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선택성 제초제는 국내 농약시장의 바로미터로 통한다. 매출 규모로만 보면 전체시장의 10% 남짓이지만, 해마다 국내 농약시장 규모는 비선택성 제초제 시장의 매출 변동률과 거의 일치했기 때문이다. 특히 비선택성 제초제 시장은 회사별·약제별로 치열한 경쟁을 치르면서도 전체적인 매출규모는 비교적 변동률이 낮은 편이었다. 하지만 비선택성 제초제 시장은 몇 해 전부터 크게 달라지고 있다. 최근 3년간 비선택성 제초제 시장은 전체 농약시장보다도 더 큰 폭으로 축소됐다. 한국작물보호협회가 발간한 ‘2020년 농약연보’에 의하면 비선택성 제초제 시장규모(매출액)는 비교연도인 2017년(1500억원)에 비해 2018년(1360억원)에 10.3%가 줄었고, 2019년(1270억)에도 전년대비 6.6%가 줄어드는 등 해마다 감소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농약시장 전체규모가 2017년(1조5050억원)보다 2018년(1조4762억원)에 1.9% 감소하고, 2019년(1조4458억원)엔 전년(2018년)대비 2.1% 줄어든 것과 비교해 큰 폭의 변동률을 보였다. 품목별로는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성분의 단제와 혼합제가 비선택성 제초제 시장에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국민들이 우리 농산물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농산물의 생산부터 최종 소비까지 안전과 품질을 관리하고 농업인의 소득안정을 지원하는 현장농정의 중추기관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의 역할에 관심이 높다. 특히 농관원이 이러한 본연의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한 축에는 농자재산업이 자리하고 있다. 지난 11일 새로 취임한 이주명 농관원장은 신년인터뷰에서 “농자재는 고품질 안전 농산물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생산업체의 자재원료·제조공정·품질관리 강화를 위한 지도와 점검에 만전을 기해 나가겠다”고 말문을 열었다. “농자재의 안전성과 품질, 그리고 철저한 유통관리는 농업인이 고품질의 안전 농산물을 생산하고 소비자가 우리 농산물을 더욱 신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수요소입니다.” 농관원에서 수행하는 농자재 관리업무가 점차 확대되면서 그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농관원은 농산물 안전·품질 관리, 친환경·GAP 등 국가 인증품 관리업무 외에도 유기농업자재 공시, 비료 등 농자재 관리까지 그 업무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먼저 유기농업자재 공시제도를 농촌진흥청에서 이관 받아 2017년부터 공시기관을 지정·운영하고 있으며, 공시제품의 확대와 더
(주)대유 창립멤버로 출발해 일평생을 몸담았던 권옥술 대유 전 회장이 생물화학연구소를 갖춘 비료와 농약 및 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인 (주)카프코(대표이사 조광휘) 지분 100%를 지난 21일자로 인수했다. (주)카프코는 충남 대전 공업단지에 1978년 창립한 한성화학을 1992년 9월에 인수해 제1공장과 제2공장을 갖추고 성장한 농자재생산업체로 그동안 칼라링, 하이푸로그린 모린 등 제4종복합비료와 유기농업자재인 뽀빠이 입제와 액제, 에이스파머 입제, 균에탄 액제, 응진충 액제 등을 주력품목으로 생산해 왔다. 국내 동종업계 10위권 이내 업체로 자리매김 해온 (주)카프코는 최근 증설한 충북 옥천 공단 내 제2공장에는 농약 생산라인과 함께 새로운 액비 생산 라인도 갖추고 있다. (주)카프코 공장 대지 및 건물 규모는 1공장 대지 2500여 평, 2공장 대지 1700여 평으로 공장건물 7개동 약1200여평, 농작물 비료, 농약시험연구농장 3400여평을 보유하고 있다. 권옥술 (주)대유 전 회장은 종로5가 중원종묘농약사 판매 점원으로 출발해 대유의 창립멤버로 스카웃 되면서 평생을 ㈜대유에 몸담아 왔다. 그러나 지난해 가을 1대 주주가 대유 경영권을 매각하는 바람에 본
