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9월부터 포레이트·에토프로포스 등록취소…생산·사용금지 중국산 제너릭 원제 수급 사실상 불가능… 국내 생산 차질 우려 중국 정부가 환경과 농산물 안전성 개선을 위해 ‘포레이트(Phorate)’와 ‘에토프로포스(Ethoprophos)’ 등 독성이 강한 4가지 살충제의 등록을 취소한다. 특히 ‘포레이트’와 ‘에토프로포스’ 성분 농약은 우리나라에서 ‘싸이메트’와 ‘모캡’ 등의 상표명으로 원예용 토양살충제 시장의 초대형 품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제품이라서 향후 농촌진흥청의 대응과 중국산 원제 수급 문제 등이 관심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 농업농촌부는 최근 “오는 9월 1일 이후 농산물의 안전성과 사람·가축 및 생태환경 보호를 위해 독성이 강한 살충제 ‘포레이트’와 ‘에토프로포스’를 비롯해 ‘이소펜포스-메틸(Isofenphos-methyl)’, ‘이소카르보포스(Isocarbophos)’ 등의 등록을 취소하기로 결정했다”고 현지언론을 통해 발표했다. 다만, 중국 정부는 등록취소 결정 이전(2022.9.1.)에 합법적으로 생산된 제품은 품질보증 기간 내에서 판매 및 사용을 허가하되 2024년 9월 1일부터는 전면 금지키로 했다. 중국 2017년부터 고독성 살충제
중국 농업농촌부는 오는 9월 1일부터 포레이트(Phorate), 이소펜포스-메틸(Isofenphos-methyl), 이소카르보포스(Isocarbophos) 및 에토프로포스(Ethoprophos) 등 독성이 강한 4가지 살충제의 등록취소 및 생산을 금지한다. 중국 농업농촌부는 최근 농산물의 품질과 안전은 물론 사람, 가축 및 생태 환경 보호를 위해 이들 4종의 살충제 등록을 취소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지금까지 합법적으로 생산된 제품은 품질보증 기간 내에서 판매 및 사용이 가능하지만 2024년 9월 1일부터는 판매 및 사용이 금지된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포레이트’와 ‘에토프로포스’가 등록돼 있다.
바나나 나무 섬유로 만든 종이 주머니로 감자 선충을 방제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NC State) 연구진은 일명 ‘바나나 종이’로 감자 종구를 감싸서 심을 경우 토양 선충의 부화를 방해하고 감자 뿌리에 달라붙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통해 감자 수확량을 최대 5배 증가시키고 농약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실험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AgPages에 따르면 NC State 연구진은 캐냐의 선충류가 만연한 감자 농장에서 소량의 아바멕틴(일반적으로 토양에 살포하는 량의 5000분의 1)을 처리한 ‘바나나 종이’에 감자 종구를 감싸서 심었을 때와 종이 없이 심었을 때의 수확량 비교 실험을 진행했다. NC State 연구진은 이 실험을 통해 ‘바나나 종이’가 어린 감자 식물의 뿌리에서 방출되는 주요 화합물에 달라붙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그 중 일부는 식물에 유익한 토양 미생물을 끌어들이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선충도 이러한 화합물에 민감하게 반응했으며, 화합물의 94%를 흡수하는 ‘바나나 종이’를 사용해 선충의 알을 삼출물에 노출시켰을 때 종이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부화율이 85% 감소하는 효과를 얻었다. NC State의
이병호 한국농어촌공사 제11대 신임사장이 이달 4일 취임했다. 신임 이병호 사장은 취임 이틀째인 5일 산불로 인한 경북 울진군 북면 석호항 어촌뉴딜사업 피해현장 일대를 긴급 방문해 피해 현황을 보고 받고 향후 대응방안을 지시하는 등 현장 행보를 이어갔다. 현장을 방문한 이 사장은 비상근무 중인 직원들을 격려하며 “공사 관리시설로 인한 민간 피해는 없지만, 강풍을 타고 빠르게 확산 중인 이번 산불 상황이 엄중하다”며 “공사가 지원할 수 있는 모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산불 조기진화에 힘을 보태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신임 이병호 사장은 충남 논산 출신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농대 및 농경제 석사를 수료했다. 농식품부 정책보좌관, (사)통일 농수산사업단 상임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지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으로 재임했다. 이병호 사장은 90년대 후반 농식품 유통환경변화에 발맞춰 예냉 전문 영농조합을 경영하고 농식품부 보좌관 시절에는 개방에 따른 119조 규모의 농업농촌 투자계획을 주도하는 등 일선 현장에서부터 정책까지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대표적인 농업 전략통으로 통한다. 아울러 남북 농업문제
