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시장분석

주요 농약회사 올해 5월말 매출 1조12억원

전년 동기대비 3%(261억) 증가…목표대비 진도율 76% 달성
팜한농 2667억·경농 1378억 기록…한국삼공은 여전히 고전

주요 농약제조회사의 올해 5월말 기준 매출규모는 11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9751억원)대비 2%(261억원) 가량 늘어난 것으로 추산됐다.


몇몇 농약 원제사와 제조사들이 집계한 20205월 주요 농약제조사 매출실적은 지난 5월말 현재 112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9751억원과 비교해서는 261억원(3%) 정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회사별로는 팜한농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2억원(8%)이 늘어난 2667억원의 매출을 기록 했으며 농협케미컬은 전년 동기(1750억원)대비 55억원(3%)이 줄어든 1695억원의 매출실적을 보였다. 또한 경농은 지난해 같은 기간(1378억원)보다 71억원(5%)이 많은 1449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동방아그로는 지난해(1175억원)보다 21억원(2%)이 늘어난 1196억원 한국삼공은 전년 동기(1122억원) 대비 72억원(6%)이 감소한 1050억원으로 집계됐다. 바이엘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611억원보다 46억원(8%)이 감소한 565억원을 기록했으며 신젠타코리아는 지난해 동기 844억원보다 68억원(8%)이 증가한 1076억원의 매출실적을 보였다. 성보화학은 전년 동기(406억원) 대비 72억원(18%)이 늘어난 47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주요 농약회사별 20205월 매출실적    (단위:억원)

회사명

2019년 실적

2020년 목표

20195월 누계

20205월 누계

동기대비 증감

매출액

진도율

매출액

진도율

매출액

증감

팜한농

3,294

3,510

2,465

71%

2,667

76%

202

8%

농협케미컬

2,404

2,550

1,750

65%

1,695

66%

55

3%

경농

1,821

2,050

1,378

71%

1,449

71%

71

5%

동방아그로

1,480

1,550

1,175

79%

1,196

77%

21

2%

한국삼공

1,378

1,500

1,122

77%

1,050

70%

72

6%

바이엘

728

694

611

71%

565

81%

46

8%

신젠타

974

1,076

844

84%

912

85%

68

8%

성보화학

467

567

406

65%

478

84%

72

18%

합계

12,546

13,497

9,751

72%

10,012

74%

196

3%


제조회사별 2020년 목표대비 매출진도율은 팜한농 76% 농협케미컬 66% 경농 71% 동방아그로 77% 한국삼공 70% 바이엘 81% 신젠타코리아 85% 성보화학 84% 등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내 주요 농약제조회사들의 올해 5월말 현재 농약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다소 호전된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그러나 현재의 매출실적은 농협계통농약 매출이 대부분이고, 시판농약은 아직도 움직임이 더딘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지난해 다나스를 시작으로 미탁까지 7개의 태풍이 한반도를 덮치면서 살충제 재고량이 크게 늘어난 것도 현재 시판농약이 움직이지 않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또 하나는 회원제 도매상을 중심으로 그때그때 필요한 만큼만 주문하는 경향을 보이는 점도 악제로 작용하고 있다.


농약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회원제 도매상들 위주로 지난해의 재고부담이 많은데다 성출하기엔 필요한 농약만 구입하고, 대량구매는 9월 이후로 미루고 있는 실정이라며 “9월 이후가 되면 매출목표 달성 압박을 받는 제조회사들이 가격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그동안의 학습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