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포커스

부산물비료, 농경지 탄소저장으로 탄소중립 기여

김필주 토양비료학회장 관련연구 최종보고회
탄소저장 효과에 대한 계량적 내용 제시주목
2019년 판매량 400만톤, 370만톤 탄소 격리
2030년 탄소격리 기여도는 감축분의 61.5%

 

부산물비료가 농경지 탄소저장 효과를 높여 농업 분야의 탄소중립에 크게 기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김필주 한국토양비료학회장(경상국립대학교 교수) 등은 지난해 12월 1일 오송컨벤션센터에서 한국유기질비료산업협동조합의 의뢰로 진행한 ‘부산물비료의 탄소저장 효과 연구’ 최종 보고회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부산물비료의 탄소저장 효과에 대한 계량적 내용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부산물비료의 농경지 투입량을 고려한 연간 탄소저장(격리) 효과와 부숙유기질비료 투입 시나리오별 탄소저장 효과 추정치를 제시했다. 

 


유기질비료와 부숙유기질비료(가축분퇴비·퇴비) 등 유기농자재의 처리 효과는 무처리와 비교할 때 뚜렷하게 나타난다. 김필주 교수는 2019년 판매량을 기준으로 유기질비료와 부숙유기질비료의 투입을 통한 탄소격리량을 산출해냈다.[도표3] 


2019년 기준 부숙유기질비료의 판매량은 약 340만톤이며 그중 유기질비료 지원사업을 통해 보조지원을 받은 판매분이 75%, 그 외 판매분(비지원)이 25%를 나타냈다. 


유기질비료의 판매량은 58만톤으로 보조지원 판매분 48만톤 비지원 약 10만톤이었다. 이들을 합한 총합은 약 396만톤이며 보조지원분 77%, 비지원이 23%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보고의 핵심은 탄소저장 효과를 나타내는 이들의 이산화탄소 격리량이다. 연구 결과 유기질비료와 부숙유기질비료 투입을 통해 한 해 약 370만톤의 탄소 격리를 해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중 보조지원을 받은 부분이 77.5%를 나타냈다. 


또한 김 교수는 유기질비료와 부숙유기질비료의 탄소격리 효과는 2030년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2030년에는 2018년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28% 감축을 달성해야 한다.

 
한편 2018년 농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2100만톤이며 경종부문 1151만톤 축산부문 946만톤으로 집계됐다. 위에서 유기질비료와 부숙유기질비료의 한 해 이산화탄소 격리량이 370만톤이었던 것을 상기하면 이들의 탄소격리 기여도의 비중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2030년 농업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602만톤 감축해 배출량을 1516만톤으로 줄여야 한다는 고정불변의 목표 대응으로 유기질비료와 부숙유기질비료의 사용량을 늘리는 방안을 제시했다.[도표4]

 


같은 분량의 유기질비료와 부숙유기질비료 사용시에 2030년 이들의 탄소격리 기여도는 감축분의 61.5%나 된다. 만일 사용량을 늘릴 수 있다면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현격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진국 토양탄소 격리량 따라 농가 인센티브 지급


전 지구적으로 합의를 이뤄가고 있는 탄소중립에 우리나라도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는 모습이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면서 흡수량을 늘릴 때 이 둘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달성된다. 농업부분 탄소 격리량의 증대는 LULUCF(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토지이용, 토지이용 변화 및 임업)를 통해 토양 유기탄소의 축적과 목질계 농산물(과수) 등의 탄소호흡이 대표적이다.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은 논의 메탄, 밭·시설재배지의 아산화질소 등의 저감과 시설재배지와 농기계 에너지 사용의 절감 등이 필요하다. 


농업·농촌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사업은 에너지 이용 효율화 사업, 신재생에너지 사업, 질소질 비료 절감사업, 농축부산물 및 바이오매스 활용사업, 농경지 관리를 통한 감축사업 등이 있다. 


