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숭아 탄저병 적기방제 ‘주의보’

  • 등록 2016.06.10 16:16:36
크게보기

봉지 씌우지 않으면 50%는 발병

복숭아 봉지씌우기를 하지 않는 농가에 탄저병이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진흥청은 복숭아 관리 병해인 탄저병 발생시기가 다가와 봉지를 씌우지 않고 복숭아를 재배하는 농가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복숭아 탄저병은 과일 껍질에 발생해 농가에 경제적 피해를 주는 주요 병해로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의해 발생한다.<사진> 병원균의 적정 생장온도는 25℃∼28℃이며 비가 잦으면 더 많이 발생한다.


탄저병은 주로 과실에서 발생하는데 과실 표면을 함몰하며 병이 진행된다. 과실 내부는 갈색으로 변하고, 표면에는 주황색 혹은 분홍색의 분생포자가 형성된다.


지난해 8월 농진청 조사 결과, 복숭아 과실에 봉지를 씌운 농가는 탄저병이 2% 정도 발생한 반면, 봉지 씌우기를 하지 않은 농가에서는 50% 정도 발생했다. 복숭아 탄저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전년도에 감염된 과실을 과원에서 없애 탄저병균의 밀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탄저병 예방을 위해 봉지 씌우기를 실시하는 복숭아 재배농가는 봉지를 씌우기 전 살균제를 1회∼2회 정도 뿌리고 탄저병이 발생했다면 발생 초기 살균제를 10일 간격으로 3회 이상 뿌려야 하며, 비가 오기 전 살균제를 뿌리면 탄저병균의 감염을 막을 수 있다. 


또 장마기 이후에 집중적으로 탄저병이 발생하는데 이때 탄저병균이 빗물을 타고 과실 안으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장마기 전·후로 방제해야 한다. 현재 복숭아 탄저병 방제용으로 등록된 살균제는 약 17종으로, 동일한 계통을 반복적으로 뿌리는 것보다 2가지 이상의 계통을 번갈아 가면서 뿌리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관리자 기자 choubab@naver.com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영농자재신문(주) 서울시 광진구 구의강변로3가길 33 (구의현대7단지 상가동) 303호 발행ㆍ편집인 : 이은원 | 전화번호 : 02-456-1005 ㅣ 팩스 : 02-456-2060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