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보호제 시장 사상 최초로 매출액 2조원 시대를 바라보게 됐다. 전문가들은 사실상 전년도 매출액이 1조8300억 여원을 훌쩍 넘긴데다 농협 계통구매 가격이 무려 12%대로 급등한데 힘입어 어느 해보다 매출액 2조원 돌파에 대한 기대가 컸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실제 시장 성장률은 가격인상률의 절반을 상회하는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도 5.6%의 가격 인상률 대비 3배가 넘는 14.0%의 매출액 증가율을 보인 것과 사뭇 상반되는 결과다. 가격 인상을 염두에 둔 농가들의 선 구매물량 증가로 인상 이후 소비가 실재(實在)에 미치지 못한 사례 등을 업계는 원인으로 분석하는 분위기다. 아쉬움과 함께 후년을 기약해야 했지만 그럼에도 매출액 2조원 시대는 사실상 도래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작물보호제 시장의 제반 열악한 환경을 고려할 때 이 같은 성과가 가능한 배경은 무엇보다 영농 필수자재로서 ‘선택적 사용 불가 수단’임을 여실히 보여준 반증일 것이다. 이로써 해에 따라 부침(浮沈)을 반복해 온 출하량은 3년 연속, 매출액은 4년 연속 성장을 견인한 셈이 됐다. 지난 2020년 1만7132톤의 출하량을 기록, 전년도
농협경제지주가 중앙본부의 계통구매 농약과 별도로 지역본부에서 자체 구매하는 농약에 대해 ‘경쟁입찰 제도’를 신규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경쟁입찰 제도’ 도입을 주요 골자로 하는 농협경제지주의 농약계통사업 ‘구매제도 개선계획(안)’에 따르면, 농협조직이 취급하는 농약의 구매방식을 다양화해 구매가격을 낮추고 투명성을 높여 계통농약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하지만, 그 저간에는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지난 3월 11일 취임 이후 “비료는 농협이 80% 이상 취급하고 있는데, 농약은 왜 그렇게 못하느냐”는 문제 제기와 함께 부여한 “농약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숙제 풀이가 ‘진짜 이유’로 깔려있다고 보고 있다. 그동안 농협중앙회는 조합장 출신 중앙회장이 취임할 때마다 ‘농약 가격’이 도마 위에 오르곤 했다. 맨 처음 조합장 출신 중앙회장이었던 정대근 전 회장은 다소 예외적이었으나 그 이후 최원병·김병원·이성희 전 회장 모두 취임 직후 단골 메뉴는 ‘농약 가격’이었고, 강호동 회장이 취임하면서 그 강도가 아주 쎄졌다는 후문이다. 농협경제지주는 강호동 회장이 취임한 지난 3월 이후 계통농약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매제도 개선계획(안)을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