국내 농약시장은 매출 30억원 이상 품목들이 사실상 주도권을 쥐고 있다. 2020년말 기준 국내 등록농약은 2056개 품목에 이른다. 이 중 ‘대형품목’으로 분류되는 매출 30억원 이상 품목은 110개 품목(2019년 기준)이다. 등록건수로만 보면 전체 품목수 대비 대형품목의 비율은 5.4% 정도에 불과하다. 그러나 매출로 환산하면 농약 전체 시장규모(2019년 기준) 1조4500여억원과 비교해 30억원 이상 110개 품목의 매출총액은 전체의 47%에 달하는 6809억여원을 기록하고 있다. 이 가운데 매출 100억원 이상의 약제도 11개 품목에 이르며, 매출총액 1834억여원에 달한다. 한국작물보호협회가 발간한 ‘2020년 농약연보’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상위 30억원 이상 품목의 매출은 2018년(6670억여원)과 2019년(6809억여원)에 그리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아직 정확한 자료가 취합되기 이전이지만 2020년 농약시장 역시 이들 품목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졌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들 상위 110개 품목의 용도별 매출규모(수입완제품 제외)를 보면, △비선택성제초제 7종 1020억원을 비롯해 △수도용
(주)누보가 이달 들어 일부 대용량 비료 인기제품 무료배송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주)누보는 그동안 농업인들이 대포장 비료의 경우 배송비로 인해 온라인 구매가 쉽지 않았던 점 등을 감안해 ‘올코팅 CRF 완효성 비료’를 비롯해 유기농업자재, 관주비료 등 5~20㎏들이 인기제품을 무료로 배송해주는 이벤트를 시작했다. (주)누보가 별도 공지일까지 계속 진행하는 이번 무료배송 이벤트는 ‘누보-네이버쇼핑(https://smartstore.naver.com/nousbo/products/5343717084)’ 을 통해 제품을 구매하는 모든 농업인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다만 제주도와 도서산간지역은 무료배송이 안된다. 무료배송 이벤트 제품은 △올코팅 CRF 완효성 비료(논편한 올코팅 / 발편한 올코팅) △유기농자재(논에퐁에코 / 엔비올입상부식산 / 유기NK 1211 / 엔비올 트리플) △관주비료(하이스피드 / 뿌리대왕 플러스 /삼시세끼버블) △기타(비료대왕 / 그린라이트 / 그만커 / 스트레스 헌터 / 알게아골드 / 인테이크 / 잎에롱버블 / 크랙원 / 다이내믹칼17) 제품 등 총 18개에 이른다.
바스프가 환경친화적 신규 살충제 ‘악살리온(Axalion™)’의 글로벌 등록에 나섰다. AgPages에 따르면 BASF는 한국과 호주를 시작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유럽연합에 환경친화적 신규 진딧물약제인 ‘Axalion™’ 살충제의 등록 자료를 제출하면서 등록 신청 절차를 시작했다. ‘Axalion™’은 BASF가 새로 개발한 진딧물약제의 원제 상표로 일반명은 ‘딤프로피리다즈(Dimpropyridaz)’이며, 우리나라에는 2020년 12월에 원제 등록신청을 마쳤다. 국내 농약업계에 의하면 ‘Dimpropyridaz(BAS-550I)’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딧물과 깍지벌레(2000배), 가루이( 1000배) 방제약제로 2년차 시험을 진행 중에 있다. 한국삼공은 ‘Dimpropyridaz 10% 분산성액제, 농협케미컬은 10% 액제, 경농은 1.5% 입제 제품을 빠르면 2023년 하반기 또는 2024년에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롤드 바스티안스(Harold Bastiaans) BASF 농업솔루션사업부 살충제 연구부사장은 “새로운 Axalion 활성성분의 발견과 개발은 농업인들이 농업 생산성과 환경보호 및 사회적 필요성의 균형을 유지하는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개
바이엘 AG는 오는 2월 1일자로 사례나 린(Sarena Lin, 50세)을 경영담당 이사로 임명했다. AgNews에 의하면 Sarena Lin은 앞으로 Bayer의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한 인사, 전략 및 비즈니스 컨설팅을 담당하는 최고 혁신&인재책임자로 일하게 된다. 