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F는 올해 말까지 독일의 Knapsack와 Frankfurt 공장에서 주성분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GA)’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다. 또 Frankfurt 공장에서 생산해오던 GA 제품은 오는 2025년에 종료되며, 그 이후 두 생산 시설 모두 폐쇄하기로 했다. BASF 농업솔루션은 최근 글로벌 GA 시장 상황을 고려해 이같이 결정하고, 지난 7월 이후 생산라인을 멈춰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전문가들에 따르면, BASF의 GA 생산은 제네릭 제조업체, 대체 기술, 높은 에너지 및 원자재 비용의 경쟁 증가로 인해 점점 더 큰 영향을 받아 왔다. 특히, 독일의 두 생산 시설 모두 비용 절감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BASF의 양과 수익성 개발은 충분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BASF는 생산 네트워크를 재구성하고 앞으로 제3자 공급업체로부터 주성분을 공급받을 예정이며, BASF는 이를 통해 GA 시장에서 장기적인 경쟁력과 수익성을 확보해 나가기로 했다.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은 여전히 BASF의 글로벌 제초제 포트폴리오의 핵심 구성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한편, BASF의 독일 공장 2곳이 가동 중단하더라도 모든 일자리(약 300개)는 2025
글로벌 비선택성 제초제 시장의 한 축인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Glufosinate-ammonium)’이 현재의 ‘아성(牙城)’을 위협하는 여러 난제에 직면해 있다. Glufosinate-ammonium(총칭 Glufosinate) 제조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과 낮은 산업 집중도, L-글루포시네이트의 도전과 약진, 불완전한 산업구조 등이 그것이다. 특히, 글루포시네이트의 생산량이 엄청나게 증가하면서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이 발생해 지난해부터 가격이 곤두박질쳤다. 급기야 BASF는 지난 7월 오는 2025년까지 독일 Knapsack과 Frankfurt 공장의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GA) 생산 중단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앞서서도 미국의 생산 공장 1곳을 폐쇄한 바 있다. 우리나라도 중국산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원제 가격의 폭락으로 제품 가격이 기형화하면서 상당한 잡음을 일으켰다. 국내 농약업계 관계자들에 의하면, 올해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공장 출고가(500ml) 기준으로 제네릭 제품과 오리지널 제품의 가격 차이가 4배를 넘나들었다. 반면, 두 제품 간 대농업인 소비자 가격은 1.5배 수준에 불과할 정도라서 농업인들의 불만을 야기했으
최근 비료 완제품에 비의도적으로 혼입되는 ‘IAA(Auxin Indole, 아세트산)’의 함량을 1ppm 수준까지 허용하는 「비료공정규격」 설정 고시 개정에 제동이 걸리면서 친환경농자재 업계가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달 14일 제4종·미량요소 복합비료 등에 ‘옥신(IAA) 1ppm(1.0mg/kg) 수준의 비의도적 혼입 허용’을 골자로 하는 「비료공정규격」 설정 고시 개정을 위한 ‘천연 생장조정물질에 대한 비의도적 혼입 허용 관련 관계기관 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협의회에는 농진청(농자재산업과, 농과원)과 한국농업기술진흥원(농업자원분석팀), 한국비료협회, 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 경상국립대학교에서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농진청은 이에 앞선 지난 5~7월 중에 친환경·유기농업자재 생산업체 8곳의 해조추출물 11개 제품에 대한 성분분석과 현장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비료 완제품 기준 IAA 1.0ppm 수준의 비의도적 혼입을 허용하는 「비료공정규격」 설정 고시의 예외 기준 마련’ 필요성을 도출했다. 그 이전에도 농진청은 제4종·미량요소 복합비료 등에 ‘옥신(IAA) 1ppm(1.0mg/kg) 수준의 비의도적 혼입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고시 개정을
