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뿌리파리의 토착 포식성 천적 ‘황색다리침파리(Coenosia attenuata)(가칭)’가 국내에서 처음 발견됐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황색다리침파리’의 형태와 유전자 분석을 통해 토착 천적임을 밝혔다. 시설원예 특용작물의 뿌리나 구근 등에 피해를 주는 작은뿌리파리는 연중 발생하는데 특히 수경 재배나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 재배 딸기, 토마토, 파프리카 등 수출 작목에서 피해가 많다.
이 같은 작은뿌리파리를 먹이로 하는 황색다리침파리는 2.5mm∼4mm로 파리류 중에서 중간 크기이며, 다리가 황색이다. 애벌레와 어른벌레 모두 해충의 애벌레와 어른벌레를 찔러서 흡즙하기 좋은 입 모양을 갖고 있다.
토착 천적 파리는 작은뿌리파리와 같이 유기물이 풍부한 환경을 서식지로 선호하며 전국의 시설재배 농가에서 발견된다. 외국에서는 ‘살인자파리’, ‘사냥파리’ 혹은 ‘호랑이 파리’로 불린다.
이 파리의 어른벌레는 작은뿌리파리의 어른벌레를 사냥해 잡아먹고, 토양 속의 애벌레는 작은뿌리파리의 애벌레를 사냥하기 때문에 천적으로서의 가치도 매우 크다. 이미 유럽, 북미, 남미, 동남아시아 등에서 작은뿌리파리와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등 친환경 방제를 위한 천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육식성이라 식물과 사람, 가축, 환경에 안전하다.
농진청은 앞으로 토착 천적 황색다리침파리의 생태적 특성(포식력, 산란력), 대량 사육 기술, 원예특용작물 재배 농가 현장에서의 보존법에 관한 연구를 통해 기술을 보급할 계획이다.
김형환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농업연구사는 “이번에 발견한 황색다리침파리는 근권파리의 친환경 방제를 위해 수입하고 있는 외래 천적의 구입비를 10a당 50만 원 이상 줄일 수 있는 토착 천적 자원이다” 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