노무담당 이사도 함께 맡게 될 Lin은 그동안 맥킨지(McKinsey)와 카길(Cargill) 등에서 고위직으로 일해 왔다. Lin은 현재 미국과 대만의 시민권자이며, 영어와 만다린 중국어 그리고 기본적인 독일어를 구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버트 윈켈존(Norbert Winkeljohann) Bayer AG 감독위원회 회장은 “Sarena Lin이 글로벌 경험, 전략적 전문성, 리더십 기술 및 대규모 혁신을 주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Bayer 이사회를 강화하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노버트 회장은 또 “Bayer는 이제 시작된 혁신을 결정적으로 가속화해야 한다”며 “바이엘만큼 지속적인 바이오 혁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업은 거의 없다. 매력적인 생명과학 분야에서 Bayer의 선도적인 위치를 빠른 성장과 가치 창출로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리버 쿨케(Oliver Zü
Agdia가 토마토 갈색 루고스 과일 바이러스(ToBRFV) 검출을 위한 새로운 ELISA 시약 세트의 완전한 상용화를 발표했다. Agdia에 따르면 ELISA는 2021년 상반기에 출시될 세 가지 ToBRFV 진단 분석 제품군의 첫 번째이다. 표준 시약 세트는 즉시 주문이 가능하며, 사전 포장된 ‘Pathoscreen®(파토스크린)’ 키트도 곧이어 출시할 예정이다. Agdia는 또 현장 배포가 가능한 등온분자 테스트도 이달 중에 상용화할 예정이며, 이후 2021년 1분기 또는 2분기에 면역 스트립 측면 흐름장치인 ‘ImmunoStrip®’도 선보일 예정이다. Agdia는 ToBRFV 진단용 ELISA의 토마토와 고추 씨앗에 대한 테스트를 마쳤다. 테스트 결과에 의하면, Agdia의 ToBRFV 진단용 ELISA는 현재 시판 중인 모든 ELISA 제품과 비교해 표적 병원체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제한된 수의 고역가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TMV)와 토마토모자이크바이러스(ToMV) 샘플에서 매우 낮은 교차 반응성이 관찰됐다. 또한 오이녹색모자이크바이러스(CMMV), 규리녹색모자이크바이러스(KGMMV), 페퍼밀드모자이크바이러스(PMMoV),
올해 농협계통구매 농약가격은 지난해 수준으로 동결될 전망이다. 농협경제지주와 농약회사들에 따르면 이달 7일 현재 진행 중인 2021년도 농협계통농약 구매협상은 품목별 가격조정 등을 통해 지난해 수준에서 동결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농협경제지주 관계자는 “올해에도 농약 가격인하를 위한 협상을 진행했지만, 농약업계의 누적된 어려움을 감안해 2020년 수준에서 가격을 동결하기로 농약회사들과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농협 관계자는 또 “그동안 농약회사들이 수익구조가 열악한 오래된 품목의 생산량을 줄이는 등 돌발병해충이 발생했을 때 긴급수요 확보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그런 품목들을 위주로 원제가격 등을 반영해 가격을 현실화하고, 반대로 품목에 따라 적정 수준의 가격조정도 이뤄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농협은 그동안 계통농약 구매가격을 지속적으로 인하해 왔다. 지난 2016년 0.8%, 2017년 3.3%, 2018년 1.2%를 각각 전년대비 인하했으며, 특히 2019년에는 5% 이상을 내리기도 했다. 그러다가 지난해 0.1% 인하(사실상 동결)에 이어 올해에도 가격동결 기조를 이어가기로 방침을 정했다. 농협경제지주는 ‘2021년도 농협 계통농약 정기신청 교육’도 비
2020년 한해 주요 농약회사 매출은 6.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또 농협계통농약은 총 7441억5000만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6.0% 증가했다. 하지만 농약회사들의 수익률은 해를 거듭할수록 열악해지면서 매출 증가율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농약 원제사와 제조회사를 통해 집계한 주요 8개 농약회사의 2020년 한해(1~12월) 매출규모는 1조3205억원으로 추정됐다. 지난해의 1조2340억원과 비교해 865억원(6.5%) 가량 늘었다.[표] 또한 농협 계통구매농약 매출은 7441억5000만원(Minor회사 포함)으로 전년대비 6.0%(7027억2600만원)가 증가했다. 농약회사별로는 △팜한농이 2019년(3088억원)보다 356억원(11.5%)이 늘어난 344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농협케미컬은 전년(2404억원) 대비 224억원(9.3%)이 증가한 2628억원(아리품목 154억원 포함)의 매출로 한해를 마감했다. 또 △경농은 지난해 매출(1821억원)보다 104억원(5.7%)이 많은 1925억원을 기록했으며 △동방아그로는 지난해(1480억원)보다 71억원(4.8%)이 늘어난 1551억원 △한국삼공은 전년(1378억원) 대비 2
