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사과 꽃이 빠르면 4월초부터 필 것으로 보여 저온 피해 예방과 안정적인 열매 달림을 위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농촌진흥청 사과연구소가 올해 봄철 기상자료(2.1.∼3.23.)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사과 꽃 피는 시기는 지난해보다 5∼10일 정도 빠를 것으로 예측됐다.
‘후지’ 사과의 예상 만개기(꽃이 활짝 피는 때)는 경남 거창이 4월 10일∼11일, 경북 의성·안동·문경·영주, 강원 원주는 13∼14일, 충북 충주, 경북 청송, 전북 장수는 18일∼20일, 충북 제천·경북 봉화는 23∼24일, 강원 평창은 4월 30일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농진청은 이에 따라  늦서리나 저온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기상 예보를 청취해 저온 피해 예방을 위한 미세살수(물 뿌림), 방상팬(서리방지 팬) 등을 가동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적인 열매 달림(결실)을 위해 인공수분과 꽃가루 운반 곤충(방화곤충)을 준비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농진청은 이에 따라  늦서리나 저온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기상 예보를 청취해 저온 피해 예방을 위한 미세살수(물 뿌림), 방상팬(서리방지 팬) 등을 가동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적인 열매 달림(결실)을 위해 인공수분과 꽃가루 운반 곤충(방화곤충)을 준비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미세살수 시스템은 과수원 온도가 1∼2도(℃)가 되면 가동하고, 해가 뜬 이후 중단해야 한다. 기온이 영하일 때 물 뿌림을 중단하면 피해가 커지므로 충분한 물량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인공수분은 꽃 중심화가 80% 정도 피었을 때, 암술머리에 이슬이 마른 후 실시해야 한다. 검증되지 않은 외국산 꽃가루를 쓸 경우 과수화상병 감염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검증된 꽃가루를 사용해야 한다. 또 결실률 향상을 위한 방화곤충은 인공수분을 실시하기 7∼10일 전 과수원에 놓아주며, 방사 전 과수원 잡초에 핀 꽃을 미리 제거해야 한다. 
박선교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장은 “올해는 사과 꽃 피는 시기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저온 피해 예방과 안정적인 열매 달림을 위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과수화상병을 막기 위한 약제 방제와 검증된 꽃가루 사용, 그리고 방화곤충을 방사할 경우 과수원 간 이동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