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농약의 경시변화 시험 방법과 물리성 검사 방법 등 이화학 검사 방법을 개선해 사용자 중심으로 편의를 확대하기로 했다.
우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시료를 최초 1회 분석 후 54±2℃ 항온기에 2주 간격으로 집어넣어 6주가 되는 시점에 모두 꺼내 한꺼번에 분석하는 방법을 인정하기로 했다.
기존에는 54±2℃에서 2주일 시험한 성적을 약효 보증 기간을 1년으로 간주하는 가열안정성시험으로 대체해 왔다. 약효 보증 기간이 3년이면 54±2℃ 항온기에서 시료를 보관 후 2주 간격으로 3번(6주차) 해당 시료를 꺼내 분석한 뒤 총 4회 분석한 성적(투입 전 분석 포함)을 제출하도록 해왔다.
이에 4회에서 2회로 분석 횟수가 줄면서 시간과 비용도 크게 줄었다.
또한, 유제와 액제 농약의 저온안정성 시험 방법도 주성분과 물리성 항목 검사에서 물리성 항목만 검사하도록 개선했다.
다만, 검사 대상은 분산성 액제와 직접 살포 액제, 미탁제 등 저온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모든 제형으로 확대해 겨울철에 농약을 취급할 때 농업인이 불편하지 않도록 했다.
이와 함께 물리성 검사에서는 대립제의 박리율·세립제의 입자 수·온도 조건 완화 등 불필요한 항목을 삭제했으며, 저장안정성·점도 등에 대한 지침을 제시해 시료의 붕괴와 변형 유무를 확인하게 하는 등 농업인에게 꼭 필요한 조건을 추가했다.
개선된 농약 검사 방법은 올해 12월 중으로 행정예고를 거쳐 시행할 예정이다. 이 방법을 시행하면 농약 자체 검사 시간이 줄어 더 빠르게 농업 현장에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홍수명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자재평가과 과장은 “이번 검사 방법 개선은 농약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 시행을 앞두고 농업인과 농약업계 등 현장에서 제기돼 온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시간과 비용 절감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경시변화 시험 방법
(현행) 최초 분석하여 시료 일괄보관 후 2주 간격으로 시료를 꺼내 총4회 분석
| | | | | | | | | | |
| 최초 시료 분석 및 보관 개시 | | | 2주 보관 후 분석 | | | 4주 보관 후 분석 | | 6주 보관 후 분석 | |
| | | | | | | | | | |
| 최초 동일모집단 시료 3병 분석 및 총 시료 9병(3회×3반복)을 항온기(54±2℃)에 투입 |
| | 2주 후 9병중 3병을 항온기에서 꺼내 분석 후 경시변화 확인 |
| | 4주 후 남은 6병중 3병을 항온기에서 꺼내 분석 후 경시변화 확인 |
| 6주 후 최종 남은 3병을 항온기에서 꺼내 분석 후 경시변화 확인 | |
| | | | | | | | | | |
(개선) 최초 분석 후 2주 간격으로 시료를 항온기에 투입 후 종료시점에 일괄분석(총2회)하는 방법도 추가인정
| | | | | | | | | | |
| 최초시료 분석 및 보관개시 | | | 2주 후 시료 투입 | | | 4주 후 시료 투입 | | 6주 후 보관시료 일괄 분석 | |
| | | | | | | | | | |
| 최초 동일모집단 시료 3병 분석 및 6주간 보관할 시료 3병을 항온기(54±2℃)에 투입 |
| | 항온기에 4주간 보관할 시료 3병 추가 (총6병) |
| | 항온기에 2주간 보관할 시료 3병 추가 (총9병) |
| 최종 보관시료 9병을 항온기에서 꺼내 일괄 분석 후 경시변화 확인 | |
| | | | | | | | | | |
☞ 경시변화시험 : 약효보증기간 설정을 위한 시험으로 학대조건(54±2℃)에서 2주간을 1년으로 간주 6주간 성분함량에 이상 없을 시 3년 설정 |
□ 저온안정성 시험
○(현행) 0±2℃에서 7일 보관 후 주성분 및 물리성 검사
- 대상제형 : 유·액제 제형
○(개선)주성분 변화 거의 없고 물리성 확인이 주목적이므로 주성분 분석 항목 삭제
- 대상제형 : 액체형태의 모든 제형으로 확대적용(분산성액제, 직접살포액제, 미탁제 추가)
□ 물리성 검사 방법
○(수정) pH, 확산성, 가비중, 수분, 현수성, 표면장력 등
항목 | 현 행 | 개 정 (안) | 사 유 |
pH | ▪20% 수용액으로 측정 | ▪액상제제 : 1% 희석 ▪고상제제 : 5% 희석 | ▪제제에 따라 희석농도 수정 |
확산성 | ▪무게 0.1 ~1.15g ▪입자를 투여 ▪사각의 용기(20㎝×15×8) | ▪제제에 따른 적정무게 ▪시료를 투여 ▪사각의 적정용기 | ▪제제에 따른 무게 및 용기다양화 반영 |
가비중 | ▪80mesh | ▪제제에 따른 적정 mesh | ▪제제 다양성 반영 |
수분 | ▪가열건조법 (100℃이상 미분해 제품) ▪적정법 | ▪적외선 수분검사법 추가 | ▪현대화 장비수용 |
현수성 | (생략) | ▪CIPAC분석법 수용 | ▪분석법 국제적 조화 |
표면장력 | ▪액체의 온도를 15℃로 항온시킨 후 Ring Method | ▪표면장력계로 측정 | ▪현대화 장비 수용 |
기타 | 유화성, 수용성, 수화성, 수중붕괴성, 수중분산성, 분말도, 수중붕괴성 등 | 각 항목 시료량, 온도조건 등 일부문구 조정 | |
○(삭제) 세립제 검사항목 중 입자수, 대립제 검사항목 중 박리율
○(추가) 저장안정성, 수중부상성, 점도, 박리율, 평균입경, 기화도 등 누락항목 방법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