지난해 작물보호제 시장 전체 매출액은 1조9559억원으로 전년(1조8323억원) 대비 6.7% 상승했으나, 약제별로는 희비가 엇갈렸다. 우선, 살충제와 논·밭 제초제 매출액은 대폭 상승한 반면 살균제의 상승세는 소폭에 그쳤으며, 비선택성 제초제 매출액 증가세는 답보 상태였고, 생장조정제와 전착제 등은 소폭 하락했다. ≪관련기사 2024.7.16.일자 ‘작물보호제 시장 사상 최초 매출 2조원 시대 보인다’≫ ‘2024 농약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살충제 매출액은 7142억여원으로 2022년 대비 9.6% 증가했고, 논 제초제(1920억여원) 13.3%, 밭 제초제(1136억여원) 14.1%가 각각 늘었다. 그러나 살균제는 지난해 6673억여원으로 2022년(6426억여원)과 비교해 3.8% 증가하는데 그쳤으며, 비선택성 제초제는 지난해 2175억여원으로 전년(2192억여원) 대비 0.8%가 감소했다. 또한, 생장조정제와 전착제 등도 각각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표1] 살충제 10대 품목 매출 총액 1220억원 ‘플룩사메타마이드 유제’가 부동의 1위 2023년도 약제별 매출액 10대 농약을 보면, 우선 살충제의 경우 △‘플룩사메타마이드 유제’가 2022년(
세계 최대 농약 시장으로 꼽히는 브라질 농무부(MAPA)는 지난해 177건의 농약 등록을 취소했다. 이 중에는 원제 등록 48건과 제품 등록 129건이 포함됐다. 이 가운데 89건은 등록 보유회사가 자진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업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인 알리에브라질(AllierBrasil)의 농약 등록 전문가인 플라비오 히라타(Flavio Hirata)에 따르면, 2023년 브라질에서 등록된 농약은 모두 555개 제품에 이르지만 등록 취소된 제품도 등록 건수 대비 31.89%에 이르고 있다. 브라질은 최근 5년(2023년 기준) 동안 총 2737건의 등록을 승인했다. 이는 농약 가격 경쟁이 심화하고 수입업체의 결제(지불) 기간이 연장되는 등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히라타는 이와 관련해 “농약 제품 등록은 시장 접근의 관문”이라고 전제한 뒤 “브라질에서 원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완제품을 등록하는 데는 10년 이상이 걸릴 수 있고, 비용은 10만 달러를 초과하며 연간 유지 관리 비용도 추가된다”고 등록의 어려움을 설명했다. 지난해 브라질에서 등록 취소된 제품 중에는 △카벤다짐 22개 제품 △피라클로스트로빈 15개 제품
올해 상반기 농약 제조업계의 매출 증가세가 뒷걸음질 치며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 8개 농약 제조회사(팜한농·농협케미컬·경농·동방아그로·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바이엘크롭사이언스·성보화학) 가운데 3개 회사(동방아그로·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를 제외한 나머지 5개 회사의 매출액이 눈에 띄게 줄었다. 올해 상반기 농약 시장의 마이너스 성장은 지난해 후반기 ‘무리한 판매(현금할인·조기출하)’로 인한 유통(농협·시판)업계의 재고 누적이 주요인으로 꼽혔다. 여기에 1~2월 시설작물은 물론 3월 이후 노지작물에서도 병해충 발생률이 낮아 농약 실사용 농가의 구매로까지 이어지지 않았다. 특히 농약 제조업계 관계자들은 비선택성 제초제의 경우 원제(제네릭) 가격 급락에 따른 제품별·회사별 출혈경쟁이 극심해지면서 매출 성장동력을 떨어뜨린 것으로 보고 있다. 또 하나의 특징으로는 응애 발생이 저조했던 반면 진딧물이 대발생하면서 살충제 사용량은 대체로 양호했으나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노균병, 흑색썩음균핵병 등의 발생 양상이 저조해 살균제 사용량은 줄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농약 제조회사와 원제회사를 통해 자체 집계한 2024년 상반기(6월말 기준) 주요 8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최근 ‘글루포시네이트(Glufosinate)-P’ 성분을 함유한 복수의 신규 제초제 등록 절차를 밟고 있다. 이와 더불어 ESA(멸종위기종법)에 근거한 농약의 생물학적 평가 초안도 발표했다. EPA의 최근 발표에 의하면, 글루포시네이트 내성 옥수수와 단옥수수, 대두, 면화, 카놀라 등의 잡초 방제를 위한 미국 내 새로운 활성 성분(신규 주성분)으로 글루포시네이트-P를 함유한 비선택성 제초제(Glufosinate-P와 Glufosinate-P ammonium)의 신규 등록을 제안·접수했다. EPA의 이같은 절차는 ‘농약신규 주성분 등록 전 고시된 생물종에 대한 잠재적 영향을 확인하고 보호대책을 수립해야 하는 ESA의 강제규정’에 따른 것이다. EPA는 목적하지 않는 생물종이 농약에 노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을 제안해야 한다. EPA의 대책은 미국 전역으로 위험에 노출된 멸종위기 생물종 및 그들의 중요한 서식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대책이다. EPA가 이번에 등록을 제안한 글루포시네이트-P는 ESA 규정을 준수하는 네 번째 새로운 농약 신규 주성분이다. ◇배경=Glufosinate-P는 과도한 암모니아를 생성함으로서 식물