중국의 황린 가격이 톤당 3만7700위안(한화 약 732만6200원)으로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중국 현지 농약원제 딜러 등에 따르면, 중국의 2월 넷째 주 황린 가격은 주초 톤당 3만3300위안(한화 약 647만1190원)에서 주말 3만7700위안으로 한주 만에 13.3% 상승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는 121.6%의 가격 인상률을 보이면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중국 농약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황린 가격의 급격한 상승 요인은 춘절 연휴 이후 글리포세이트 생산업체들의 구매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중국 정부가 잠정집계한 지난 2월말 현재 황린 일일 생산량은 약 1885만 톤으로 2월 10일 생산량보다 55만톤이 감소하는 등 상대적으로 공급량 부족 현상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대다수 글리포세이트 생산업체들이 춘절 연휴 이전 황린 재고량을 확보하지 않은 것도 주된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글리포세이트 가격은 하락세가 다시 반등세로 돌아섰으며, 황린 가격 역시 상당 기간 상승곡선을 그릴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중국의 시장분석 전문가들은 향후 인광석 가격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반면, ‘코크스(Cokes, 석탄의 일종)
이병호 한국농어촌공사 제11대 신임사장이 이달 4일 취임한다. 신임 이병호 사장은 충남 논산 출신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농대 및 농경제 석사를 수료했다. 농식품부 정책보좌관, (사)통일 농수산사업단 상임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지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으로 재임했다. 이병호 사장은 90년대 후반 농식품 유통환경변화에 발맞춰 예냉 전문 영농조합을 경영하고 농식품부 보좌관 시절에는 개방에 따른 119조 규모의 농업농촌 투자계획을 주도하는 등 일선 현장에서부터 정책까지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대표적인 농업 전략통으로 통한다. 아울러 남북 농업문제 협력과 친환경 학교급식체계 구축, 가락시장 현대화사업, 농식품 수출 100억불 달성 등 갈등과 이해 조정 능력을 갖춘 혁신적 조직 운영에 능한 적임자라는 평가다. 신임 이병호 사장은 이달 4일 취임 이후 3년 임기의 업무를 시작한다. <이병호 한국농어촌공사 사장 프로필> □ 생년월일 : 1955. 4. 5. □ 출 생 지 : 충남 논산 □ 임 기 : 2022. 3. 4. ~ 2025. 3. 3. □ 학력사항 ○ 1975. 2 경기고등학교 졸업 ○ 2004. 8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
친환경 농산물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안전성’과 ‘건강증진’, ‘품질’ 등을 이유로 꼽았다. 또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가치’에도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친환경 농산물을 구매하지 않는 소비자들은 일반 농산물보다 가격이 비싸고 안전한지 믿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친환경 농산물의 소비자 구매 실태와 인식을 파악해 친환경 농산물의 가치 확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친환경 농산물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 조사는 농진청이 운영하는 전국 소비자 패널 2252명 중 999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1~3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이번 조사에서 친환경 농산물 구매자는 전체 응답자의 78.0%였으며, 구매 이유는 안전성(44.9%), 건강증진(24.7%), 품질 우수(13.7%), 환경 보전(6.4%)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구매하지 않는 이유로는 일반 농산물보다 비싼 가격이 55.9%로 가장 많았고, 품질 차이 미미(13.2%), 안전한지 믿기 어려워서(11.4%) 순이었다.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6.5%가 알고 있다고 답했으며, 같은 가격이면 친환경 농산물을 선호하는
