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산석고 토양개량 효과 탁월…활용방안 주목

  • 등록 2018.03.04 20:32:40
크게보기

현해남 교수, 인산석고 자원화 강조
가격 싸고 칼슘·유황 동시시비 가능

폐기물로 등한시 했던 인산석고(부산물 석고)의 토양개량제 활용을 위한 제도개선 필요성이 대두됐다.


현해남 제주대학교 교수는 지난달 23일 남해화학 주최로 농협중앙회 본관 대강당에서 열린 ‘인산석고의 효능 및 활용방안 심포지엄’에서 ‘토양개량제 자원으로서의 인산석고’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현 교수는 이날 “그동안 인산석고는 폐기물 정도로 인식해 왔으나 현재 산업·의료·농업용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며 “염기성토양 개선, 알루미늄 저감 효과 등이 뛰어나 토양개량제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현 교수는 특히 “농업인들은 토양개량 작용뿐만 아니라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토양개량제를 요구하고 있는 만큼 인산석고를 활용한 토양개량제가 그 답이 될 수 있다”며 “인산석고는 염기성토양 및 심토·표토의 pH를 개선하고 칼슘 함량을 증대, 알루미늄 저감 효과까지 나타내 기존 토양개량제보다 효능이 뒤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행 토양개량제 지정 정책은 단순히 알카리분 함량 기준만을 평가해 더욱 다양한 작물에 쓰일 수 있는 신규 토양개량제의 지정을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인산석고의 토양개량제 활용을 위해서는 제도개선이 뒷받침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 교수는 이와 관련해 “품질 향상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인산석고의 효능이 인정될 수 있는 신규 토양개량제 지정 여건 및 정책이 필요하다”며 “알루미늄 제거 및 심토·표토 개량 효과 등 산성토양 개량 관련 요인을 반영해 토양개량제가 지정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김계훈 서울시립대학교 교수의 ‘인산석고의 활용’ △류진희 농촌진흥청 박사의 ‘인산석고의 작물생육 및 수량 증대 효과’ △이승헌 한국농어촌공사 박사의 ‘인산석고의 간척지 토양에 미치는 영향’ 등의 발표가 있었다.

관리자 기자 newsfm@newsfm.kr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영농자재신문(주) 서울시 광진구 구의강변로3가길 33 (구의현대7단지 상가동) 303호 발행ㆍ편집인 : 이은원 | 전화번호 : 02-456-1005 ㅣ 팩스 : 02-456-2060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