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이 처음으로 계통농약 ‘매출 1조원 시대’를 예고(본보 178호, 2024.2.16.)한 가운데 그 실현 가능성과 적정성에 대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농협경제지주는 올해 계통농약 매출 ‘1조 1400억원 달성’을 목표로 농협조직의 계통 이용률을 90%까지 끌어올리고, 국내 농약 전체시장의 65%를 계통농약으로 채운다는 사업계획을 제시했다. 눈에 띄는 방식은 원예용 농약의 계통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난해 기준 국내 농약시장(1조 7500억원)의 37%를 차지하는 시판용 원예농약(6470억원)을 계통농약으로 흡수, 농협 전체 계통공급액을 지난해 9706억원(55%)에서 올해는 1조 1400억원(65%)으로, 2025년은 1조 3000억원(75%)으로, 2026년에는 무려 1조 4000억원(85%)으로 해마다 10%씩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사실상 ‘농협주도 농약시장으로의 개편’을 완성하겠다는 빅 픽처다. 물론 이 같은 2026년까지의 3단계 구상이 쉬이(easily) 실현될지는 지켜볼 일이지만, 여건상 실현 불가능한 것도 아니라는 것이 보편적 시각인 것 같다. 일선 시판상 입장에서 보면 악몽과도 같은 흑빛 미래 구상으로 여겨질 것이
진짜 물건과 비슷하게 만든 물품은 유사품(類似品)이라 부른다. 겉으로는 비슷하나 본질은 완전히 다른 가짜는 사이비(似而非)라 부른다. 고급 브랜드의 상품을 모방하여 만든 가짜 상품을 속되게 이르는 말은 짝퉁이다. 모조품은 이미테이션(imitation)이라 부르고, 오리지널(original)의 비표준어는 가리지날이다. 이처럼 쓰임새와 의미는 다르지만, 원조(元祖)와 오리지널의 효능과 모습을 흉내 내려는 시도와 모습은 다양하고 눈물겹다. 때로는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가짜의 자태로 위용을 뽐내기도 하지만 영향은 대부분 부정적이다. 하지만, 이들의 등장으로 가격경쟁력이나 희소성 완화, 대체재로서의 지위 등 긍정적 요소가 없지 않다는 측면에서 이면(異面)의 긍정적 시각도 존재하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그러나 농식품과 연계된 농자재 안전성 분야에서의 이들의 등장은 합·불법 문제와 함께 또다른 차원의 문제가 대두된다. 먹거리 생산과 직접 결부되기 때문이다. 밀수 농약 이야기다. 그간 수면 위로 부각 되지 않아 불식되는 듯 기억 저편에 머물러 있었던 보따리상 등을 통한 밀수 농약 사용이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있는 양상이다. 농약은 정상 등록 농약 이외의 약제를, 방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