올봄부터 과수원 토양해충 방제를 위한 ‘입제’ 처리가 가능해졌다. 지난 1월 ‘마샬’ 입제와 ‘스퍽’ 입제가 사과·복숭아·자두 과원의 청동풍뎅이 등 토양 해충 방제제로 ‘적용확대’ 등록됐기 때문이다. PLS 시행 이전 상당수의 과수재배농가들은 매년 3월부터 5월 하순까지, 그리고 7월 하순 경에 2~3회 가량의 토양살충제(입제)를 과수원 토양에 처리해 굼벵이와 같은 월동해충의 밀도를 낮추는 방제력을 관행처럼 사용해 왔다. 그러나 PLS 시행 이후 과수원 토양처리 살충제로 등록된 약제(입제)가 없어 월동해충을 사전에 방제할 수 있는 대안을 찾지 못했다. 이 때문에 과수재배농가들은 지난 3년여간 나방류의 밀도와 개체수가 많아져 방제에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2020. 4. 25.일자 ‘과수원은 지금 입제가 필요하다’≫ 사과·복숭아·자두 재배농가들은 지난해 국회와 농촌진흥청에 과수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토양살충제 등록을 요구하는 민원을 제기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권성동 의원(국민의힘, 강원 강릉시)은 지난해 농진청 국정감사에서 과수재배농가들의 민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도 했다. 농진청도 이
올해 농협경제지주의 계통농약 사업은 ‘가격과 수급 안정’에 초점을 맞췄다. 국제 원부자재 가격 급등 등으로 인한 농약 가격과 수급 불안이 상존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농협은 이에 따라 계통농약의 구매방식을 다양화해 가격 안정을 도모하고, 비축물량 확대를 통한 안정적인 공급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2022년 농협 계통구매 농약 정기신청(2022.1.27. 현재) 금액은 7797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신청금액 7090억원과 비교해 707억원(10.0%↑)이 늘었다. ≪관련기사 2022.1.29.일자 7면≫ 올해 농협 계통농약 가격이 지난해 대비 평균 5%대 인상된 점을 감안하더라도 상당한 증가세가 이어졌다.[표1] 농협은 이번 정기신청 이외에도 구매거래처와 계약방법 등을 다양화해 물량 확대와 가격 안정에 주력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농협 지역본부 자체구매 물량까지 더해지면 올해 계통농약사업 최종 목표치는 8500억원에 달하며, 이는 국내 농약시장의 53.1%가 계통농약으로 채워지는 셈이다. 농협은 올해에도 농협케미컬·팜한농·경농·동방아그로·한국삼공·바이엘·신젠타·아다마·한얼싸이언스 등 14개사와 계통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신규 약제
중국이 농약 산업 발전을 위한 국가적 프로젝트를 가동했다. 화학농약 생산량을 줄이는 대신 생물농약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중국 농림부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은 지난달 29일 농약 생산을 엄격히 통제·관리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농약 산업발전 5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AgPages에 의하면, 중국은 향후 ‘농약산업 발전계획’에 따라 농약의 생산과 유통, 생산공정 최적화, 제품 업그레이드, 생물농약 연구개발 등에 대해 정부 차원의 예측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다. 중국의 ‘국가 제14차 5개년 계획’에 따라 추진되는 이번 ‘농약산업 발전계획’에는 중국 농림부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이외에도 과학기술부, 산업정보부, 생태환경부, 국가시장규제국, 국가식품전략비축국, 국가임업초지국 등이 참여하고 있다. 중국은 앞으로 ‘더 크고 강력하며 경쟁력 있는’ 농약 제조업체 육성을 위해 농약산업의 합병, 구조 조정, 변형 및 업그레이드를 가속화 하기로 했다. 우선 2025년까지 사업 규모가 50억 위안(한화 약 9425억원) 이상인 10개 기업과 10억 위안 이상인 50개 기업, 5억 위안 이상인 100개 기업을 적극 육성하고, 농약 제조업체의 사업 규모도 10% 이상 끌