FMC의 최고경영자(CEO) 겸 회장에 피에르 브론도(Pierre Brondeau)가 새로 임명됐다. FMC Corporation은 지난달 11일 이사회에서 Pierre Brondeau를 회장 겸 CEO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Pierre Brondeau는 최근 FMC에서 물러난 사장 겸 CEO였던 마크 더글러스(Mark Douglas)의 후임으로 임명됐다. Mark Douglas는 오는 9월 1일까지 고위 경영진의 고문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또한 FMC 이사회는 호나우두 페레이라(Ronaldo Pereira)를 새 사장으로 임명했다. Pierre Brondeau 신임 회장 겸 CEO는 지난 2010년부터 2020년 6월 은퇴할 때까지 10년 동안 FMC의 회장 겸 CEO를 역임했으며, 최근 4년 동안에도 계속해서 이사회 의장직을 맡아 왔다. Pierre Brondeau는 이전 10년간 CEO로 재임하는 동안 FMC를 농업과학 분야의 리더로 변모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그는 CEO 재임 중에 상당한 M&A 거래에 착수하고 R&D 투자를 늘리며 새로운 지역으로 확장해 총 주주 수익률 325% 이상을 달성했다. FMC Corporation
첨단 기술을 통해 인체의 특정 세포에 대한 약물의 제어된 방출이 가능해졌다. 과학자들은 세계 식량 수요를 충족하려면 농업에도 이와 동일한 기술이 적용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최근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 저널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UC 리버사이드(UC Riverside)와 카네기멜론 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의 과학자들은 나노기술을 사용해 농업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 등에 대해 강조했다.≪관련기사 2024.6.15.일자 ‘나노농약으로 지속가능한 농업 실현 꾀하다’ 참조≫ 나노기술은 미세한 물질을 연구하고 설계하는 것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로,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약 10만 배보다 더 작다. 나노기술을 사용하면 약물을 가장 필요로 하는 곳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나노기술은 아직 식물 과학에 대규모로 적용되지는 않고 있다. UCR 부교수이자 논문 공동저자인 Juan Pablo Giraldo는 “2020년 수준에 비해 2050년에는 식량 생산량을 최대 60%까지 늘려야 할 것”이라고 예측한 뒤 “하지만 지금과 같은 비효율적인 농약 사용으로는
전기 제초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선두기업인 Zasso가 세계 최초로 배터리 구동형 전기 제초 장치 ‘eWeeding® Roller’를 출시했다. 이 ‘eWeeding® Roller’는 효율성, 안전성, 지속 가능성 및 사용 편의성을 두루 갖춘 제초기로 조경 분야의 획기적인 잡초 관리 솔루션으로 호평받고 있다. 배터리 구동형 전기 제초기 ‘eWeeding® Roller’는 최근 Zasso의 독점 유통 파트너인 Wimmersson BV를 통해 벨기에와 네덜란드에서 공식 출시됐다. 그동안 공공장소의 전통적인 잡초 관리 방법은 제초 효과가 떨어지고 작업이 번거로운데다 환경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eWeeding® Roller’는 이러한 제한이 없는 최초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보도, 통로, 주차장, 묘지, 쇼핑 지역 등의 도로변 잡초를 제거하는데 이상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Zasso 관계자에 따르면, ‘eWeeding® Roller’는 CO2 배출이 없고 환경에 잔류물을 남기지 않으며, 지하 케이블이나 주변 인프라(사회기반시설) 등에 전혀 영항을 미치지 않는다. 특히 사이드 시프트(좌우로 움직임) 기능이 있어 벽이나 장애물 바로 앞에서도 손쉽게 잡초 제거를
