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정책

지난해 농가소득 평균 4503만원으로 역대 최고치

공익직불제·농산물 수급안정 노력 ‘한몫’
농업소득 2016년과 비교해 17.4% 증가
이전소득 62.4%…농업외소득 8.9% 늘어
농가자산 9131만원…농가부채 1086만원
농가자산 대비 부채비율 5~6% 수준유지


문제인 정부 출범 이후 공익직불제 도입·농산물 수급안정 노력 등이 더해지면서 지난해 농가소득은 평균 4503만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6일 발표된 통계청의 ‘2020년 농가경제조사’ 결과에 의하면 2020년 농가소득은 평균 4503만원으로 2016년(3720만원) 대비 21.1%(783만원)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농가소득은 자가노동의 노임이나 자기 소유토지의 지대, 농업경영자로서의 이윤 등이 합쳐진 혼합소득을 말한다. 농가소득에는 농업소득뿐만 아니라 농업외소득, 이전소득, 비경상소득 등으로 구성된다.


농업소득은 쌀 등 주요 농산물에 대한 선제적 수급안정 대책과 재해보험 등 농가 경영안정 지원에 힘입어 2016년 1007만원에서 2020년 1182만원으로 17.4%(175만원)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쌀의 경우 2017년 선제적이고 과감한 수급대책을 추진해 쌀값 회복 계기를 마련했으며, 논 타작물 재배지원(‘18~’20) 등을 통해 공급 과잉을 완화하고 쌀값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왔다. 특히 2020년은 장마·태풍 등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에 대응해 정부양곡 공급 등의 수급안정 대책을 조기에 수립하는 등 안정적 식량 공급을 추진했다.



가격 등락폭이 큰 마늘·양파 등 주요 품목의 수급안정을 위해 농업관측의 정확도를 제고했고, △자조금 중심의 사전 수급조절 강화 △채소가격안정제 확대 △로컬푸드 활성화를 통한 중소농가의 판로 확충에도 힘을 썼다. 그러나 지난해 재해 등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 주요 품목의 가격이 상승해 채소(9.9%, 84만원 증가), 과수(16.8%, 68만원 증가)의 농작물수입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다.


축산분야의 경우 우수종축 보급 확대 및 쇠고기 1등급 출현율 증가 등 축산물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과잉이 우려됐던 돼지에 대한 선제적 수급조절 등으로 축산농가의 소득안정에 도움이 됐다.


봄철 냉해(2018년, 2020년), 긴 장마(2020년), 태풍(2019년, 2020년) 등 빈번한 재해에도 불구하고 농작물재해보험 확대 및 재해복구비 인상으로 농가 경영안정에도 기여했다.


공익직불제 도입과 농업인 국민연금 등이 지원되면서 농가 이전소득도 2016년 878만원에서 2020년 1426만원으로 62.4%(548만원)가 증가했다. 지난해 공익직불제 도입으로 기본형 공익직불금 총 지급액이 2019년 대비 약 1조원 증가했고, 평균 지급액(총지급액/총지급건수)은 203만원으로 2019년(109만원)보다 86%(94만원)가 늘었다. 특히 0.5ha 이하 농가에 대해 면적에 관계없이 연간 120만원을 지급하는 소농직불금을 신설해 중소규모 농가의 소득 안정에 기여했다.


농업외소득은 농가소득 다각화를 위한 농촌관광 등 지속적인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정책이 추진되면서 2016년 1525만원에서 2020년 1661만원으로 8.9%(136만원) 증가했다. 다만 지난해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농촌관광 등이 크게 감소해 2019년 대비 4.1%가 줄었다.


경영주 연령별로 보면 2016년 대비 2020년 모든 연령대에서 농가소득이 증가했으며, 가장 높은 소득을 보이는 50대의 농가소득이 지난해 7000만원대에 진입했다. 또한 공적보조 증가의 영향을 크게 받는 70세 이상 농가의 소득이 2016년(2448만원) 보다 2020년(3390만원)에 가장 큰 폭(38.5%, 942만원)으로 증가했다.


영농형태별 농가소득도 모든 품목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대비 △논벼(59.5%) △과수(17.7%) △채소(15.8) △축산(4.8%) 순의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지난해 쌀값 안정, 공익직불제 도입 등의 영향으로 논벼농가의 소득이 2016년(2212만원)보다 큰 폭(1316만원)으로 증가한 3528만원을 기록했다.


농가자산은 2016년 대비 2020년에 19.3%(9131만원) 증가했으며, 부채는 같은 기간 40.6%(1086만원) 증가해 자산대비 부채 비율은 5~6% 수준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