지난해 주요 농약회사 매출은 7.9% 가량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농협 계통농약도 지역본부 자체구매를 포함해 총 802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했다. <영농자재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국내 주요 8개 농약회사의 2021년 매출 규모는 1조 4198억원으로 추산됐다. 2020년의 1조3153억원과 비교해 1045억원(7.9%) 가량 늘었다. [표1] 또한 농협 계통농약 매출도 8029억원(Minor회사 포함)으로 2020년(7442억원)과 비교해 7.9%(587억원)가 증가했다. 농협의 이같은 매출액 중 계통구매액은 6984억원으로 전년(6537억원)보다 6.8% 증가했으며, 지역본부 자체구매액은 1044억원으로 전년(905억원)보다 15.4%가 크게 늘었다. [표2] 주요 8개 농약회사별 매출액을 보면 △팜한농이 2020년(3444억원)보다 298억원(8.7%)이 늘어난 374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농협케미컬은 전년(2628억원) 대비 147억원(5.6%)이 증가한 2775억원의 매출로 한해를 마감했다. 또 △경농은 2020년 매출(1925억원)보다 216억원(11.2%)이 많은 2142억원을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매
2022년 농협 계통농약 정기신청 금액은 7797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신청금액 7090억원과 비교해 707억원(10.0%)이 증가했다. 농약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2022년 농협 계통농약 정기신청 금액의 증가세는 무엇보다 계통가격 인상분이 반영됐기 때문”이라며 “특히 농협 계통농약은 통상적으로 연중 추가발주와 지역본부 자체구매가 더해지기 때문에 올해 말 계통농약 사업실적은 9000억원대에 육박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동안 농협 계통농약사업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 왔다. 신청금액 기준으로 지난 2013년 5388억원에서 2014년 5854억원, 2015년 5857억원, 2016년 6146억원, 2017년 6204억원에 이어 2018년에도 6559억원으로 급신장 했다. 다만, 2019년에는 계통농약 가격의 대폭 인하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138억 원이 줄어든 6421억 원을 기록했으며, 2020년 6694억원, 2021년 7090억원으로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다. 2022년 농협 계통농약 정기신청 마감일인 이달 27일 현재 참여업체별 신청금액[표]을 보면 △농협케미컬은 2295억원으로 전년(2161억원)대비 134억원(6.2%)이 증가해 전체
전 세계 제초제 소비량은 오는 2050년까지 아시아에서 가장 큰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중남미 지역의 국가들도 제초제 수요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아울러 세계 상위 20개 제초제 성분이 전체 시장의 5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17개 성분이 선택성 제초제로 알려져 있다. AgPages에 의하면, 제초제를 사용하는 주요 작물은 곡물, 콩, 옥수수, 쌀, 사탕수수 등으로 꼽힌다. 플루미옥사진(Flumioxazin),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클로마존(Clomazone), 설펜트라존(Sulfentrazone)은 다양한 작물의 발아전 제초제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설펜트라존 기술의 주요 수출국 중 하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인도가 설펜트라존의 생산 중심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농약(작물보호제)은 매년 해충, 질병, 잡초로 인한 농작물 수확량 손실의 약 50%를 막아주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800여 개의 농약이 등록돼 있다는 사실은 그동안 농약산업이 발전해 온 속도를 입증하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더 새롭고 더 맞춤화된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인류는 식량
2022년도 농협 계통농약 가격은 전년 대비 평균 5%대 초반 수준에서 인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다만, 비선택성 제초제의 경우 수급관리 차원에서 별도의 인상률을 적용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농협중앙회는 올해 농협 계통농약 가격 ‘시담’에서 농약회사들이 마지노선으로 제시했던 평균 5%대 초반 수준의 인상률을 수용하기로 하고, 오는 17일까지 최종 가격 결정과 구매납품 계약을 체결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농자재신문> 취재 결과를 종합하면, 농협 경제지주와 농약회사들은 2022년도 사업분 계통농약의 원가요소별 인상률을 반영해 평균 5%대 초반 수준에서 가격을 인상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원제 가격이 폭등하고 물량수급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비선택성 제초제 50여개 품목에 대해서는 별도의 가격협상을 통해 인상요인을 최대한 수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국내 농약제조회사들은 이번 농협 계통농약 가격 시담에서 원제 가격과 부자재 가격 급등을 비롯해 유가, 물류비, 환율 인상분 등 원가요소별 가격 인상률 반영을 강력히 주장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2021. 12. 12일자 ‘농협계통 농약가격 최소 5%대 가격인상이 마지노선’ 참조》 그도 그럴 것이