인도에서 대두와 땅콩 작물에 획기적인 제초제가 출시됐다. 인도의 Tata 기업인 랄리스 인디아(Rallis India Ltd)는 최근 대두와 땅콩 작물용 제초제 ‘Mark Plus’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Mark Plus는 잡초 성장에 필수적인 ALS 효소 억제와 미세소관 형성을 파괴하는 두 가지 새로운 활성 성분의 혼합제이다. Rallis India의 최고 운영책임자(COO)인 S Nagarajan은 “땅콩과 대두 재배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잡초를 방제할 수 있는 첨단 솔루션인 Mark Plus를 선보이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우리는 앞으로도 Mark Plus와 같은 철저하고 지속적인 제초제 공급을 통해 농업인들의 잡초 방제에 힘을 보태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Rallis India는 Mark Plus 제초제의 가격이나 매출 전망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농협경제지주가 중앙본부의 계통구매 농약과 별도로 지역본부에서 자체 구매하는 농약에 대해 ‘경쟁입찰 제도’를 신규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경쟁입찰 제도’ 도입을 주요 골자로 하는 농협경제지주의 농약계통사업 ‘구매제도 개선계획(안)’에 따르면, 농협조직이 취급하는 농약의 구매방식을 다양화해 구매가격을 낮추고 투명성을 높여 계통농약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하지만, 그 저간에는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지난 3월 11일 취임 이후 “비료는 농협이 80% 이상 취급하고 있는데, 농약은 왜 그렇게 못하느냐”는 문제 제기와 함께 부여한 “농약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숙제 풀이가 ‘진짜 이유’로 깔려있다고 보고 있다. 그동안 농협중앙회는 조합장 출신 중앙회장이 취임할 때마다 ‘농약 가격’이 도마 위에 오르곤 했다. 맨 처음 조합장 출신 중앙회장이었던 정대근 전 회장은 다소 예외적이었으나 그 이후 최원병·김병원·이성희 전 회장 모두 취임 직후 단골 메뉴는 ‘농약 가격’이었고, 강호동 회장이 취임하면서 그 강도가 아주 쎄졌다는 후문이다. 농협경제지주는 강호동 회장이 취임한 지난 3월 이후 계통농약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매제도 개선계획(안)을 마련했다.
나노농약 시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농작물 보호와 농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시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작물 보호 시장에도 나노기술의 힘을 활용하면서 농업의 패러다임 변화가 예견되고 있다. 전통적인 농약은 종종 환경 위험과 건강 위험을 초래한다는 지적에 따라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안을 필요로 해왔다. 최근 나노농약 시장은 작물보호제 산업 내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대표적인 부문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나노기술을 활용해 작물 보호 및 병해충 관리를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이 개발되고 있다. 나노농약은 병해충 방제 제품의 효능, 안전성 및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나노입자 및 나노운반체와 같은 나노 규모의 재료를 사용해 제조된다. 이러한 고급 제제는 농약 안전성 증가, 표적 전달, 환경 영향 감소, 작물 수확량 향상과 같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나노농약 시장은 지속 가능한 농업에 대한 전 세계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AgNews에 따르면, 나노농약 시장은 지난 2022년 기준 6억 달러 규모로 평가됐다. 2023~2030년 예측기간 동안에는 연평균 성장률(CAGR) 12.5%를 유지하며 2030년까지 15억
미국환경보호청(USEPA)은 인도 NGCMA(국립 GLP 규정 준수 모니터링 기관)의 등록시험 데이터 위조 가능성으로 인해 인도 텔랑가나의 ‘팔라무르 바이오사이언스(Palamur Biosciences)’에서 생성한 농약 등록 데이터의 승인을 중단했다. 최근 EPA 측은 “현재 ‘Palamur’의 어떤 연구도 수용하지 않고 있으며, 농약 등록 신청자는 이 실험실의 새로운 데이터를 제출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EPA는 수행 실험실의 연구가GLP(Good Laboratory Practice) 표준을 따른다고 명시하는 한 검토를 위해 농약 등록자의 연구를 허용하고 있다. EPA는 농약 등록 시험성적서 제출자가 왜 GLP 표준에 따라 수행되지 않았는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거나, GLP에 의해 수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승인되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충분한 근거를 제공하는 경우 NON-GLP 준수 연구를 승인할 재량권을 갖고 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EPA는 지난해 5월 Palamur에서 수행된 두 가지 의심스러운 연구를 검토한 결과, 데이터 위조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우려에 대응해 EPA의 GLP 표준 준수 모니
