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변화하는 기술과 산업구조에 대응하기 위해 규제 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 대표적인 사례가 바이오차이다. 농촌진흥청은 2024년 5월 바이오차의 비료공정규격을 신설해 관련 산업 발전의 물꼬를 트는 계기를 마련했다. 목재류와 왕겨, 농작물잔사 등 농림부산물과 우분, 계분 등 가축분으로 제조한 바이오차를 생산·판매할 수 있어 농경지 탄소 저장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도 기대되고 있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이달 13일 경북 의성군에 소재한 신기농장을 방문해 ‘바이오차 규제혁신 현장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는 가축분바이오차 생산설비와 운영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규제개선 효과와 이후 현장의 애로사항까지 청취하기 위한 자리였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축분바이오차를 생산·판매하고 있는 김창섭 바이오씨앤씨(주) 대표가 현장 브리핑을 했다. 김 대표는 2021년 축분바이오차의 실증 시범사업을 하게 된 데에는 정부기관의 적극행정 시행이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수입 유박비료와 화학 비료를 대체해야 한다는 사회·경제적 요구의 영향도 있었다고 전했다. 가축분의 5분의1 감량화와 자원화 가능 바이오차는 바이오매스(Biomass)와 숯을 의미하는
“가지 않을 수 없는 길입니다. 가야만 하는 길입니다. 파괴적·창의적 혁신의 길입니다. 그 길은 바로 셀프 규모화 소득증대와 노지 스마트 Y-FARM의 길인 ‘노지 스마트팜 농업’입니다.” 파괴적·창의적 혁신 농법으로 규정된 ‘노지 스마트팜 농업’은 그렇게 해를 거듭하며 관계 영역을 확장, 미래의 농로(農路)로서 각인돼 가고 있었다. 지난달 25일부터 27일까지 사흘 동안 ‘농촌엔 활력을, 청년에겐 미래를’이란 주제로 ‘Y-FARM EXPO 2025’ 귀농귀촌 지역살리기 박람회가 성황리 열렸다. 수원컨벤션센터 전시장 A홀에서다. 123개 지자체 및 기관·기업이 저마다의 특색과 맵시를 뽐내며 젊고 유능한 인재 영입을 위해 애쓰는, 그래서 부지불식간 치열한 각축장이 된 곳, 주말과 휴일임에도 박람회장을 찾는 남녀노소의 발길은 무수했다. 첫날 전시장 오픈에 이은 화려한 개막식 및 시상식으로 사흘간 일정의 박람회 문이 활짝 열렸다. 4개의 특별강연과 2개의 귀농귀촌 아카데미, 정책홍보, 체험관과 토크쇼, 세 번의 참관객 퀴즈 이벤트, 우수홍보관 시상식 등 박람회 내내 일정은 시종 알찬 콘텐츠로 가득 채워졌다. 휴일인 박람회 마지막 날, 하이라이트인 ‘노지 스마트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