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방제도감

병충초(病蟲草) 바로알기!<18> 열무 검은무늬병·옥수수 멸강나방·흰명아주

방제도감-농촌진흥청 제공

작물별 병해충 및 잡초에 대한 세부 설명과 사진을 활용한 이해를 통해 올바른 적기 방제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연재 「방제도감-병충초(病蟲草) 바로알기!」 열여덟 번째 코너. 이번 호에서는 열무 검은무늬병과 옥수수 나비목/밤나방과 해충 멸강나방, 명아주과 잡초인 흰명아주에 대해 알아본다. 농촌진흥청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이고자 운영하는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 중 농작물에 대한 다양한 병해충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병해충별 도감정보’ 자료를 인용했다.

 

발생환경=종자 감염되어 병이 발생할 수 있다. 병원균은 병든 조직에서 월동한다. 따뜻하고 습한 조건에서 발생하기 쉽다. 발병 최적 온도는 25~30℃이다. 병원균은 포자가바람, 물, 사람, 농기구에 의해 전파된다.


증상설명=주로 잎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타원형 또는 방추형의 담갈색 병반이 나타나며 세로로 길게 진전되면서 겹무늬증상이 나타난다. 병반 중앙은 동심원상의 검은색 가루가 생긴다. 오래된 병반의 내부는 찢어져 구멍이 생기기도 하며 심해지면 잎 전체가 황갈색으로 변하면서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경종적 방법>무병 종자를 사용한다. 병 발생이 심한 포장은 비기주 식물을 이용하여 돌려짓기를 한다. 토양 내 병든 기주를 철저히 제거하고 배추과 잡초를 제거한다. 상부에서 물뿌리기를 피한다.


<유기농업자재 활용 방법>작물에 발생하는 검은무늬병 방제에 활용이 가능한 유기농업자재 허용물질은 석회보르도액, 동제 등이다. 그러나 열무 검은무늬병을 대상으로 시험된 바는 없으므로 약효· 약해에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형태정보=성충은 몸길이 18mm 내외이며 날개를 편 길이는 40mm 가량인 중형의 나방이다. 담갈색의 앞날개 중앙에 황백색 무늬가 1개 있다. 뒷날개는 암 갈색이다.


알은 길이 1mm 수 백 개가 무더기로 산란되며, 산란초기에는 연한 황백색이지만 점차 암갈색으로 변한다. 다 자란 유충은 45mm에 이른다. 머리는 황갈색이며, 앞에서 보면 갈색의 ‘八’ 자 무늬가 있다. 번데기는 황갈색~적갈색의 방추형으로서 길이는 16mm 정도이다.


생태정보=우리나라에서는 월동이 불가능 하고 중국으로부터 성충이 기류를 타고 날아와 발생한다. 해마다 비래시기와 비래량이 약간씩 차이가 있으며 대체로 발생 최성기는 5월 하순~6월 상순으로 아카시아 꽃이 피는 시기와 일치하게 된다.


비래 후 1세대 성충은 7월 중순에 나타난다. 비래한 성충은 당류를 섭취해야만 산란을 할 수 있으며, 암컷 한 마리가 약 700개의 알을 산란한다. 부화 후 어린유충은 식물체를 섭식하면서 노숙유충이 되면 땅속 2~4㎝에 흙이나 식물의 잎 부스러기 등을 이용하여 엉성한 고치를 만든 다음 번데기가 된다.

 

각 태별 발육 기간은 알 기간 4~5일, 유충 기간 25~26일, 번데기 기간 7~10일이다. 예찰은 유아등 보다 페로몬 트랩에 잘 유인되어 페로몬에 의한 예찰이 정확하다. 옥수수나 화본과 목초지를 선호하여 이들 식물을 주의 깊게 관찰하면 가해하고 있는 유충을 발견할 수 있다.


피해정보=벼과 식물의 기주범위가 넓은 해충으로 유충이 낮에는 지표면에 숨어 있다가 밤에만 나와서 잎, 줄기, 이삭까지 폭식한다. 초기에는 유충이 표피만 남기고 가해하나 점차 자라면서 잎 전체를 갉아먹어 줄기만 남는다. 한 포장에서 식물을 다 먹고 나면 떼를 지어 가까운 포장으로 이동해 간다. 수년 간격으로 돌발적으로 대발생하는데 이런 경우 옥수수뿐만 아니라 벼과 목초, 화훼류와 공원의 잔디 등도 가해하고 도로에서도 발견되어 혐오감을 준다.


방제방법=주말농장에 옥수수 등에 유충이 발견되면 즉시 나무젓가락이나 장갑을 낀 손으로 잡아서 지퍼백 등에 넣어 밀폐시켜 죽인다. 유충은 무리를 지어 빠른 속도로 가해하므로 자주 관찰하지 않으면 수일 만에 큰 피해를 받게 된다.


농약 방제는 작물보호제 지침서의 전용약제를 사용하는데, 3령 이하일 때 효과가 높으므로 발생초기에 살포하고 4~5령부터는 약제방제 효율이 떨어진다. 성충은 성페로몬 트랩에 유인이 잘 되지만 방제보다는 예찰에 이용된다.


형태=초장은 10~300cm 내외이고 줄기 직립하여 가지를 많이 치며 굵고 단단하다. 선명하게 세로로 주름이 나 있다. 잎은 호생(互生)하여 3각상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으나 가장 밑의 톱니는 열편과 같고 비슷하고 엽병이 있다.


잎의 뒷면과 잎 눈에는 하얀 가루가 많이 있다(성숙한 잎은 뒷면이 흰색이다). 꽃은 밀집하여 이삭이 되고 꽃에는 화병이 있고 화피는 5심열하고 수술도 5개이다. 종자는 편평한 원형으로 흑색이며 광택이 있다. 종자의 직경은 1~1.3㎜정도 된다. 근계는 직근을 형성한다.


생태=일년생의 초본 식물, 여름잡초로 밭 휴경지, 도로변 등에 서식하며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흰색으로 둥그렇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잡초로 종자 번식을 한다. 종자 생산량은 주당 16,025개 정도이며 천립중은 483㎎ 정도 된다. 종자의 발아 최적 온도는 25℃ 전후이며 최저 온도는 7℃ 전후, 최고 온도는 30~35℃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부터 발아가 되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이른 봄부터 발생하기 시작한다 .


명아주과 잡초는 씨앗을 많이 만들지만 넓게 퍼지지 않아 한 곳에 집중적으로 나온다. 반드시 꽃이 피기 전에 제거해야 한다. 토양처리 제초제를 사용하여 방제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서식지=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