글루포시네이트 액제(SL)의 농도를 기존 200~280g/L에서 420g/L까지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인캔(In-can) 보조제(농가에서 제초제 살포를 위해 물에 희석시킬 때 첨가하는 보조제) ‘SURFOM® 8963’이 전 세계 농업인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최근 인도라마 벤처스(Indorama Ventures)가 출시한 ‘SURFOM® 8963’은 주요 벤치마크(누구나 인정하는 명백한 표준)와 비교할 때 최대 20%의 잡초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SURFOM® 8963’ 보조제를 첨가하면 글루포시네이트 SL 제형의 농도를 420g/L까지 늘릴 수 있다. 오랫동안 전 세계 제초제 시장은 글리포세이트가 선점해 왔으나 저항성 잡초가 출현하면서 새로운 대안으로 글루포시네이트 제품이 급부상하고 있다. 이제 글루포시네이트는 ALS 저해 제초제(Acetolactate Synthase, 분지 아미노산 생합성 저해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과 함께 글리포세이트 저항성 잡초에 대한 강력한 솔루션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전통적인 SL 제형의 글루포시네이트 농도는 200~280g/L로 제한받기 때문에 더 큰 제품 용량을 필요로 해왔다. Indoram
올해 9월 말 현재 주요 7개 농약 회사의 총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평균 2.0%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이들(팜한농·농협케미컬·경농·동방아그로·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SB성보) 중에서 경농·동방아그로·SB성보의 매출은 순증한 반면, 팜한농(바이엘크롭사이언스 전년 동기 매출 합산)·농협케미컬·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의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농약 제조회사와 몇몇 원제사를 통해 자체 집계한 ‘2025년 9월 말 기준 주요 7개 농약 회사 매출 현황’[표1]을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조 6137억 원보다 327억 원(2.0%) 증가한 1조 6464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 중에 주요 6개 회사(SB성보 제외)의 농협 계통농약 매출총액은 738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560억 원)보다 2.3%(177억 원) 줄었다. 농협 지역본부 자체구매와 제네릭 회사 및 아리품목 등을 포함한 계통농약 전체 매출도 전년 동기(9370억 원)와 비교해 5.4%(508억 원) 줄어든 8862억 원에 그쳤다.[표2] 이에 반해 주요 7개 농약 회사의 시판 매출총액은 9080억 원으로 전년 동기(8594억 원) 대비 5.
최근 작물보호제유통협회와 농협중앙회가 농약 유통질서 문란 행위에 공동 대응하자는데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일선 농가들의 벼 재배 농약 구입처 조사 결과가 발표돼 명암이 교차하고 있다. (사)한국농자재시험연구기관협회(회장 이광하)가 실시한 ‘2023년도 벼 농약사용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농가의 84.3%가 지역농협에서, 15.7%가 시중 농약판매점에서 수도용 농약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용 약제와 달리 특히 수도용 농약은 정부 보조사업과 자체 지원사업 등으로 농협이 행정 편의성과 가격경쟁력에서 월등히 앞선 결과로 봐야 한다는 것이 일선 관계자의 분석이다. 농약사용은 총 7.8회 살포하였으며, 용도별로는 살충제가 2.7회로 가장 많았다. 평균 농약 살포일수는 4.5일로 조사됐고, 단위 면적당 사용량은 ha당 2.6kg으로 나타났다. 107가지 성분의 269종의 농약이 사용됐고, 가장 많이 사용된 농약은 제초제 뷰타클로르 약제로 나타났다. 벼 재배 ‘107성분·269약제’ 사용 한국농자재시험연구기관협회(KARO)는 2023년도 벼 재배기간 동안 농약사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8개도 58개 시군의 주요 생산지에서 380농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