확을 하지 못하게 된다. 병이 진전됨에 따라 식물 전체가 말라죽는 등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 또한 한 번 화상병이 발생한 과수원은 3년 동안 같은 작물을 심을 수 없기에 그 피해는 더욱 확대되는 상황이다. 화상병은 개화기가 방제적기다. 약제처리를 통해 병원균의 밀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제의 효과보다 전염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에 감염 후 약제처리는 치료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예방위주의 약제살포가 중요하다. 1차 방제는 개화 7일 전(동 성분은 개화 후 처리시 신엽, 유과에 약해 발생) 처리를 해야 하며, 방제 약제는 동 성분이 포함된 혼합제를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차 방제는 만개 5일 후(1차 감염이 이루어지는 개화기 방제가 중요) 처리해야 하며, 스트렙토마이신 등의 항생제 계통의 약제를 처리해야 한다 화상병은 개화전 1차, 만개후 2차 약제 처리로 화상병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경농은 탐나라 수화제와 아그렙토 수화제를 과수화상병에 추천
농업기계 분야의 현재와 미래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2019 상주농업기계박람회’가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상주 북천시민공원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박람회는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과 상주시가 공동 개최하고, ‘농업의 성장 동력! 농업의 미래’를 슬로건으로 진행됐으며, 개막식 첫날에만 6만 5000여명의 시민과 농업인들이 행사장을 찾아 성황을 이뤘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박람회는 국내 농기자재산업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스마트팜 연계 농기자재의 종합전시로 농업인에게 미래상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농업인과 생산자간 정보교류를 통해 농업생산성을 제고하고, 농업기계 분야의 현재와 미래 농업발전을 위한 4차 산업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이날 행사에는 김신길 농기계조합 이사장과 황천모 상주시장, 김종훈 농림축산식품부 차관보, 전우헌 경북도 경제부지사 등을 비롯해 내·외빈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박람회는 총 1만 7760㎡(전시장 1만 5899㎡, 부대시설 1861㎡)의 전시규모에 종합형업체를 포함, 총 210개 업체가 참가해 트랙터 등 395개 기종을 선보였다. 개막식에 참석한 김신길 이사장은 개회사에서 “이번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 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는 대한변리사회와 5개 부처 공동으로 지난 3일 서울 강남구 한국지식재산센터에서 공동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유전자원 이익공유(ABS) 법률지원단’을 발족했다. ‘유전자원 이익공유(ABS;Access and Benefit-Sharing)’는 해외 유전자원에 접근할 때는 제공국의 승인을 얻고, 이를 이용하여 발생하는 이익은 유전자원 제공국과 공유하도록 하는 나고야의정서의 핵심 개념이다. 지원단은 국가책임·점검기관인 환경부를 비롯해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 등 5개 부처와 대한변리사회가 공동으로 운영하며, 특허·지식재산권 등의 법률 전문가로 구성한다. 환경부는 외국기업 등이 국내 유전자원 접근·이용 시 접근 허가를 부여하는 국가책임기관의 업무와 국내기업 등이 해외 유전자원 접근·이용 시 절차 준수 여부를 관리하는 국가점검기관의 업무을 맡고 있다. 2017년 8월 나고야의정서 국내 발효 및 유전자원법 시행 이후, 기업들의 유전자원 이익공유(ABS) 관련 상담 수요가 늘고 있으며, 문의 내용도 구체적이고 전문화돼, 특허 및 지식재산권 등 법률분야 전문가의 의견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유전자원정
한국에서 친환경농업은 왜 이리 힘든가? 지난해 12월 친환경농업계는 ‘2030 친환경농업 혁신비전’을 선포하고 친환경농업의 가치를 새롭게 정립하자는 큰 발걸음을 내딛었다. 지난 3월 1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친환경농업 가치 재정립에 따른 인증제도 개선방향 국회 토론회’에서는 한국의 친환경농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현 친환경 인증제도가 혁신돼야 한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이번 토론회는 친환경농업계가 선포한 혁신비전의 첫 실천사업의 일환으로 열렸다. 많은 논의 중 핵심사항은 친환경농업의 가치를 재정립하기 위해 현 인증제도를 결과중심에서 과정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으로 모아졌다. 이번 행사는 전국친환경농업인연합회, 농어업정책포럼, 환경농업단체연합회, 한국친환경농업협회, 한국유기농업학회 등이 공동 주최했으며 위성곤 국회의원, 김정호 국회의원, 김종회 국회의원, 최양부 전 농림해양수석비서관을 비롯한 친환경농업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했다. 김영재 전국친환경농업인연합회장은 인사말에서 “현재의 결과 중심 인증제로는 친환경인증 농가수가 감소하고, 재배면적도 줄어드는 등 생산 및 소비확대에 이뤄지기 힘들다”며 “과정중심의 인증제를 하루빨리 도입하기 위해 소비자와 국민들
