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05 (화)

  • 구름많음동두천 10.6℃
  • 흐림강릉 4.5℃
  • 흐림서울 10.4℃
  • 대전 5.9℃
  • 대구 7.2℃
  • 울산 7.6℃
  • 광주 7.0℃
  • 부산 8.6℃
  • 흐림고창 6.1℃
  • 제주 11.5℃
  • 흐림강화 8.8℃
  • 흐림보은 6.3℃
  • 흐림금산 6.1℃
  • 흐림강진군 7.9℃
  • 흐림경주시 7.2℃
  • 흐림거제 8.5℃
기상청 제공

[유민의 農 에세이]기차역 가는 길

-힘듦을 해석하는 법

 

목포에서 택시를 타고 기차역으로 가고 있었다. 거리는 한산했고 택시도 몇 대 보이지 않았다. 기사는 “경기가 안 좋아 빈 택시를 몰고 돌아다니지 않게 된다”고 했다. 또 “택시 콜 시스템이 잘 되어 있어서 굳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고도 했다. 어쩐지 택시 잡기가 힘들었다. 콜을 부르지 않았다면 거리를 마냥 헤매다 기차를 놓쳤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니 안도의 한숨이 나왔다.


기차역이 가까워졌을 때 기사가 말했다.
“저 앞의 장례식장 보이죠?”
“네, 근사하네요.”


답을 해놓고 약간 머쓱해졌다. 장례식장이 근사하다니. 다행히 기사도 동조해 줬다.
“그렇죠? 무슨 성처럼 화려한데다 주차장에 잔디까지 깔고 말예요. 저게 얼마 전까지만 해도 결혼식장였는데 장례식장으로 바뀌었어요.”


결혼식장이 장례식장으로 바뀌다니, 뭔가 의미가 심장했다. 기사가 설명을 이었다.
“사람들이 결혼을 안 하니까 결혼식장이 망한 거요. 그래 장례식장이 된 거지. 저렇게 바뀐 곳이 몇 개 더 있어요.”


아, 대번에 이해가 됐다. 그리고 또 대번에 의문이 떠올랐다. 이제는 죽는 사람들도 줄어드는 시대이니 장례식장은 온전할까? 기사는 그것에 대해서도 답이 준비돼 있었다.


“장례식장도 머잖아 망할 거유. 죽는 사람들이 점점 줄어들고, 상 치를 때도 병원이나 요양원에서 운영하는 장례식장을 이용하니까.”


나이 50이 된 친구들이 모여 이런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우리는 매번 반만 사는 것 같다. 나이 서른 살 때 우리는 인생의 절반을 살았다고, 이제 내리막이라고 말했었지. 십 년 후 마흔이 되었을 때 또 절반이 지났다고 했지. 수명이 60에서 80으로 늘어났으니까. 나이 쉰이 되니까 이번엔 백세 시대라네. 또 절반이야. 곧 예순 살이 되면 분명 수명이 120년으로 늘어날 테고, 그럼 또 반이 남는 거야. 그러니까 우리는 절반 인생이 분명해.”


그래도 우리는 태반이 결혼을 하고 살았는데 요즘은 결혼도 안 하고 무한 인생들을 사는 것 같다. 인간의 수명은 계속 늘어날 테고, 늘어나는 수명은 우리의 예상을 비웃으며 더욱 가파르게 연장될 것이다. 가령 10년 후에는 평균 수명 120년 시대가 올 것이라고 지금 예상하고 있지만, 사실은 훨씬 빨리 수명은 연장되고 노인의 수는 가파르게 늘어날 것이다. 장례식 장사는 결혼식 장사처럼 사양 산업이 될 게 뻔하다.  

  
목포역에 도착했다. 역 근처도 한산한 건 마찬가지이고, 역사도 오래 전 케케묵은 모습이었다. 택시비를 지불하며 “옛날식 역사가 그대로 남았네요” 하고 말했더니, 기사가 “운치 있죠?” 하고 웃었다. 그러며 덧붙였다. “발전이 꼭 좋은 게 아니지라. 힘들다 힘들다 하지만 언제 우리가 안 힘든 적이 있었는가?”


해석이 운치 있었다. 기사의 주름살과 말투를 보니 70세는 훌쩍 넘은 듯했다. 그렇다면 그는 전쟁을 겪고 가난 시대를 지나 새마을운동과 민주화운동과 정보화 사회를 모두 지나 왔을 터. 시대의 온갖 변화를 섭렵하는 동안 쌓인 초연의 미가 느껴졌다. 어찌됐든 그렇다. 죽는 것보다는 사는 게 낫고, 전쟁보다는 평화가 낫다. 불안하게 해석하며 떨기보다는 편안하게 받아들이며 즐기는 게 낫다고, 기사는 택시를 모는 동안 자위하고 안도하는 듯했다. 


그나저나 참으로 궁금하다. 마을마다 공동으로 사용하던 상여와 곳집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