BASF, Syngenta, FMC, Bayer Crop Science, Corteva Agriscience, Nufarm 등 유럽의 글로벌 농화학그룹들은 오는 2030년까지 신기술과 지속가능한 제품 개발을 위해 140억 유로(한화 18조6864억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합의했다. AgPages에 따르면 유럽의 농작물보호산업(ECPA)의 회원인 이들 그룹은 최근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을 지원하기 위해 이같은 투자계획을 담은 야심찬 ‘2030년 약속’을 채택했다. ECPA는 이러한 투자 외에도 EU의 ‘Farm to Fork’및 생물 다양성 전략의 일환으로 쓰레기 수거를 늘리고 유럽 농업인들의 훈련 수준을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Farm to Fork’는 식자재 생산업자와 식품공급자들이 직접 판매 관계를 맺는 방식으로 중간 유통마진을 줄이고 유기농법을 시행해 생산 환경과 보건의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한 전략이다. 리비오 테데스키(Livio Tedeschi) BASF 농업솔루션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수석 부사장은 “우리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직업인 농업을 위한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고 싶다”며 “BASF는 100년
중국 양농화학의 자회사인 유지아식물보호공사가 피레스로이드와 메소트리온 원제 및 중간체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AgNews에 따르면 중국 난퉁 지방정부는 지난해 25일 강소성 루둥현 연안경제개발구에 설립되는 장쑤양농화학(Jiangsu Yujia Plant Protection Co., Ltd.) 자회사인 유지아식물보호공사의 농약 원제 및 중간체 생산 프로젝트를 승인했다. 양농화학의 이번 프로젝트에는 연간 7310톤의 피트로이드를 비롯한 플루아지남 1000톤, 메소트리오네 6000톤, 디에노아졸 3000톤, 루페누론 2000톤, 이카리딘 200톤, 시너지 500톤의 원제와 4만6121톤의 중간체 생산계획이 담겨 있다. 시노켐 그룹은 지난 2019년 5월 루동해안경제개발구역에 시노켐 현대식물보호산업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루동군과 전략적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유지아식물보호공사는 같은 해 시노켐 현대식물보호산업단지 1단계 건설에 2022억위안(34조1678억원)을 투자해 연간 1만1225톤의 피레트로이드(중간체 포함)와 메톡사디아존 50톤, 티디아주론 200톤, 프로피코나졸 2000톤, 클로르플루아주론 200톤, 할록시톱-R-미틸 500톤, 디페노코나졸 1000
중국은 올해 3월부터 양쯔강 1km 이내에 화학공장 신축이나 증축을 금지하기로 했다. 제13차 중화인민대표대회 상임위원회는 지난해 12월 26일 24차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양쯔강 보호법’을 제정했다. ‘양쯔강 보호법’에 따르면 양쯔강과 그 지류에서 1km 이내의 화학단지 또는 화학공장의 건설 또는 확장을 금지하고 있으며, 양쯔강을 따라 중앙집중식 인산염 및 인산비료 생산시설이 있는 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보다 엄격하게 규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중국은 또 양쯔강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고독성 화학물질의 선박운송을 금지하고 양쯔강 유역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업시설에 대한 규제도 대폭 강화한다. 아울러 지하수 오염원에 대한 조사·평가를 통해 잠재적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로 했다.
