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Today News

농업의 새로운 가치 ‘그린바이오’ 육성한다

농식품부,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 발표

산업화 촉진· 혁신기술 및 인력· 산업생태계 조성 등 3대 전략

2027년까지 국내 10조·수출 5조원과 유니콘기업 15개 육성

마이크로바이옴, 디지털육종, 바이오사료·농약·비료 R&D 확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는 그린바이오 산업화 촉진으로 농업 및 식품산업에서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도약의 기회를 마련하기 위한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그린바이오 기업을 육성해 수출 확대, 탄소중립, 생산성 향상 등을 실현하는 것에 초점을 둔 정책이다.

 

2027년까지 국내시장 규모 10조원, 수출 5조원 및 유니콘 기업(세계적·거대 신생 기업) 15개 육성을 목표로 하여 ‘산업화 촉진’, ‘혁신기술 개발 및 인력양성’, ‘산업생태계 조성’을 3대 추진전략으로 마련했다.

 

그린바이오 산업은 농업생명자원에 생명공학기술 등을 적용, 농업 및 전·후방산업 전반에 대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산업이다. 주요 분야는 종자, 동물용 의약품, 미생물, 곤충, 천연물, 식품 소재 등이 대표적이며, 화석연료 기반 생산을 바이오 기반으로 대체해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다.

 

세계 그린바이오 시장은 2020년 약 1조2000억달러(한화 1546조8000억원) 규모로 연평균 6.7%의 빠른 성장세가 전망된다(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내시장은 2020년 5조4000억원으로 세계시장 대비 0.3% 수준이며, 세계적 성장에 맞춰 국가적 차원의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혁신기술 개발과 함께, 기업이 원하는 융합인력(IT+바이오)을 육성하고, 바이오 소재의 대량 공급 시스템(소재 전용 첨단농장, 바이오 파운드리 등) 구축 등을 통해 그린바이오 산업을 미래성장산업화하여 수출 산업으로 적극 육성할 필요가 있다.

 

 

6대 분야 그린바이오 허브 중심 기업 지원

농식품부는 그린바이오 산업화 촉진을 위해 종자, 미생물, 동물용의약품, 곤충, 천연물, 식품소재 등 6대 분야 ‘그린바이오 허브’(가칭) 중심으로 기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투자 활성화, 소재 대량생산 시스템 확립 및 국내·외 수요 창출을 주요과제로 한다.

 

우선 신생기업을 위한 전용 자금지원 등을 통해 투자를 확대한다. 그린바이오 전용 펀드 규모를 2027년까지 1000억원 이상을 목표로 확대하고, 아랍에미리트(UAE) 국부펀드, 정책금융(신성장 4.0 등) 등 다양한 자금을 활용토록 그린바이오 전문 투자기관을 연계해 창업 자금·컨설팅 등을 지원하며, 대·중견-벤처 연계 프로그램으로 제품화를 지원한다.

 

다음으로 6대 분야 그린바이오 허브 중심으로 기업지원을 강화한다. △케이-종자 단지(K-Seed valley)(김제) △동물용의약품 효능·안전성 평가센터(익산) △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정읍) △곤충산업 거점단지(예천) △천연물 소재 허브(2023년 공모예정) △국가식품클러스터(익산)를 중심으로 그린바이오 기업의 제품 평가·실증 등 상품화 과정을 종합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소재 공급 시스템을 구축하고, 해외 진출 및 수요 창출을 종합 지원한다. 그린바이오 소재 대량공급을 위한 원료 작물 전용 첨단농장(수직형농장 등) 2개소 구축을 지원하고, 소재생산 및 실증 등을 자동화·고속화하는 바이오파운드리 시설을 2028년까지 구축한다.

 

바이오 농약·비료, 기능성식품 등의 해외 인증·등록 및 수출 맞춤형 지원을 추진하고, 기업 수요 유도를 위해 그린바이오 소재 사용을 주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지표에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수출 지원은 정보제공(시장, 제도 등), 통관·검역(통관, 검역, 라벨링 등), 마케팅(현지 상담회, 박람회 등) 등을 통해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혁신기술 개발 및 융합형 인력 양성도 주요 과제이다. 기업 수요를 반영한 프로젝트형 연구개발과 혁신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벤처창업 중심 융합 인재(바이오+정보기술(IT) 등) 양성에도 나선다.

 

농식품부는 마이크로바이옴, 디지털육종, 바이오사료·농약·비료, 동물용의약품, 발효산물 소재 개발 등 핵심기술 분야의 연구개발(R&D)을 확대하고 기업 참여를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12대 핵심기술 관련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단기 프로젝트형 연구개발(R&D)을 확대(2023년. 1184억원)하고, 중장기 투자가 필요한 분야(디지털육종 등)는 예비타당성 조사 등 로드맵을 마련·추진한다. R&D 기획 시 시장성 있는 과제를 확대하고, 그린바이오 분야 R&D에 대한 조세특례도 확대토록 한다.

 

이와 함께 연구·산업·서비스 등 분야별 융합인력을 양성한다. 그린바이오 관련 두뇌한국21(BK21) 교육연구단(16개팀), R&D 사업(5억원당 1명 채용)을 통해 연구인력을 육성하고, 계약학과(4개 대학)·융합학부·특수대학원 등을 활용해 산업인력을 육성한다. 바이오 데이터 코디네이터, 안전생산관리사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인력도 양성한다.

 

또한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익산·포항·평창+1개소)를 조성해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시제품 개발, 마케팅, 연구시설 등을 종합 지원할 계획이다. 창업 후 기업의 성장을 위해 창업지원센터 등과 연계하고 특화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 등을 활용할 계획이다.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 비전 및 추진전략

 

농식품부는 그린바이오 산업 생태계 조성을 강조했다. 그린바이오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그린바이오 분야 수요 창출을 위한 제도마련 및 규제혁신을 추진한다.

 

특히 수요자 중심 데이터 수집·활용 지원으로 디지털 전환을 촉진한다. 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NABIC) 등의 데이터 공개를 확대하고,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표준화 및 초고성능컴퓨터 활용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례로 초고성능컴퓨터를 활용하면 벼(가루쌀 등) 3000 자원 유전체 정보 분석 기간이 기존 3개월에서 2주로 단축된다는 설명이다.

 

또한 올해부터 유용 미생물 은행, 기능성 원료 은행 등을 활용해 기업이 원하는 소재(기능성 원료, 미생물 균주 등)를 분양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데이터 R&D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그린바이오 제품 공공 우선구매제 도입으로 수요를 견인하고, 그린바이오 규제혁신 등 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플랫폼도 구축한다. 공공기관이 기능성 식품(급식 등), 미생물 비료·농약(조경 등) 등 그린바이오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내용의 제도를 올해 법제화 할 계획이다.

 

기업, 정부, 유관기관 등이 참여하는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 협의회’를 구성하고 규제혁신, 정보공유 및 기업 간 연계 강화 등 민·관이 협업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기업이 국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그린바이오산업 육성법(가칭)’을 제정해 안정적인 정책 추진을 뒷받침하고, 국내·외 산업 통계를 일관성 있게 정비해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의 체계적인 이행을 통해 농업과 식품산업의 새로운 가치사슬 구조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도약의 기회가 마련되고, 기업들이 세계시장으로 활발하게 진출하며, 국가 전체적으로는 탄소저감을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