제8차 농업기계화 기본계획(2017~2021년)에 따른 올해의 농업기계화 시행계획은 ‘농기계임대사업 지속 추진’, ‘중고농기계 재활용 체계 마련’과 ‘밭농업 기계화 기술개발’ 등 밭농업 기계화 중점 추진, 농기계 안전사고 예방 및 인력양성에서 전년보다 강화된내용을 담고 있어 주목된다. 지난해 9월 개정된 농업기계화촉진법(2019.3.1.시행)은 기본계획에 따른 시행계획을 매년 수립하도록 규정했다. 올해 시행계획을 살펴보면, 우선 농기계 이용률 제고를 위한 농기계임대사업 지속 추진의 일환으로 주산지 일관기계화를 적극 지원한다. 콩, 마늘 등 220개 주산지에 경운·정지, 파종·정식, 방제, 수확까지 일관작업을 할 수 있는 임대농기계 구입을 지원한다. 지난해 57개 주산지 지원에서 올해 220개 주산지 지원으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사업비도 전년도 114억원에서 올해 440억원(개소당 2억원)으로 늘어난다. 이에 주산지 일관기계화 누적 지원실적은 지난해 56개 시군 97개 주산지 공동경영체에서 올해 317개 주산지 공동경영체로 늘어날 전망이다. 임대사업소에 여성농업인의 노동력을 대체하거나 사용하기 편리한 임대농기계를 구입지원하는 여성친화형 농기계 지원도 지난해
산골에 살던 어떤 소년이 있었다. 학교에 가려면 굽이굽이 고개를 넘어야 했다. 산 넘고 고개 넘어 뚝 떨어진 집에서 학교를 다니느라 늘 혼자였다. 산 넘고 고개 넘어 한참을 걸은 뒤에야 겨우 친구들을 만날 수 있었으니, 등교 때나 하교 때나 늘 혼자가 되었다. 어느 해 봄, 귀가하던 소년은 산기슭 아래로 쭉 늘어선 냉이를 캤다. 심심하게 걷는 것보다 훨씬 재미있었다. 열심히 캔 냉이를 집으로 가져갔더니 어머니도 좋아했다. 냉이국과 냉이무침을 해준 어머니가 “이런 건 시장에 내다 팔아도 되겠다”는 말을 했다. 이튿날 소년은 아침 일찍 집을 나서 냉이를 한보따리 캐 책가방을 채웠다. 그날은 학교에서 바로 귀가하지 않고 시장으로 갔다. 정말로 그것을 사주는 곳이 있었다. 푼돈이긴 해도 이게 어디냐 싶었다. 신기했고 감개가 무량했다. 기왕에 온 시장을 여기저기 둘러보니 별별 나물과 채소들이 팔리고 있었고 그것들은 소년이 다니는 산에 널려 있는 것이었다. 고사리, 씀바귀, 두릅, 미나리들이 모두 돈이었던 것이다. 이튿날부터 소년은 고개를 그냥 넘지 않았다. 봄에는 나물을 뜯어 가며 걸었고, 여름에는 산딸기와 다래를, 가을에는 송이와 도라지를, 또 더덕을 캐기도 했
한국농업기계학회는 오는 5월 9~10일 2019 춘계학술대회를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한국축산환경학회,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스마트팜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개최한다. 일 시: 2019년 5월 9일(목) ~ 10일(금) 장 소: 경상대학교 GNU 컨벤션센터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 (http://www.ksam76.or.kr) 초록제출 및 발표신청: ~ 4월 12일(금)까지 발표방법: 구두 또는 포스터발표
농촌진흥청은 작물 육묘기를 앞두고 건강한 묘를 키우기 위한 육묘장 시설 환경 관리와 해충 방제에 힘써 줄 것을 당부했다. 출입구에는 이중문을 설치하고 살균 소독제가 포함된 매트를 놓아 병해충이 묘에 전파되지 않게 한다. 출입구와 옆으로 난 창에는 방충망을 설치해 해충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YLCV)를 매개하는 담배가루이의 침입을 막기 위해 50메쉬 이상의 방충망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해충 서식지나 중간기주가 되는 시설 주변의 잡초는 철저히 제거한다. 육묘장의 해충 침입을 막아야 하며 꾸준한 예찰로 발생 즉시 방제한다. 육묘 단계에서 발생하는 해충은 내부와 외부 환경 관리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시설 내부와 바닥은 깨끗하고 습하지 않게 하며 작은뿌리파리, 갯파리 등 토양 매개 해충이 발생할 수 없는 환경으로 관리한다. 해충 피해를 입은 묘를 옮겨 심을 경우 2차 전염원 역할을 하므로 병해충이 확산할 수 있다. 눈으로 또는 황색끈끈이트랩으로 총채벌레류, 진딧물류, 가루이류 등을 예찰하고, 페로몬트랩을 설치해 나방류 발생을 조사한다. 확인됐다면 바로 약제를 뿌려 방제한다. 대상 병해충에 맞는 약제는 농촌진흥청 농업
한국잡초학회 2019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가 오는 28~29일 양일간 경주 대명리조트 주피터Ⅰ홀에서 열린다. 28일 오후1시부터 등록, 2시 학술대회 개회선언에 이어 황재복 식량과학원 박사를 좌장으로 해 원옥재 식량과학원 박사의 ‘Status of ALS and ACCase inhibiting herbicide resistant Echinochloa oryzicola in Korea’ 주제 발표와 이상범 농과원 박사의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 도입 및 연착륙 방안’ 주제 발표, 포스터 공개발표 등이 이어질 예정이다. 이어 홍선희 한경대 박사를 좌장으로 해 김진석 한국화학연구원 박사의 ‘제초제 작용기작 연구진전과 이의 활용에 관한 현황 및 전망’, 황기환 ㈜목우연구소 박사의 ‘신규 pyridine계 제초제 후보물질 M-862의 발굴 및 연구현황’ 주제 발표가 뒤따른다. 정기총회와 회무보고, 간친회 등도 이어진다. 29일에는 일반 학술발표와 포스터 수상자 발표 및 시상, 일반 구두발표 시상, 경품추첨 및 폐회식이 이어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