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스타, 바이엘에서 손 놓을까?

  • 등록 2017.07.12 13:05:08
크게보기

바이엘(바스타)과 몬산토(근사비) 합병
‘전멸제초제’ 독과점 규제…매각 대상
“신젠타·바스프, ‘바스타’에 관심 표명”

 

글로벌 바이엘이 생산·판매하는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상표명 바스타, 이하 바스타)’이 매각 자산으로 시장에 나온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경제지 블룸버그는 최근 바스프와 신젠타가 바이엘-몬산토의 합병 과정에서 독과점 규제 등으로 매각해야 하는 사업 분야에 예비 관심을 표명했다고 보도했다.


바이엘은 지난해 몬산토를 인수합병하기로 결정하고 국제적인 규제 당국들의 승인을 얻는 절차를 밟고 있다. 이 과정 중에 남아프리카공화국 규제당국이 바이엘과 몬산토의 합병승인 과정에서 바이엘의 두 브랜드 매각을 요구했다는 소식이다.


두 브랜드는 리버티허비사이드와 리버티링크이다. 리버티허비사이드는 제초제를 생산하며 리버티링크는 농업용 유전자를 생산하고 있다. 바스타는 이 리버티허비사이드에 포함된다.


바이엘이 몬산토와 합병하게 되면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전세계적인 비선택성제초제인 바스타와 근사미를 모두 소유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독과점이라는 규제 당국들의 판단 아래 매각 요청이 일어난 것.


국내에서는 그러나 바이엘의 ‘바스타’ 매각이 아직은 ‘계획에 없는 일’이다. 바이엘코리아 관계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일부 요청이 있을 뿐 한국에는 어떤 영향도 없다”고 못박았다. 다만 바이엘코리아 외부에서는 ‘바스타’ 매각이 바이엘 전체의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바스프와 신젠타가 바이엘의 매각 사업에 관심을 표명하기는 했으나 실질적으로 ‘바스타’를 매입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EU에서는 ‘바스타’의 안전성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내의 사정만 살펴보면 ‘바스타’가 외형은 크지만 이미 제네릭 원제들과의 경쟁으로 인해 가격이 많이 다운된 상황이어서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해석이다. 또 국내 ‘바스타’는 상표권 분쟁 중이기도 하다.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바스타’ 매입에 선뜻 나서기 어려운 형국이다.


업계 전문가는 “국내 바이엘의 ‘바스타’ 제품 판매금액은 지난해 기준으로 약 400억원에 달한다”며 “만약 이 품목이 다른 회사로 넘어가게 된다면 비선택성제초제의 시장 구조가 재편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심미진 l choubab@newsfm.kr

심미진 기자 choubab@newsfm.kr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영농자재신문(주) 서울시 광진구 구의강변로 64 구의아크로리버 B동 204호 발행ㆍ편집인 : 이은원 | 전화번호 : 02-456-1005 ㅣ 팩스 : 02-456-2060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