산림청이 소나무재선충 훈증용 방제약제(메탐소듐 42% 액제)의 2022년도 사업분 공급사업자를 공개입찰 방식을 통해 선정하기로 한 가운데 수급 불안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뒤따르고 있다. 산림청은 최근 소나무재선충 훈증용 방제약제인 ‘메탐소듐 42% 액제’의 공급사업자 선정을 위해 ‘조달물자(물품) 구매입찰 공고’를 냈다. 산림청의 이번 ‘메탐소듐 42% 액제’ 구매입찰 공고에 의하면, 입찰 마감일은 이달 11일이며 △농약판매업자 △농약제조업자 △농약수입업자 모두에게 입찰 참가 자격을 부여했다. 단, 제조(수입)업체는 ‘품목등록증’을 입찰참가자격등록 마감일까지 제출해야 하고, 공급업체(농약판매업자)는 제조(수입)업체의 ‘공급확약서’와 ‘공급확약서의 제조(수입)품목허가(신고)증 사본’을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올해 처음으로 ‘메탐소듐 42% 액제’의 공개입찰 방식을 도입한 배경에 대해 “지난해까지는 ‘메탐소듐 42% 액제’ 공급사업자가 1곳뿐이었기 때문에 수의계약 방식을 취했으나, 올해엔 2곳으로 늘어 공개입찰 방식을 채택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산림청의 이러한 방침에 대해 여러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선 입찰참
올해 9월 말 현재 주요 7개 농약 회사의 총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평균 2.0%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이들(팜한농·농협케미컬·경농·동방아그로·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SB성보) 중에서 경농·동방아그로·SB성보의 매출은 순증한 반면, 팜한농(바이엘크롭사이언스 전년 동기 매출 합산)·농협케미컬·한국삼공·신젠타코리아의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농약 제조회사와 몇몇 원제사를 통해 자체 집계한 ‘2025년 9월 말 기준 주요 7개 농약 회사 매출 현황’[표1]을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조 6137억 원보다 327억 원(2.0%) 증가한 1조 6464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 중에 주요 6개 회사(SB성보 제외)의 농협 계통농약 매출총액은 738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560억 원)보다 2.3%(177억 원) 줄었다. 농협 지역본부 자체구매와 제네릭 회사 및 아리품목 등을 포함한 계통농약 전체 매출도 전년 동기(9370억 원)와 비교해 5.4%(508억 원) 줄어든 8862억 원에 그쳤다.[표2] 이에 반해 주요 7개 농약 회사의 시판 매출총액은 9080억 원으로 전년 동기(8594억 원) 대비 5.
최근 작물보호제유통협회와 농협중앙회가 농약 유통질서 문란 행위에 공동 대응하자는데 의견을 같이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일선 농가들의 벼 재배 농약 구입처 조사 결과가 발표돼 명암이 교차하고 있다. (사)한국농자재시험연구기관협회(회장 이광하)가 실시한 ‘2023년도 벼 농약사용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농가의 84.3%가 지역농협에서, 15.7%가 시중 농약판매점에서 수도용 농약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용 약제와 달리 특히 수도용 농약은 정부 보조사업과 자체 지원사업 등으로 농협이 행정 편의성과 가격경쟁력에서 월등히 앞선 결과로 봐야 한다는 것이 일선 관계자의 분석이다. 농약사용은 총 7.8회 살포하였으며, 용도별로는 살충제가 2.7회로 가장 많았다. 평균 농약 살포일수는 4.5일로 조사됐고, 단위 면적당 사용량은 ha당 2.6kg으로 나타났다. 107가지 성분의 269종의 농약이 사용됐고, 가장 많이 사용된 농약은 제초제 뷰타클로르 약제로 나타났다. 벼 재배 ‘107성분·269약제’ 사용 한국농자재시험연구기관협회(KARO)는 2023년도 벼 재배기간 동안 농약사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8개도 58개 시군의 주요 생산지에서 380농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