2020년 한해 농약시장은 평균 6~7%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올해 농약시장은 코로나-19 상황에다 유례없는 긴 장마와 연이은 태풍까지 겹치면서 전망이 그리 낙관적이지 못했으나 당초 우려와 달리 두드러진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농약 원제사와 제조회사를 통해 집계한 주요 8개 농약회사의 2020년 11월말(1~11월) 현재 매출규모는 1조3168억원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조2294억원과 비교해 863억원(7.0%) 가량 늘었다.[표1] 이중 농협 계통구매농약 매출은 7441억5000만원(Minor 포함)을 기록했다. 농약회사별로는 △팜한농이 지난해 같은 기간(2993억원)보다 414억원(13.8%)이 늘어난 340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농협케미컬은 전년 동기(2385억원)대비 231억원(9.7%)이 늘어난 2616억원(아리품목 154억원 포함)의 매출을 올렸다. 또 △경농은 지난해 같은 기간(1789억원)보다 81억원(4.5%)이 많은 1870억원의 매출실적을 보였으며 △동방아그로는 지난해 동기(1474억원)보다 76억원(5.2%)이 늘어난 1550억원 △한국삼공은 전년 동기(1361억원)대비 37
중국산 글루포시네이트와 글리포세이트 가격이 올해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비선택성 제초제의 ‘양대 산맥’으로 통하는 ‘글리포세이트’와 ‘글루포시네이트’ 가격은 지난 6월과 비교해 각각 32.86%, 54.55%가 인상됐다. 이는 대부분의 원제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내년 제초제 시장 가격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중국 현지 원제 딜러 및 외신에 따르면 지난 12월 18일 현재 중국의 평균 글리포세이트 시장가격은 6월1일 톤당 2만700위안(한화 348만4000여원)보다 32% 상승한 2만7300위안(한화 459만5000여원)을 기록했다. 또 글루포시네이트 가격은 지난 6월 톤당 12만7000위안(2137만7000여원)에서 17만5000위안(한화 2945만6000원)으로 인상됐다. 이를 ㎏당 USD로 환산하면 글리포세이트의 경우 ㎏당 3.2$에서 4.2$로 올랐으며, 글루포시네이트는 ㎏당 19.5$에서 29.5$로 가파르게 인상됐다. 이들 중국산 제초제 원제의 급격한 가격 상승은 공급부족과 중간체 가격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중국내 대부분의 원제 생산업체들은 현재 주문을 받을 수 없을 정도의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9월 말 현재 주요 7개 농약 회사의 총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평균 2.0%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이들(팜한농·농협케미컬·경농·동방아그로·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SB성보) 중에서 경농·동방아그로·SB성보의 매출은 순증한 반면, 팜한농(바이엘크롭사이언스 전년 동기 매출 합산)·농협케미컬·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의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농약 제조회사와 몇몇 원제사를 통해 자체 집계한 ‘2025년 9월 말 기준 주요 7개 농약 회사 매출 현황’[표1]을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조 6137억 원보다 327억 원(2.0%) 증가한 1조 6464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 중에 주요 6개 회사(SB성보 제외)의 농협 계통농약 매출총액은 738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560억 원)보다 2.3%(177억 원) 줄었다. 농협 지역본부 자체구매와 제네릭 회사 및 아리품목 등을 포함한 계통농약 전체 매출도 전년 동기(9370억 원)와 비교해 5.4%(508억 원) 줄어든 8862억 원에 그쳤다.[표2] 이에 반해 주요 7개 농약 회사의 시판 매출총액은 9080억 원으로 전년 동기(8594억 원) 대비 5.
최근 작물보호제유통협회와 농협중앙회가 농약 유통질서 문란 행위에 공동 대응하자는데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일선 농가들의 벼 재배 농약 구입처 조사 결과가 발표돼 명암이 교차하고 있다. (사)한국농자재시험연구기관협회(회장 이광하)가 실시한 ‘2023년도 벼 농약사용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농가의 84.3%가 지역농협에서, 15.7%가 시중 농약판매점에서 수도용 농약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용 약제와 달리 특히 수도용 농약은 정부 보조사업과 자체 지원사업 등으로 농협이 행정 편의성과 가격경쟁력에서 월등히 앞선 결과로 봐야 한다는 것이 일선 관계자의 분석이다. 농약사용은 총 7.8회 살포하였으며, 용도별로는 살충제가 2.7회로 가장 많았다. 평균 농약 살포일수는 4.5일로 조사됐고, 단위 면적당 사용량은 ha당 2.6kg으로 나타났다. 107가지 성분의 269종의 농약이 사용됐고, 가장 많이 사용된 농약은 제초제 뷰타클로르 약제로 나타났다. 벼 재배 ‘107성분·269약제’ 사용 한국농자재시험연구기관협회(KARO)는 2023년도 벼 재배기간 동안 농약사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8개도 58개 시군의 주요 생산지에서 380농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