질소질 비료 절감 사업으로는 완효성비료 지원과 유기질비료 지원사업이 대표적이다. 특히 토양 탄소 축적량 증대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의 공식 인정은 바이오차와 무경운이 등록돼 있다. 김필주 교수는 이번 연구 보고에서 유기질비료와 부숙유기질비료의 등록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양 탄소 축적량 증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은 다양한 토양관리기술·토양 유기물 함량 증진기술에 의해 가능하다. 이중 유기물 투입량 증대는 퇴비, 초생재배, 녹비사용 등을 통해 가능하며 유기물 분해량 최소화는 무경운·최소경운 등으로 접근하고 있다.

 
유기성 토양 개량제 투입, 보존경운, 겨울 피복작물 재배, 토양 비옥도 관리, 품종개량, 초지중심 순환농법, 하절기 휴경 최소화 등 여러 토양관리기술 중에서 ‘유기성 토양 개량제 투입’의 유기물 축적률이 가장 높은 것도 눈여겨 보아야 한다.[도표5] 유엔에서도 일찌감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토양의 탄소 격리 능력이 가장 크고 경제적인 방법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김 교수는 토양 탄소 축적량 증대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의 공식 인정에 유기질비료와 부숙유기질비료의 등록이 필요함과 함께, 이를 사용하는 농업인들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시스템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농업환경 보존 틀 안에 토양의 탄소 축적량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들어가고 실제 그 인센티브를 농업인에게 주는 방안이다. 


부산물비료의 적정 시비량 재정립 필요


이미 선진국에서는 관련 제도를 실천하고 있는 모습이다. 미국의 HSP(Healthy Soils Program: 흙 살리기 운동)가 일례인데, 토양탄소격리량에 따라 농가 인센티브·탄소배출권 거래 수익을 제공한다. 해당되는 항목은 무경운, 최소경운, 피복작물 재배, 퇴비시용 등이다. 


일본에서는 환경보전형 농업직불 사업으로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웹사이트(http://www.naro.affrc.go.jp)를 개설 운영하고 있다. 화학비료 및 농약 50% 이상 저감에 효과적이거나 지구온난화 방지 및 생물다양성 보전에 효과가 있는 영농활동에 대해 지원한다. 


활동지역 선택, 재배작물 선정, 녹비작물 선정, 퇴비 및 화학비료 투입량 입력이 가능하다. 토양 탄소 저장량 계산과 온실가스 감축량 환산을 통해 농민들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시스템이다. 


프랑스 4퍼밀 계획(4per 1000 Initiative)도 살펴볼 만하다. 2015년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기후변화 완화를 위해 국제적 실천운동으로 발족됐다. 토양(0~40cm 깊이) 유기탄소를 매년 4% 증가시켜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조절하는 게 목표다. 토양피복 및 무경운, 초생대와 간작, 적정 목초지 관리, 물과 비료관리, 혼림농업, 불량지 복원 등이 주요 실천조항이다.[도표6]

 


김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유기물의 농업적 및 사회적 가치와 주요기능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유기물의 농업적 가치인 토양 물리성 개선, 토양 화학성 개선, 토양 생물학성 개선 등의 가치와 함께 사회적 가치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토양침식방지를 위한 수질개선, 오염물질 분해 촉진을 위한 환경개선과 함께 토양의 기후변화 완화의 가치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토양의 대기 이산화탄소 격리를 통한 지구온난화 완화 효과가 주목되고 있다.

 
이번 ‘부산물비료의 탄소저장 효과 연구’ 보고는 유기질비료와 부숙유기질비료의 토양 물리성·화학성·생물학성 개선에 더해 탄소중립 효과를 인정해야 하며 유기질비료와 부숙유기질비료의 적정 시비량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력히 시사했다. 


한편 노학진 한국유기질비료산업협동조합 이사장은 “부산물비료의 탄소저장 효과 연구에 의해 탄소배출 및 저장효과 등을 계량화할 수 있게 됐다”며 “2050 탄소중립목표 기후동맹 가입 등 여건 변화와 관련해 업계의 미래를 준비하고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