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키다리병 발생 줄었다

  • 등록 2016.06.10 16:08:05
크게보기

3년 전의 반 수준…그래도 예방 철저히



체계적인 방제 등으로 키다리병 발생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벼 못자리에 발생하는 키다리병, 잘록병, 뜸모 등 병해 발생상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 3년 전과 비교했을 때 대폭 감소했다고 밝혔다.


올해 5월 상순부터 2주간 전국을 대상으로 못자리에 발생하는 키다리병, 잘록병, 뜸모를 조사한 결과 키다리병은 2016년에 2014년보다 평균 56% 감소했으며, 특히 충북과 전북, 경북지역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했다.


농진청은 벼 키다리병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체계적인 방제 정보를 지자체에 적기에 제공했으며, 공동육묘장과 농업인을 대상으로 감염된 종자를 사용하지 않고 온탕소독과 소금물가리기를 철저히 하도록 매년 교육을 실시한 결과 전국에 피해를 줄이게 됐다는 설명이다.


벼 키다리병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못자리나 본 논 초기에 병에 걸린 포기는 발견 즉시 제거하고, 또한 출수기에 화기(꽃 그릇)로 감염하기 때문에 종자 생산 포장은 아족시스트로빈·페림존액상수화제 등 적용약제를 사용해 방제해야 한다.


김기수 농진청 재해대응과 지도관은 “벼 키다리병이 발생하면 정상적인 벼보다 키가 1.3배 정도 웃자라게 되고 병이 발생한 벼는 이삭이 올라오지 않고 잘 여물지 못해 수량이 감소하므로 파종 전 단계에서부터 철저한 관리로 사전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발생이 줄어들었지만 내년에도 예방은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리자 기자 choubab@naver.com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영농자재신문(주) 서울시 광진구 구의강변로3가길 33 (구의현대7단지 상가동) 303호 발행ㆍ편집인 : 이은원 | 전화번호 : 02-456-1005 ㅣ 팩스 : 02-456-2060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