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올해 8월에만 농약 501개 제품 신규 등록

  • 등록 2025.10.01 09:32:02
크게보기

ICAMA, 고순도원제(TC) 23개와 수출 전용(TC/TK) 5개 원제 승인
신규 등록 원제 중 ‘플루오피람’·‘글루포시네이트-피’ TC 등에 집중
501개 등록 제품엔 23개 제형 포함…SC 제형이 전체의 40% 차지
303개 농약 제조업체 중 8개사가 5개 제품 이상 등록…전체의 10%

중국은 올해 8월 한 달 동안 총 501개 농약 제품의 등록을 승인했다. 서로 다른 유형의 농약 신규 등록 수는 아래[그림1]와 같다.

 


 

ICAMA(중국농업부농약등록)에 따르면, 이 기간에 총 23개 농약 고순도원제(TC:Technical material)와 일반원제(TK) 제품이 포함되었으며, 그중 Indaziflam(인다지플람), Cinmethylin(신메틸린), Mesotrione(메소트리온) 및 Glyphosate potassium salt(글리포세이트 칼륨염) 등 5개는 수출 전용 TC/TK 제품이다.[표]

 


또한 신규 등록 원제 28개 중에서는 Fluxapyroxad(플루오피람) 원제(TC)에 4개의 등록이 추가되었고, Fluxapyroxad(플룩사피록사드), Metamifop(메타미포프), Glufosinate-P(글루포시네이트-피)에 각각 2개의 원제(TC) 등록이 추가됐다.


이외에도 Pyroxasulfon(피록사설폰), Glufosinate-P(글루포시네이트-피), Picoxystrobin(피콕시스트로빈), Pinoxaden(피녹사덴), Spirodiclofen(스피로디클로펜), Sulfentrazone(설펜트라존), Topramezone(토프라메존), Trifloxystrobin(트리플록시스트로빈), Indaziflam(인다지플람), Chlorantraniliprole(클로란트라닐리프롤), Cinmethylin(신메틸린), Cyantraniliprole(사이안트라닐리프롤), Flonicamid(플로니카미드)에 각각 1건의 고순도원제(TC) 등록이 추가됐다. 또한 Mesotrione(메소트리온) 일반원제(TK) 2건과 Glufosinate(글루포세네이트) TK 1건, Glyphosate potassium salt(글리포세이트 칼륨염) TK 1건도 추가됐다.


주성분별 등록 현황을 보면, 이번에 등록된 501개 농약 제품은 총 192개 주성분을 포함하며, 이는 308종의 농약에 함유된다. [그림2] 이 가운데, 7개 주성분의 등록 건수가 20건 이상으로 전체의 20.09%를 차지했고, 25개 주성분은 등록 건수가 10건 이상으로 전체의 47.56%를 차지했으며, 54개 주성분은 등록 건수가 5건 이상으로 전체의 69.23%를 차지했다.

 


또한, 192개 주성분 가운데 Clothianidin(클로티아니딘)은 신규 등록 2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Chlorantraniliprole(클로란트라닐리프롤), Fluopyram(플루오피람), Tebuconazole(테부코나졸), Pyraclostrobin(피라클로스트로빈), Abamectin-aminomethyl(아바멕틴-아미노메틸), Glufosinate-P(글루포시네이트-피)가 각각 20건 이상으로 뒤를 이었다.


이번에 등록된 501개 농약 제품에는 23가지 제형을 포함하고 있다.[그림3] 그중 액상수화제(SC)가 200건으로 전체의 39.92%를 차지했으며, 액제(SL) 67건(13.77%), 유제(EC) 53건(10.58%), 유상현탁제(OF)와 입제(GR)가 각각 27건(5.39%), 고순도원제(TC:Technical material) 23건(5.39%)이었다.


이외에도 수용성입제(WDG) 20건을 비롯해 미탁제(ME)와 종자처리액상수화제(FS)가 각각 15건, 유탁제(EW) 11건이 등록됐으며, 유현탁제(SE), 수용성입제(SG), 수화제(WP), 원제(TK:Technical concentrate), 연무제(AE), 수용제(SP), 캡슐현탁제(CS) 제형도 소수 등록됐다.

 


중국은 2025년 8월에 총 303개 농약 제조사가 신규 제품을 등록했으며, 이중 5건 이상을 등록한 제조사는 8개사로 전체의 10%를 차지하고, 3건 이상 등록한 제조사는 45개사로 전체의 34%를 차지했다.


등록 대상 작물은 곡류의 경우, 주로 밀, 벼, 논(직파, 이앙), 옥수수, 콩을 포함하고, 그 밖의 적용 작물에는 면화, 땅콩, 감귤, 차와 같은 경제작물을 비롯해 배추, 부추, 토마토, 고추 등 채소류와 수박, 참외, 포도, 바나나 등의 과수류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비농경지와 가정원예용 제품도 상당수 등록됐다.[그림4]

 


이번에 등록된 제품 중에서 △제초제는 일년생 잡초, 화본과 잡초, 광엽잡초, 방동산이과 잡초를 중심으로 등록되었고, △살충제는 진딧물류, 담배거세미나방, 벼잎말이나방, 뿌리혹선충, 굼벵이류, 총채벌레, 작은뿌리파리, 배추좀나방, 응애류, 바퀴벌레를 대상으로 등록됐다.


또 △살균제는 주로 키다리병, 흰가루병, 세균성모무늬병, 녹병, 벼도열병, 뿌리썩음병, 시들음병, 탄저병, 벼잎집무늬마름병, 잿빛곰팡이병, 이삭누룩병, 무름병, 노균병 방제용으로 등록됐다. 이와 더불어 일부 제품은 식물생장조정제로, 또 일부는 위생해충(파리, 모기) 방제용으로 등록됐다.[그림5]

 


한편, 중국의 농약 등록 현황은 AgPages에서 제공하는 ‘China Pesticide Registration Watch’(https://data.agropages.com/Default-883-55372.html)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차재선 기자 cha60@newsfm.kr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영농자재신문(주) 서울시 광진구 구의강변로3가길 33 (구의현대7단지 상가동) 303호 발행ㆍ편집인 : 이은원 | 전화번호 : 02-456-1005 ㅣ 팩스 : 02-456-2060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