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0 (목)

  • 맑음동두천 11.5℃
  • 맑음강릉 13.5℃
  • 맑음서울 12.2℃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2.9℃
  • 맑음울산 14.1℃
  • 구름조금광주 14.6℃
  • 맑음부산 11.8℃
  • 구름조금고창 12.6℃
  • 맑음제주 14.5℃
  • 구름조금강화 10.3℃
  • 맑음보은 12.1℃
  • 맑음금산 13.2℃
  • 맑음강진군 14.1℃
  • 맑음경주시 14.8℃
  • 맑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농약

맥류 붉은곰팡이병, 이삭패서 거둔후까지 관리

비 잦으면 감염비상, 예방지침 엄수
지난해 16.2%까지 늘어 주의 필요

농촌진흥청은 맥류의 이삭이 패는 시기 후에 발생하기 쉬운 붉은곰팡이병과 독소 피해를 줄이기 위한 예방 지침을 소개했다.


붉은곰팡이병은 곡류가 붉은곰팡이에 감염됐을 때 발생하며, 수량이 줄고 사람과 가축에 구토나 복통 등 중독증을 유발하는 독소를 생성한다.


출수기와 유숙기에 해당하는 4월 중하순부터 5월 중 기온이 1530, 상대습도 80% 이상인 날이 계속될 때 감염되기 쉽다. 특히, 지난겨울은 평년보다 따뜻해 겨울을 난 병원균의 밀도가 높아 올해 출수기 이후에 비가 잦으면 붉은곰팡이병 발생도 늘 것으로 예상된다.


독소가 발생하면 제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원인균인 붉은곰팡이 감염을 최소화하는 것이 최선이다. 이를 위해 재배기뿐만 아니라 수확 후에도 예방 지침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출수기 전후로 비 예보가 있으면 디페노코나졸프로피코나졸 유제, 캡탄 수화제 등 보리, 밀에 등록된 약제를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뿌려준다.


재배지 습도가 오르지 않도록 배수로를 깊이 파야 한다. 배수가 나쁜 토질은 30cm 이상 파내야 효과가 있다.

붉은곰팡이는 수확 후에도 살아남을 수 있으므로 맑고 건조한 날 수확하며, 거둔 즉시 건조한다. 잘 말린 후에는 손상, 미성숙, 병든 낱알을 골라내 깨끗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저장고에 보관한다.


맥류 붉은곰팡이병으로 인한 병든 이삭률은 201114.4%에서 20170.5%로 줄었다가 지난해 16.2%까지 늘어 주의가 필요하다.


류경열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팀장은 맥류의 출수기부터 수확 후까지 예방 지침을 잘 따라 감염과 확산을 예방해 안전 농산물 생산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